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극피동물의 먹이와 섭식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해산 무척추동물 가운데 한 문(門)인 극피동물문에 속하는 동물들의 먹이 잡이와 영양을 흡수하는 방법.

극피동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먹이를 먹는다. 분명한 섭식 리듬이 있어서 대부분은 밤에만 먹지만 어떤 것들은 계속해서 먹는다. 식성은 활발하며, 선택적인 육식성에서부터 잡식성인 부식성 또는 무작위적으로 진흙을 삼키는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바다나리류는 현탁물(懸濁物)을 먹는데, 촉수나 완(腕) 위의 홈에 있는 관족이 만든 점액망으로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 대부분의 불가사리류는 활발한 육식자로서 조개류 또는 다른 불가사리류를 잡아먹는다. 일부 종은 진흙을 삼키기도 한다.

일부 불가사리류는 입을 통해 먹이로 위(胃)를 밀어내 외부에서 먹이를 일부 소화시킨 뒤, 위를 다시 몸안으로 넣어 몸안에서 먹이를 완전히 소화시킨다. 대부분의 거미불가사리류는 바다에 떠다니거나 바닥에 놓인 작은 생물을 먹는데, 완과 관족으로 잡아서 입까지 보낸다. 완이 복잡하게 가지를 치고 있는 거미불가사리류는 바다나리류와 비슷하게 먹는다. 콘켄트리키클로이데아강의 섭식방법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원시형인 소위 정형(正形) 성게류는 잡식성이거나 채식성으로, 바위에 있는 해조류나 작은 생물들을 그들의 단단한 이로 갉아 먹는다. 좀더 발달된 형인 부정형(不正形) 성게류는 이가 없으므로 해저 침전물을 파고들어 극과 관족으로 작은 먹이를 입까지 운반한다. 일부 해삼류는 표면에 붙어 있으면서, 가지가 쳐진 끈끈한 촉수들의 망으로 플랑크톤을 잡아먹고, 일부는 해저면에서 촉수로 먹이를 잡아 입에 넣는다. 대부분의 해삼류는 육상 지렁이처럼 진흙·모래를 삼켜서 유기물질을 소화하고 노폐물을 내보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극피동물

극피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극피동물의 먹이와 섭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