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생물자원
관 생물다양
성정보

강도다리

다른 표기 언어 Starry flounder
요약 테이블
분류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가자미목 > 가자미과 > Platichthys속
서식지 수심 150m 내외의 연안역 저층에 서식하며, 종종 하천에 출현하기도 한다.
학명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1788)
국내분포 우리나라 동해 북부에 출현한다.
해외분포 일본 북부, 오호츠크 해, 베링 해, 캘리포니아 남부

개요

몸길이는 40cm 정도이고 둥근 마름모꼴이다. 눈은 보통 몸의 왼쪽에 있다.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여러 개의 흑색 띠가 있다. 눈 있는 쪽 색깔은 짙은 갈색, 눈 없는 쪽은 연한 노란색을 띤다. 다른 가자미과 어류와 다르게 눈의 위치는 넙치와 같은 위치에 몰려 있다. 수심 150m 내외의 연안역 저층에 서식하며, 종종 하천에 출현하기도 한다. 소형 갑각류, 연체류, 갯지렁이류 등을 먹는다. 2-3월에 강어귀에 알을 낳는다. 우리나라 동해 북부에 출현한다. 일본 북부, 오호츠크 해, 베링 해, 캘리포니아 남부 등지에 분포한다. 회, 건어물, 찜, 구이 등으로 이용한다.

강도다리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형태

눈이 몸의 왼쪽에 위치하며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여러 개의 흑색 띠가 있다.

생태

수심 150m 내외의 연안역 저층에 서식하며, 종종 하천에 출현하기도 하며, 소형 갑각류, 연체류, 갯지렁이류를 섭식한다. 산란기는 2-3월이다.

이용

식용(회, 건어물, 찜, 구이) 대상종이다.

해설

다른 가자미과 어류와 다르게 눈의 위치는 넙치와 같은 위치에 몰려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국립생물자원관 김병직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반도가 품고 있는 생물자원에 관한 모든 것을 보여드립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강도다리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