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019년(현종 10) 강감찬이 이끄는 고려군이 고려에 침입한 거란군을 구주에서 크게 물리친 싸움.
구주는 압록강 이남 청천강 이북에 있는 강동6주의 하나이다.
고려 초기의 대외정책은 고구려의 계승자임을 내세워 고구려의 옛 영토를 회복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거란은 중국 당말 오대의 혼란 속에서 일어나 요나라를 세우고 영토를 넓혀가며 중국대륙을 정복할 야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고려의 북진정책과 고려와 송과의 화친으로 불안감을 갖게 되었고, 송나라를 정복하기 전에 우선 배후에서 위협이 되는 고려를 정벌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이에 고려를 3차례에 걸쳐 침략했다.
거란의 제1차 침입은 993년(성종 12)에 있었는데, 서희의 외교적 담판으로 거란의 군대를 물리치고 압록강 이동의 강동6주를 소유하게 되었다. 제1차 침입 후에도 고려는 여전히 친송정책을 지속했고 거란을 멀리했다. 마침 고려에서 목종(穆宗)을 폐위한 강조의 정변이 일어나자 거란은 1010년(현종 1) 이를 문책한다는 명목으로 다시 쳐들어왔다. 이에 현종은 나주로 피난가고 하공진을 보내 강화를 요청했다. 거란은 하공진을 볼모로 삼고 고려왕의 친조를 약속받고 되돌아갔다.
그러나 자신들이 요구한 고려 왕의 친조가 이루어지지 않자 강동6주의 반환을 요구해왔다. 고려는 이를 거부하고 국교마저 끊어버렸다. 이에 1018년 12월에 거란은 소배압의 지휘로 10만의 군대를 보내어 침입해왔다. 고려는 강감찬과 강민첨을 보내어 대적하게 하여, 강동6주의 하나인 흥화진성의 삼교천에서 거란군과 싸워 승리했다. 이에 자신감을 잃은 거란군은 강동6주를 우회하여 개경을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도중에 자주(지금의 평남 자산)에서 다시 강민첨의 공격을 받아 많은 희생을 치렀다.
그뒤에도 거란군은 계속 남진하여 결국 개경 근방까지 왔다가 승산이 없다고 판단하고,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강감찬은 구주에 병사를 매복시켜 후퇴하는 거란군을 공격, 거의 전멸시켰다. 이때 거란의 10만 군사 중 살아돌아간 자는 수천 명밖에 안되었다 하여, 이 전투를 구주대첩이라 했다. 1020년(현종 11) 양국의 국교는 회복되어 고려는 거란의 연호를 쓰고 송과 관계를 끊었으나, 거란이 요구한 국왕 친조와 강동6주의 반환은 끝내 이행하지 않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