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식재의 재발
아삭한 식감이 전채로 제격

연근

요약 테이블
원산지 중국, 인도
크기 80~90cm
학명 Nelumbo nucifera Gaertn
영양 성분 칼륨, 인, 비타민 C
연근

ⓒ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근은 연꽃의 뿌리로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에도 좋다. 뿌리가 긴 것은 1.8m 이상이 되며 날로 먹으면 달달하면서도 전분 맛이 난다. 주로 정과나 조림, 튀김 등에 사용하며 아삭아삭한 식감이 씹는 맛을 더한다.

여러 가지 요리나 전채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음식궁합

연근은 육류와 생선의 비린내나 잡내, 기름기를 없애준다.

연근과 생선, 연근과 육류

ⓒ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당근의 건위작용과 시너지로 소화 불량과 설사를 개선한다.

연근과 당근

ⓒ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활용

아삭하게 즐기는 이색 김치

연근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식감이 아삭해 김치로 만들면 가정용 반찬은 물론 외식업소에서 활용하기에도 안성맞춤이다. 껍질을 벗긴 연근을 적당한 두께로 썰고, 한입 크기로 썬 오이와 얇게 저민 마늘을 준비한 다음 소금물에 연근과 오이를 10분간 절인 후 물기를 뺀다. 냄비에 다시마 육수를 붓고 끓으면 매실청, 매실식초, 소금을 넣어 한소끔 더 끓인다. 육수에 새우젓 국물과 생강즙을 넣어 약간 싱겁게 간을 하고, 밀폐 용기에 연근과 오이, 마늘을 담아 육수를 부어 냉장고에 하룻밤 숙성시키면 완성된다.

조림은 이제 그만, 다양한 반찬 활용

연근 요리는 간장 양념으로 조림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조리법에 따라 활용도가 다양하다. 살짝 데친 연근에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해 달걀물을 묻히고, 옥수수전분과 찹쌀가루를 1:1 비율로 섞은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긴다. 튀긴 연근을 냄비에 넣고 고추장, 케첩, 간장, 물엿, 참기름, 다진 견과류 등을 함께 넣어 졸이면 반찬이나 간식으로 활용도 높은 연근 강정이 된다. 또 연근을 갈아 부침가루와 섞어서 부침개를 만들어도 맛이 훌륭하다. 편식을 하는 어린이들을 위해 연근으로 탕수를 만들면 인기 만점의 간식이 된다. 무순, 채 썬 채소와 고기 등을 얇게 저민 연근으로 말아 부추로 묶어 제공하면 고급 한정식집의 메뉴로도 손색없다.

ⓒ 「콩두」 이환의 셰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징

연근은 한 마디가 400g 이상 나가며 백색에 구멍의 크기가 고른 것이 좋다. 조리할 때는 껍질을 벗긴 후 식초를 넣은 물에 살짝 삶으면 떫은맛도 제거되고 빛깔도 고와진다.

주요 생산지

1. 대구

세부지역 : 동구 일대
수확시기 : 11월 말 ~ 12월 초
특징 : 반야월 지역은 점질양토에 유효토심이 100cm 이상으로 양·수분의 원활한 흡수가 가능하고, 뿌리 생육이 좋아 굵고 육질이 단단한 연근을 생산한다.

2. 경남 함안군

세부지역 : 칠서면
수확시기 : 주로 9 ~ 3월 연중 생산
특징 :
1. 산간지역이 아닌 낙동강변의 충적토에서 재배한다.
2. 온도와 기후 등 재배환경이 알맞아 좋은 품질의 연근을 생산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식재의 재발견
식재의 재발견 전체항목 도서 소개

35가지 숨은 식재료들의 수확시기, 산지정보, 활용법 등의 정보를 담았다.

농림축산 식품,aT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식재료

식재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연근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연근식재의 재발견, 농림축산 식품,aT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