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가치론

다른 표기 언어 axiology , 價値論

요약 '가치있는'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axios와 '학문'이라는 뜻의 logos에서 나온 말로 가장 넓은 의미에서는 '선'(善) 또는 '가치'에 관한 철학적 연구를 뜻하는 용어.

애덤 스미스

ⓒ Cadell/wikipedia | Public Domain

가치론은 첫째, 가치라는 용어의 뜻을 크게 넓혔으며 둘째, 경제·도덕·미학, 심지어 논리학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서로 관계없는 것으로 보였던 다양한 문제들을 통일적으로 연구할 기틀을 마련해준 점에 그 의의가 있다.

'가치'라는 용어는 본래 어떤 것의 값을 뜻했으며, 18세기 정치경제학자 애덤 스미스의 저서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교환가치라는 경제학적 의미로 쓰였다.

가치의 의미가 확대되어 더 넓은 철학적 관심영역으로 들어온 것은 19세기의 다양한 사상가와 학파의 영향 때문이었는데 루돌프 헤르만 로체와 알브레히트 리칠 등 신칸트주의자, 모든 가치의 전도(顚倒) 이론을 주장한 프리드리히 니체, 알렉시우스 마이농과 크리스티안 폰 에렌펠스, 〈가치론 개요 Grundriss der Axiologie〉(1909)에서 이 용어를 처음 책이름에 쓴 무의식의 철학자 에두아르트 폰 하르트만 등이 대표적이다.

가치론의 동향을 미국에 소개한 사람은 응용심리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후고 뮌스터베르크와 가치론에 관한 최초의 영어논문 〈가치평가, 그 본성과 법칙 Valuation, Its Nature and Laws〉(1909)을 쓴 윌버 마셜 어번이다.

랠프 바턴 페리의 〈일반가치론 General Theory of Value〉(1926)은 새로운 접근법을 사용한 걸작으로 꼽힌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가치란 '어떤 관심의 대상'이다. 나중에 그는 도덕·종교·예술·과학·경제학·정치학·법·관습 등 8가지 가치 '영역'을 탐구했다.

보통 가치는 도구적 가치와 본질적 가치, 즉 수단으로 좋은 것과 목적으로 좋은 것으로 구분된다.

듀이는 〈인간본성과 행위 Human Nature and Conduct〉(1922) 및 〈가치평가론 Theory of Valuation〉(1939)에서 실용주의적 해석을 제안하고 수단과 목적을 구분하는 태도를 넘어서려고 했다. 그러나 이는 건강·지식·덕처럼 인간생활에 실제로 있는 많은 것들이 수단과 목적이라는 2가지 의미에서 모두 좋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C. I. 루이스, G. H. 폰 라이트, W. K. 프랑케나와 같은 철학자들은 이것을 더 세분해서 어떤 목적을 위해 좋은 도구적 가치와 어떤 일을 하는 데 좋은 기술적 가치 또는 전체의 부분으로서 좋은 기여적 가치와 전체로서 좋은 궁극적 가치를 구분하기도 했다.

'무엇이 본질적으로 좋은가?'라는 질문에는 다양한 대답이 있다.

쾌락주의자는 '쾌락'이라고 대답하며, 실용주의자는 '만족, 성장 또는 적합', 칸트주의자는 '선의지'(善意志), 인문주의자는 '조화로운 자기실현', 그리스도교인은 '신(神)의 사랑'이라고 대답한다. G. E. 무어, W. D. 로스, 막스 셸러, 랠프 바턴 페리 등 다원론자는 본질적으로 좋은 것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논증한다. 분석철학의 창시자 무어는 유기적 전체론을 전개하여, 사물들의 집합체가 갖는 가치는 그것들이 결합하는 방식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사실'은 객관성을 상징하고 '가치'는 주관성을 시사하기 때문에 가치와 사실의 관계는 가치와 가치판단의 객관성에 관한 이론을 세우는 데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사회학·심리학·인류학·비교종교학 등 기술과학(記述科學)은 모두 실제로 가치평가된 것을 사실적으로 기술하거나 그 가치평가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인과적으로 설명하려 한다. 반면 그 가치평가의 객관적 타당성을 묻는 것은 여전히 철학자에게 남겨진 과제이다.

철학자는 이렇게 묻는다.

페리 등 주관주의자의 주장처럼 사람들이 어떤 것을 욕구하기 때문에 그것이 가치를 갖는가, 아니면 무어, 니콜라이 하르트만 등 객관주의자의 주장처럼 어떤 것이 가치를 갖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것을 욕구하는가? 이 2가지 접근법은 가치판단이 인식적(cognitive) 지위를 갖는다고 가정하지만, 가치가 인간의 관심이나 욕망에 의존하지 않는 어떤 것의 객관적 속성으로 존재한다고 보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점에서만 다를 뿐이다.

반면에 비인식주의자들은 가치판단의 인식적 지위를 부정하고 실증주의자 A. J. 에어처럼 가치판단이 주로 정의적(情意的)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하거나 분석철학자 R.M. 헤어처럼 규정적 기능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장 폴 사르트르 등 실존주의자도 자유, 결단, 각자의 가치 선택을 강조하면서, 가치와 사실 사이의 논리적 또는 존재론적 연관을 모두 거부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양철학

서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가치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