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중교

다른 표기 언어 柳重敎
요약 테이블
출생 1832(순조 32)
사망 1893(고종 30)
국적 조선, 한국

요약 김평묵과 함께 이항로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881년 김홍집이 일본을 다녀와 미국과 연합하고 서양기술 등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자 척사위정을 기반으로 척양척왜를 주장하며 맞섰다. 또한 그는 한말의 사회적 동요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유학의 학문적 심화와 체계적 정립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서와 〈서경〉·〈시경〉 등에 독자적인 주석을 하고, 예제에 관해서도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의례 문제에 관해 논의를 전개했다. 이밖에 〈현가궤범〉을 저술하여 악률을 정리·해명하고 스스로 악곡을 지음으로써 예악이 사회 교화에 미치는 기능에 대해 관심을 두었다. 1882년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가평의 옥계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했다.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치정(致政:穉程), 호는 성재(省齋). 아버지는 진사 조(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이다.

김평묵(金平默)과 함께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852년(철종 3) 이항로의 명으로 〈송원화동사합편강목 宋元華東史合編綱目〉을 편수했다. 1876년에는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1881년 척사위정(斥邪衛正)의 소론(疏論)이 일어나자 김평묵과 함께 춘추의리론(春秋義理論)을 기반으로 구법보수(舊法保守)와 척양척왜(斥洋斥倭)를 주장했다.

1882년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가평의 옥계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했다.

그는 초·중년에는 스승의 학설을 따랐으나, 만년에 들어서 스승의 심설(心說)에 반대했다. 즉 심을 기(氣)로 보아, 심을 이(理)로 본 이항로와 김평묵의 설을 비판했다. 1886년 〈논조보화서선생심설 論調補華西先生心說〉을 김평묵에게 보냄으로써 화서학파 내부에 논쟁이 시작되었다.

그는, "이항로가 명덕(明德)을 이로써 설명한 점은 마땅하다. 그러나 명덕이 이에 속하므로 심을 이라고 하여 성과 동일시한 점은 끝내 타당하지 못하다. 심과 명덕의 차이는 구별이 있을 수 없다. 심에 비록 이로써 말할 자리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본래의 명위(名位)로 말하자면 심은 형이하의 물체이다. 다만 그에 갖추어진 이인 성·명덕이 형이상자일 뿐으로, 바로 물(物)과 칙(則)의 차이와 같다. 심에 대한 이항로의 설명은 물·칙의 차이를 분명히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희상(吳熙常)의 심설을 추존하여 정론이라고 하여 대체적인 주장이 낙론(洛論)의 학자들과 합치되나, 오직 명덕이 이에 속한다는 설이 낙론과 다를 뿐이다"라는 것이었다. 이 일로 김평묵·유기일(柳基一)로부터 비난을 받았으나, 유중악(柳重岳)·유인석(柳麟錫)·노정섭(盧正燮) 등으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이 논변은 1888년 그가 "선사의 심설은 이로써 심을 단정지은 것이 그 진면목이다"라고 하고 "선사가 물·칙의 구분을 분명히 하지 못했다는 말은 신명처를 모두 이로 보았기 때문에 이처럼 의심하여 보충하려던 것이다"라는 요지의 〈화서선생심설정안 華西先生心說正案〉을 김평묵에게 보내 일단 중단되었으나, 임종시 이 답변을 거두어 들임으로써 이 논변은 일단락되지 못했다.

한편 태극(太極)에 관하여는 태극이 무위(無爲)하면서 유위(有爲)의 지극한 것이 되고 무형(無形)하지만 유형(有形)의 근본이 된다고 하여 태극에 양면이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氣)에 대해서 천지가 아직 성립되기 전의 '일원(一元)의 기(氣)'란 시원(始原)의 기이며, 기도 영원한 보편자라는 의미를 지녔다고 보았다.

그는 한말의 사회적 동요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유학의 학문적 심화와 체계적 정립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서(四書)와 〈서경〉·〈시경〉 등에 독자적인 주석을 하고, 예제(禮制)에 관해서도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의례(儀禮) 문제에 관해 논의를 전개했다. 이밖에 〈현가궤범 絃歌軌範〉을 저술하여 악률(樂律)을 정리·해명하고 스스로 악곡(樂曲)을 지음으로써 예악(禮樂)이 사회 교화에 미치는 기능에 대해 관심을 두었다. 저서로 〈성재문집〉·〈태극도설대지〉·〈소대학설〉·〈삼강오상설〉·〈삼서연의 三書衍義〉·〈하도낙서설 河圖洛書說〉·〈역설 易說〉·〈인물성동이변 人物性同異辨〉 등이 있다.

제학(提學)에 추증되었고, 고산 삼현서원(三賢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유중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