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92년 3월 17일, 전라남도 장흥(長興) |
---|---|
사망 | 1970년 11월 2일 |
주요활동 | 1914년 조선독립의군 참여 |
포상훈격 | 2016년 대통령표창 |
관련 인물/단체 | 조선독립의군 |
1892년 3월 17일 전라남도 장흥군 안량면(安良面) 비동리(飛東里)에서 태어났다. 1914년 2월부터 조선독립의군(朝鮮獨立義軍)에서 활동하였다.
조선독립의군은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에 분개한 김석순(金碩順)과 송학규(宋學奎) 등이 주축이 되어 의병을 양성하고자 조직한 독립운동단체였다. 조선독립의군 지도부는 “한국인 가운데 일본의 굴레에서 벗어나려고 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라고 하면서 한인들을 대상으로 군자금(軍資金)을 모집하여 독립군 양성에 주력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취지에 공감하여 조선독립의군에 가담하고, 1914년 2월부터 5월까지 군자금 28엔(円)을 모집하였다.
1917년 4월 김석순 ・ 김기현(金基賢) ・ 김한정(金漢貞) ・ 김치욱(金致旭) 등과 군자금 모집활동을 하다가 장흥 헌병분대(憲兵分隊)에 붙잡혔다. 이후 광주지방법원 장흥지청 검사국으로 송치되었다. 4월 23일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4월을 받았다. 목포분감(木浦分監)에서 옥고를 겪다가 8월 23일 풀려났다. 이후의 행적은 자료의 한계로 확인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박준현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신분장지문원지」
- ・ 「수형인명부」
- ・ 「형집행사건부」
- ・ 불온조선인 발견 처분의 건(전라남도 경무부 : 1917. 5. 2), 『불령단관계잡건-조선인의 부 -재만주의 부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출처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김태규 –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