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해산(海産) 무척추동물 가운데 한 문(門)인 극피동물문(棘皮動物門 Echinodermata)에 속하는 동물들의 분류법.
개요
극피동물의 분류는 1970~80년대에 대변동을 겪었으며 아직도 논쟁중에 있다.
어느 누구도 분류체계에 만족하지 못하나 극피동물의 경우는 더욱 그렇고 새로운 발견과 새로운 이론이 계속해서 첨가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5문으로 나누었는데, 고생물학자와 동물학자들에 의한 최근의 연구를 근거로 하였다. 아문 준위 아래에서 분류기준은 다양하나, 가장 중요한 특성을 골격에 두었다. 멸종되어 화석으로만 알려져 있는 강은 ¶로 표시하였다.
극피동물문(棘皮動物門 Echinodermata)은 전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해산 무척추동물로 오방사대칭을 나타내며, 골격은 탄산칼슘(CaCO3)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강은 수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캄브리아기부터 현재까지 있으며, 약 1만 3,000종의 멸종종과 6,000여 종의 현생종이 있다.
호말로조아아문(Homalozoa)
캄브리아기 중기~데본기 중기(약 3억 6,500만~5억 7,000만 년 전).
①¶스틸로포라강(Stylophora) : 캄브리아기 중기~오르도비스 후기(약 4억 6,000만~5억 4,000만 년 전).
②¶호모스텔레아강(Homostelea) : 캄브리아기 중기(약 5억 4,000만 년 전).
③¶호모이오스텔레아강(Homoiostelea) : 캄브리아기 후기부터 데본기 전기까지(약 4억~5억 1,000만 년 전).
④¶크테노키스토이데아강(Ctenocystoidea) : 캄브리아기 중기(약 5억 4,000만 년 전).
블라스토조아아문(Blastozoa)
캄브리아기~페름기(약 2억 8,000만~5억 4,000만 년 전).
①¶에오크리노이데아강(Eocrinoidea) : 캄브리아기 전기~실루리아기(약 4억 3,000만~5억 7,000만 년 전).
②¶블라스토이데아강(Blastoidea) : 실루리아기~페름기(약 2억 8,000만~4억 3,000만 년 전).
③¶파라크리노이데아강(Paracrinoidea) : 오르도비스기 중기(약 4억 6,000만 년 전).
④¶파라블라스토이데아강(Parablastoidea) : 오르도비스기 전기~중기(약 4억 6,000만~5억 년 전).
⑤ ¶롬비페라강(Rhombifera) : 오르도비스기 전기~데본기 후기(약 3억 5,000만~5억 년 전).
⑥¶디플로포리타강(Diploporita) : 오르도비스기 전기~데본기 전기(약 4억~5억 년 전).
바다나리아문(Crinozoa)
화석종과 현생종이 모두 있다(오르도비스기 전기[약 5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오방사대칭이며, 부드러운 부분이 5개 또는 더욱 복잡한 완이 있는 악부 속에 둘러싸여 있다.
바다나리강(Crinoidea)은 오르도비스기 전기(약 5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있다.
병부가 있거나 2차적으로 없다. 악부는 작고 컵 모양으로 대개 가지를 치고 있으며, 먹이를 잡는 완에는 작은 우지가 매우 많다. 유병(有柄)인 바다술류와 무병(無柄)인 깃별나리류로 나뉘는 현존 관절아강(Articulata)이 있다. 약 700종의 현생종이 있다(→ 바다나리).
불가사리아문(Asterozoa)
화석종과 현생종이 있다(오르도비스기 전기[약 5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불가사리아문). 5개의 축을 따라 완이 있어 별 모양의 몸을 갖는 방사대칭성이다.
중앙에 입이 있고, 5개의 완이 있으며 아래쪽에 관족과 입이 있다.
① 스텔레로이데아강(Stelleroidea) : 불가사리아문과 특징이 같다.
②¶소마스테로이데아강(Somasteroidea) : 오르도비스기 전기부터 약 3억 5,000만 년 전의 데본기 후기까지 있었다.
외관상 불가사리류와 같으나 관족이 자리잡을 홈이 없다.
③ 불가사리강(Asteroidea) : 화석종과 현생종이 있다(약 4억 6,000만 년 전의 오르도비스기 중기에서 현재까지). 약 1,800 현생종이 있다. 완은 넓고 속이 비어 있다. 길이로 된 성장축에 의해 완의 깃 모양 구조 또는 배열이 없어졌다. 관족은 수가 많고 몸의 구부(口部)에 홈을 따라 있다.
관족은 뾰족하거나 흡반이 있다. 호흡은 몸의 반(反)구면에 있는 아가미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현존하는 것들로 유극목(spinulosa)·차극목(Forcipulata) 등이 있다(→ 불가사리).
④ 거미불가사리강(Ophiuroidea) : 화석종과 현생종이 있다(오르도비스기인 약 4억 6,0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반은 완과 뚜렷이 구분된다. 완은 길고 가늘며 단단하다. 관족을 위한 홈이 없다. 흡관성 관족은 없다. 항문과 차극이 없다. 호흡은 몸의 구부면에 있는 아가미를 통해 이루어진다.
현존하는 것은 혁사미목(Phrynophiurida)과 폐사미목(Ophiurida) 등이 있다. 약 2,000종이 현존한다(→ 거미불가사리).
⑤ 콘켄트리키클로이데아강(Concentricycloidea) : 몸은 완이 없이 편평하고 반(盤) 모양이다. 수관계는 관족과 함께 구부면에 있다. 수관은 이중(二重)환으로 이루어져 있다. 페리포디다목(Peripodida)이 있다. 2종이 현존한다. 1821년 이래로 명명된 현존 극피동물 가운데 최근의 새로운 강으로, 1986년에 알려졌다.
불가사리류로서, 단지 형태가 극단적인 것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다.
성게아문(Echinozoa)
화석종과 현생종이 있다(약 5억 7,000만 년 전 캄브리아기 전기부터 현재까지). 근본적으로는 공 모양이며 2차적으로 원통형 또는 원반형의 몸을 가지는 방사대칭성 동물이다.
완과 우지 등은 없다.
①¶키클로키스토이데아강(Cyclocystoidea) : 오르도비스기 중기~데본기 중기(약 3억 7,500만~4억 6,000만 년 전).
②¶에드리오아스테로이데아강(Edrioasteroidea) : 캄브리아기 전기~석탄기 전기(약 3억 4,000만~5억 7,000만 년 전).
③¶에드리오블라스토이데아강(Edrioblastoidea) : 오르도비스기 중기(약 3억 7,000만 년 전).
④¶헬리코플라코이데아강(Helicoplacoidea) : 캄브리아기 전기(약 5억 7,000만 년 전).
⑤¶오피오키스티오이데아강(Ophiocistioidea) : 오르도비스기 전기~실루리아기 후기(약 3억 9,500만~5억 년 전).
⑥ 해삼강(Holothuroidea) : 화석종과 현생종이 있다(오르도비스기인 약 4억 6,0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긴 원통형으로 한쪽 끝 또는 그 가까이에 입이 있고, 다른 한쪽 끝 또는 그 가까이에 항문이 있다.
입은 먹이를 먹을 때 사용하며 눈에 잘 띄는 촉수들이 이룬 환에 둘러싸여 있다. 극과 차극이 없으며, 단일 생식소이다. 골격은 현미경적 크기의 골편으로 축소되었다. 현존하는 것으로는 수수목(Dendrochirotida)·순수목(Aspidochirotida)·판족목(Elasipodida)·은종목(Molpadida)·무족목(Apodida) 등이 있다. 1,100여 종이 현존한다(→ 해삼).
⑦ 성게강(Echinoidea) : 화석종과 현생종이 있다(오르도비스기인 약 4억 6,0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몸은 공 모양, 원반 모양, 알 모양이다.
움직일 수 있는 극과 차극을 지닌 골격으로 이루어졌다. 입은 아래쪽으로 향한다. 항문은 없다. 생식소는 5개 이하이다. 현존 관극목 등이 포함된 정형성게아강과 연잎성게목·염통성게목이 포함되어 있는 부정형성게아강으로 나뉜다. 현생종은 900여 가지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극피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