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올림픽백과

제5회 스톡홀름 올림픽 (1912년)

다른 표기 언어 Stockholm Olympics 동의어 1912년 하계 올림픽, 1912 Summer Olympics
요약 테이블
개최지 스웨덴 스톡홀름
대회 기간 1912년 5월 5일~7월 27일
대회 규모 28개국 2407명(남자 2359, 여자 48)
주경기장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
종목 14개 종목, 102개 세부 종목
최다 금메달리스트 빌헬름 카를베르크(스웨덴 금3, 은2)
한국 선수단 규모 불참
사이트 https://www.olympic.org/stockholm-1912

요약 191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열린 올림픽 대회로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세계 5대륙에서 선수들이 참가하였다. 28개국 2407명이 14개 종목 102개 세부종목에서 실력을 겨루었다. 처음으로 전자시계와 사진판정기가 사용되었으며, 육상 5종 경기와 10종 경기, 여자 수영과 다이빙 경기가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공식 메달 집계에는 들어가지 않으나 예술 경기와 마술 경기도 열렸다. 미국이 금메달 26개, 스웨덴이 24개를 획득하였다.

스톡홀름 올림픽 개막식 광경

ⓒ M0tty/wikipedia | Public Domain

메달 순위

순위나라명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미국26191964
2스웨덴24241765
3영국10151641
4핀란드98926
5프랑스75315
6독일613726
7이탈리아5128
8남아공4206
9노르웨이41510
10캐나다3238
헝가리3238
12오스트랄라시아2237
13벨기에2136
14덴마크16512
15그리스1012
16스웨스1001
17러시아0235
18오스트리아0224
19네덜란드0033
제 5회 스톡홀름 올림픽 메달 순위

경기 종목

근대 5종, 기계체조, 다이빙, 레슬링, 사격, 사이클링, 수구, 수영, 승마, 요트, 육상, 조정, 줄다리기, 축구, 테니스, 펜싱 등 102개 세부종목

개요

1896년 1회 올림픽은 빈약하였고, 1900년과 1904년 올림픽은 가짜 올림픽이라 부를 만하며, 1908년 4회 올림픽의 문제점을 발견한 뒤 열린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은 비로소 진짜 근대적인 첫 올림픽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도 참가하여 5대륙 국가가 모두 참가한 첫 대회로서 의미가 크다. IOC의 권위가 강화되어 경기 운영이 체계가 잡혔으며, 국가별로 통일된 유니폼을 입게 하여 국가를 대표하는 의미를 강화시켰다. 5종 경기와 10종 경기에서 우승한 짐 도프의 금메달이 훗날 박탈되는 짐 도프 사건이 일어나며 올림픽은 순수한 아마추어리즘을 더욱 공고히 확립하였다. 전체 메달은 스웨덴이 65개로 가장 많이 획득하였으나 금메달은 미국이 26개로 가장 많았다.

진정한 근대 올림픽이 시작되다

아프리카(남아프리카 연방)나 아시아(일본)에서도 참가하여 세계 5대륙이 모두 참가한 최초의 올림픽이다. 경기 종목은 14개, 세부 종목은 102개로 1908년 런던 올림픽보다 늘어나지는 않았지만 올림픽에 적합하지 않은 종목은 제외되고 5종 경기와 10종 경기, 여자 수영과 다이빙, 근대 5종 등이 새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며 현대 올림픽의 모습을 더욱 갖추었다.

육상에서는 전자시계와 사진측정기가 도입되는 등 혁신적인 판정 방법이 시도되었고, 육상 5종 경기와 10종 경기 우승자 짐 도프(Jim Thorpe)의 금메달을 야구에서 돈을 받고 경기를 했다는 이유로 훗날 박탈하여 올림픽을 순수한 아마추어 스포츠 대회로 확립시켰다.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이 열리기 전까지 올림픽에 프로 선수의 참가가 어려워졌다.

일부 종목에서는 여전히 개선할 여지를 남겼다.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라이트헤비급 결승전은 9시간이 넘도록 점수를 내지 못하여 공동 은메달을 수여하였으며, 준결승전 그레코로만형 중량급에서는 11시간이나 경기를 해도 승부가 나지 않다가 가까스로 이긴 선수가 결승전에 기권하기도 하였다. 또한 권투는 개최국의 요구로 아예 열리지 않았다. 마라톤에서는 포르투갈 프란시스쿠 라자루가 경기 중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하였다.

스웨덴의 빌헬름 카를베르크(Vilhelm Carlberg)가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를 따내어 대회 최고의 스타로 떠올랐으며 핀란드의 하네스 콜레흐마이넨(Hannes Kolehmainen)과 미국의 알프레드 레인(Alfred Lane)도 각각 올림픽 3관왕에 올랐다. 그러나 올림픽 영웅을 꼽으라면 단연 짐 도프였다. 그는 비록 금메달을 박탈당하긴 했으나 인디언 혼혈로 무엇이든 해야 먹고 살 수 있었기 때문에 야구는 물론 축구, 육상까지 하여 올림픽에 출전한 것이었다. 특히 그의 10종 경기 기록은 1932년 로스엔젤리스 올림픽 때까지 깨지지 않는 놀라운 것으로 훗날 미국의 20세기 최고의 선수에 오르게 하였다. 이밖에도 하와이 원주민으로 수영 자유형 100m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운 미국의 듀크 카하나모쿠도 유명하다.

주경기장,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Stockholms Olympiastadion)

스웨덴의 건축가 토르벤 그루트(Torben Grut)가 스웨덴 전통 건축 양식으로 설계하여 지었다. 육상 경기 외에 승마와 축구, 체조 경기와 레슬링, 줄다리기, 근대 5종 경기가 열렸다. 14,500명까지 수용하며 콘서트 때는 3만 3천 명까지 들어갈 수 있다. 1956년 멜버른 올림픽의 승마 경기도 이곳에서 열렸는데, 당시 오스트레일리아의 검역 규정 때문에 말을 들일 수 없어 스톡홀름에서 대신 치른 것이다.

올림픽 이슈

순금 메달은 이제 그만!

스톡홀름 올림픽까지 금메달은 순금메달이었으나 차기 대회부터는 도금된 메달을 수여하기로 하였다. 일부 선수들이 금메달을 팔아먹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부터 금도금된 금메달이 지급되었다.

54년 만에 완주한 마라톤 선수

일본의 가나쿠리 시조는 마라톤에 출전하여 경기를 하다 자신에게 마실 것을 대접한 사람의 집에서 잠이 들었고, 다음날 일어나는 바람에 실종 처리되었다. 이후 본국으로 돌아갔는데, 54년이 지난 1966년 스웨덴에서 가나쿠리를 초청하여 뛰지 못한 마라톤을 완주하게 하였다. 가나쿠리는 75세의 고령으로 미완성의 경기를 마쳤는데, 공식 기록은 54년 8개월 6일 32분 20.3초로 기록되었다. 당연히 올림픽 마라톤 최장 기록으로 향후 절대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식이면 결승전에는 안 나가!

당시 레슬링은 이길 때까지 계속하는 시간 무제한 경기였다. 그레코로만형 라이트헤비급 결승전에 참가한 스웨덴의 알그렌과 핀란드의 뵐링은 중간에 30분씩 쉬며 9시간 대결했으나 승부가 나지 않아 결국 둘 다 은메달이 주어졌다. 한편 중량급 준결승에서는 러시아의 마르틴 클라인과 핀란드의 아시카이넨이 무려 11시간 동안 대결했다. 결국 승리한 마르틴은 결승전 경기를 포기하였다.

올림픽 영웅들

스웨덴 사격 영웅 빌헬름 카를베르크(Vilhelm Carlberg, 스웨덴, 1880. 3. 5~1970. 10. 1)

사격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를 획득하여 스톡홀름 올림픽 최다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1908년 올림픽부터 1924년 파리 올림픽까지 참가하였고, 1906년 중간 올림픽에도 참가하였다. 1908년과 1924년 올림픽에서 각각 은메달 1개씩을 얻어 올림픽에서만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를 따냈다.

‘나는 핀란드인’ 하네스 콜레마이넨(Hannes Kolehmainen, 핀란드, 1889. 12. 9~1966. 1. 11)
하네스 콜레마이넨(Hannes Kolehmainen)

ⓒ Materialscientist/wikipedia | Public Domain

5000m·1만m·크로스컨트리 경기에서 우승 3관왕에 올랐으며, 크로스컨트리 단체에서는 은메달을 따냈다.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에도 출전하여 남자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올림픽 중장거리에서 핀란드 시대를 연 영웅으로 올림픽에서 9개의 금메달을 딴 누르미를 발굴하기도 했다. 미국에서도 활동하여 1921년에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

사격 3관왕 알프레드 레인(Alfred Lane, 미국, 1891. 9. 26~1965. 10)

사격 25m 속사권총과 50m 권총 및 50m 군사권총 단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3관왕에 올랐다. 1920년 올림픽에서도 2개를 따내 2회 올림픽에서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1991년 국제 사격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운동선수 짐 도프(Jim Thorpe, 미국, 1887. 5. 28~1953. 4. 28)
짐 도프(Jim Thorpe)

ⓒ Scewing/wikipedia | Public Domain

북미 인디언의 혈통을 이어받은 선수로 5종과 10종 경기 우승, 스웨덴 국왕은 물론 미국 대통령으로부터도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1913년 1월 프로야구 선수로 활약했다는 것이 알려져 금메달을 몰수당하고 말았다. 그 후 그는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7시즌 동안 활약하였으며, 미식축구로도 명성을 날렸다. 미국 육상경기 명예의 전당, 올림픽 명예의 전당, 프로 미식축구 명예의 전당에 모두 올라 명예의 전당 세 곳에 오른 유일한 선수이다. 올림픽 금메달은 그가 죽은 후 30년이 지난 1983년에 후손들이 돌려받았다.

하와의 영웅 듀크 카하나모쿠(Duke Kahanamoku, 미국, 1890. 8. 24~1968. 1. 22)
듀크 카하나모쿠 (Duke Kahanamoku)

ⓒ wikipedia | Public Domain

하와이 원주민 출신으로 수영 자유형 100m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하였다. 이후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에서도 100m와 800m 계주에서 우승하였으며, 1924년 파리 올림픽에도 출전하여 1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은퇴 후에는 영화배우로도 활약하여 1948년 <성난 파도>에 출연하였으며 근대 서핑의 창시자로 서핑을 전 세계에 널리 알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올림픽백과
올림픽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1회~30회까지의 역대 올림픽 정보, 우리나라 올림픽 성적, 올림픽 종목에 대한 상세 내용을 담고 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제5회 스톡홀름 올림픽 (1912년)올림픽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