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알가잘리

다른 표기 언어 al-Ghazali
요약 테이블
출생 1058, 이란 투스
사망 1111. 12. 18, 투스
국적 이슬람

요약 이슬람 신학자·신비주의자.
al-Ghazzālī라고도 씀. 본명은 Abū Ḥāmid Muḥammad ibn Muḥammad aṭ-ṭūsī al-Ghazālī.

그의 위대한 작품인 〈종교학의 부활 Iḥyā⁾ ⁽ulūm ad-din〉 덕분에 수피즘(이슬람 신비주의)은 정통 이슬람의 일부로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신학).

알 가잘리는 투스(동부 이란의 메셰드 근처)에서 태어났고 투스·조르잔, 마지막으로 니샤푸르(또는 네이샤부르)에서 교육을 받았다.

니샤푸르에서 그를 가르친 스승은 이맘 알 하라마인(메카와 메디나 두 신성한 도시의 이맘)이라는 칭호를 얻었던 알 주와이니였다. 1085년 스승이 죽은 뒤 알 가잘리는 셀주크 왕조의 강력한 와지르(총리) 니잠 알 물크의 초청을 받아 궁전으로 갔다. 와지르는 알 가잘리의 학식에 깊은 감명을 받아서 1091년 바그다드에 있는 니자미야대학의 학장으로 임명했다.

알 가잘리는 300명이 넘는 학생들에게 강의하는 동안 알 파라비나 아비세나(이븐 시나) 같은 신플라톤 학파의 철학을 깊이 공부한 뒤 비판을 가했다. 한동안 정신적 위기를 겪으면서 강의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쇠약해졌다.

1095년 11월 출세길을 버리고 메카 순례를 구실로 바그다드를 떠났다.

가족을 배려해서 남은 재산을 처분하고 가난한 수피, 즉 신비주의자의 삶을 선택했다. 다마스쿠스와 예루살렘에 잠시 머물렀고 1096년 11월에는 메카를 방문한 뒤 투스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수피 제자들이 모여들어 사실상의 수도자 공동체생활을 했다. 1106년 그는 니샤푸르에 있는 니자미야대학에 다시 되돌아오라는 권유를 받아들여 강의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정을 하게 된 것은 매세기초에는 이슬람의 혁신자가 나오며 1106년 9월에 시작되는 이번 세기의 혁신자는 바로 그라고 하는 친구들의 주장 때문이었다.

그는 니샤푸르에서 1110년까지 계속 강의하다가 1110년 투스로 되돌아와서 이듬해에 죽었다.

알 가잘리가 쓴 저서가 400편 이상 된다고 하지만 그가 그렇게 많은 저서를 쓰지는 않았을 것이다. 종종 같은 작품이 다른 원고에서 다른 제목으로 발견되지만 수많은 원고들 중에는 아직까지 신중하게 검토되지 않은 것들이 많다. 몇몇 저서는 그의 것으로 잘못 알려져 왔고 다른 저서들도 진위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최소한 50편의 진짜 작품들이 현존한다.

알 가잘리의 가장 위대한 저서는 〈종교학의 부활〉이다. 40권으로 된 이 책에서 그는 이슬람의 교리와 예배의식을 설명했고 어떻게 이러한 것들이 심오한 신앙생활의 토대를 이루며 우리를 수피즘, 즉 신비주의의 보다 높은 단계로 이끌어주는지를 밝혔다.

신비주의의 경험과 다른 인식형태와의 관계에 대해 〈빛의 벽감(壁龕) Mishkat al-anwar〉에서 논했다. 알 가잘리가 직업을 버리고 신비주의적 구도의 길을 선택한 데 대한 변론이 자서전적 저서인 〈잘못된 자의 구제자 al-Munqidh min ad-dalal〉에 실려 있다.

그의 철학 연구들은 논리학에 관한 논문들로 시작해 〈철학자의 부조리 Tahāfut〉에서 절정에 다다랐다.

이 저서에서 그는 기존의 이슬람 교리에 반대되는, 사변적 견해들을 증명해보이려고 했던 아비케나와 같은 철학자들에 대항해서 이슬람교를 옹호했다. 이 대작의 준비단계로서 '철학자들의 목표'(Maqasid al-falasifah)에 관해 객관성있는 설명을 했다. 이 책은 유럽에 영향을 끼쳤고 처음으로 라틴어로 번역된 아랍어책들 중의 하나였다(12세기).

그의 주요활동분야는 법률학과 신학이었다.

말년에 그는 일반 법률원리에 관한 저서인 〈선택 부분 Al-Mustasfa〉을 완성했다. 스페인어로도 번역된 규범적 신학교리개론서 〈믿음의 정당한 의미 al-Iqtisad fi al-l'tiqad〉는 아마 그가 신비주의자가 되기 전에 쓴 것 같다. 그가 비록 나중에는 종교적 진실에 대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으로서의 신학이 신비주의의 경험만 못하다는 주장을 펴게 되었지만 신뢰성있는 논저에서 신학상의 교리를 거부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 이와 비슷한 관점에서 그는 호전적인 교파인 아사신파(이스마일파)에 반론하는 글을 썼다.

또한 〈왕들에게 주는 조언 Nasihat al-muluk〉과 그밖에(정말 그가 썼는지 확실하지는 않지만) 그리스도교에 관한 비판문을 썼다.

알 가잘리가 일종의 구도자적 삶을 위해 교수라는 화려한 지위를 포기한 사실로 인해 동시대인들 가운데서 많은 추종자들과 비판자들이 생겼다. 서양 학자들이 그의 종교적 성숙에 관한 설명에 많은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그는 중요한 다른 이슬람 사상가들보다 훨씬 더 주목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알가잘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