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농산물 〉 특용작물류 〉 종실류 |
---|---|
원산지 | 전남 광양, 충남 부여, 경남 하동 |
생산시기 | 8월 하순~10월 중순 |
생산량 | 2012년 62,344톤, 2013년 64,184톤 |
가공식품 | 맛밤 |
요약 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북부아프리카 등지에서 재배되고 원산지에 따라 한국 밤·일본 밤·중국 밤·미국 밤·유럽 밤 등으로 나뉜다. 중국밤은 알이 작고 단맛이 강해 군밤으로는 좋으나 해충에 약하다. 일본 밤은 알이 굵지만 단단하지 않아 가공하기 적합하지 않다.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재래종 가운데 밤나무흑벌에 저항성이 있는 우량종과 일본 밤을 개량한 품종이 있다. 한국 밤은 서양 밤에 비해 육질이 좋고 단맛이 강해서 우수종으로 꼽히며 국내 생산량의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밤은 대부분 일본에서 도입된 품종으로 냉해에 약하기 때문에 주산지가 대부분 남부지방에 편재되어 있다.
생산
원산지 : 전남 광양, 충남 부여, 경남 하동
생산시기 : 8월 하순~10월 중순
생산량 : 2012년 62,344톤, 2013년 64,184톤
활용
식재 | 조리방법 | 활용가능메뉴 |
---|---|---|
깐밤 | 원물 | 밤맛탕, 밤조림 |
적당한 크기로 썰기 | 밤양갱, 밤밥, 밤식빵 | |
잘게 썰기, 으깨기 | 밤수프, 밤치즈스틱, 율란, 밤쿠키, 밤잼, 밤라떼, 밤막걸리 | |
편 썰기 | 밤무침, 밤샐러드 |
밤은 주로 날로 먹거나 삶아서 먹는데, 수분을 13%정도 말리면 당도가 더 높아진다. 꿀·설탕에 졸이거나 가루를 내어 죽·이유식을 만들기도 하며, 통조림·술·차 등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각종 과자와 빵·떡 등의 재료로도 널리 쓰이는데, 특히 유럽의 밤 과자인 마롱글라세(marrons glaces)가 유명하다.
영양성분
밤은 필수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균형 잡힌 영양식품이다. 탄수화물·단백질·기타 지방·칼슘·비타민(A·B1·C) 등이 풍부해 항산화 효과가 있고 발육과 성장, 피부미용, 피로회복, 노화방지 등에 좋다. 또한 생밤은 비타민 C 성분이 알코올의 산화를 돕기 때문에 술안주로 적합하며, 밤 속 당분에는 위장 기능을 강화하는 효소가 있어 성인병 예방과 신장 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