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남연군

다른 표기 언어 南延君 동의어 구, 球, 치수, 稚受, 채중, 采重, 寀重, 영희, 榮僖, 충정, 忠正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1822(순조 22)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왕족.

본관은 전주. 성은 이, 이름은 구이다.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麟平大君)의 7대손으로, 아버지는 병원이다. 흥선대원군 하응의 아버지이다. 장헌세자의 서자인 은신군에게 입양된 뒤 남연군에 봉해졌다.

1815년(순조 15) 수원관, 1821년 수릉관을 지냈고, 죽은 뒤 충청도 덕산에 묻혔다. 1868년(고종 5) 2회에 걸쳐 우리나라에 통상을 요구하다 실패한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시신을 담보로 통상을 강요하기 위해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했다. 이 만행으로 국내의 반서양의식과 흥선대원군의 쇄국주의가 더욱 굳어지게 되고, 천주교도들은 엄중한 단속을 받게 되었다. 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처음 시호는 영희였으나, 뒤에 충정으로 바뀌었다.

남연군

남연군의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80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산5-28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남연군


[Daum백과] 남연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