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영어에 기초를 둔 크리올어(혼성 토착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와 조지아 주 연안에 걸쳐 있는 시 아일랜즈와 그 근처의 본토에서 사용되는 언어로서 전에는 노예들이 썼고 지금은 그 후손들(서아프리카 종족 이름을 따서 걸러족 및 그리치족이라고도 함)이 쓰고 있다(→ 아프리카 제어).
17~18세기 영국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사용하던 말의 특징을 지닌 영어 혼성어, 즉 피진어(pidgin)에 바탕을 두어 바이·멘데·트위·에웨·하우사·요루바·이보·키콩고를 비롯한 서아프리카 언어들의 어휘와 문법을 합친 것이 걸러이다.
음성체계·구론·단어 강세·문법·어휘·신조어 구성에서 이러한 여러 가지 종류의 아프리카어의 영향이 보인다. 6,000개에 달하는 아프리카 어휘들이 걸러에서 확인되었는데 그 대부분이 사람 이름이다. 예를 들면 '아비오나'(Abiona)는 '길가에서 태어난'이라는 뜻의 요루바어이고, '아니카'(Anyika)는 '그 여자는 아름답다'라는 뜻의 바이어이며 '피티파'(Pitipa)는 비가 올 때 태어난 아이들에게 붙이는 멘데어 이름이다. 또한 걸러의 많은 아프리카 어휘들이 영어로 유입되었는데 cooter(거북), goober(땅콩), gumbo(오크라:나무), juke(자동전축), voodoo(마법) 등이 그 예이다.
걸러말을 하는 사람들은 영어의 단어와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용하고 미국 남부지방 사람들처럼 모음을 길게 늘이지 않고 빠르게 말하며 영어와 다른 억양을 쓴다. Dey fa go shum(They went to see her:글자 그대로는 They take go see her의 뜻), Shinshuh tall pass una(Sister is taller than you)와 같은 것이 전형적인 걸러 문장이다. → 크리올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