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평묵

다른 표기 언어 金平默 동의어 치장, 穉章, 중암, 重菴, 문의, 文懿
요약 테이블
출생 1819(순조 19)
사망 1891(고종 28)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말기의 주자학자.

본관은 청풍. 자는 치장(稚章), 호는 중암(重菴). 아버지는 성양(聖養)이며, 어머니는 장수황씨(長水黃氏)이다. 이항로(李恒老)와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이다.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다가, 1876년(고종 13) 문인인 유인석(柳麟錫) 등과 함께 정부의 개항정책을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다. 1881년 다시 척양(斥洋)·척왜(斥倭)의 상소에 앞장섰다가 나주의 지도(智島)에 유배되었다. 1886년부터는 포천 영평에 운담정사(雲潭精舍)를 짓고 강학에 전념했다.

이항로의 심즉리설을 많이 따랐으나, 이항로가 본심이 이(理)라고 하는 데 비해, 그는 예지(睿智)를 이라고 하여 내용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같은 문하의 유중교는 심은 기(氣)라는 입장을 취해 명덕을 이로 보고 있었는데, 이러한 견해의 차이로 당시 큰 논쟁이 일어났다. 1900년 제학(提學)에 추증되었으며, 미원서원(迷原書院) 및 보산서원(寶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중암집〉·〈학통고 學統考〉·〈해상필어 海上筆語〉·〈경장문답 更張問答〉·〈척양대의 斥洋大義〉·〈대곡문답 大谷問答〉 등이 있으며, 이항로의 〈화서아언 華西雅言〉을 편집·간행했다. 시호는 문의(文懿)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평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