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세상을 바꾼
이슬람

아라베스크 무늬의 신비

다른 표기 언어

모스크 안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다. 대신 꽃과 나무를 상징하는 무늬와 하느님의 말씀을 아랍어로 기하학적으로 배치하여 예술성을 표현했다. 이것을 ‘아라베스크’라 한다. 천장은 프레스코화로, 벽면은 푸른빛이 도는 타일로, 바닥은 온갖 색감과 형태를 가진 아라베스크 무늬의 카펫으로 꾸며 놓았다.

이슬람 예술은 작품에 사람이나 동물을 표현하지 않는다.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이 우상 숭배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종교들이 성화나 성물을 만들어 숭배하는 것을 경멸했다. 하느님 외에는 누구도 섬기지 말고, 누구에게도 고개를 숙이거나 경배하지 말라는 이슬람의 가르침 때문이다. 아라베스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종교적 배경에서 피어난 대안적 예술이자 새로운 문화였다.

아라베스크는 반복과 대칭이 특징이며, 《꾸란》 구절을 아랍어 서체로 꾸며 장식한다. 모든 예술은 결국 하느님의 뜻에 따른다는 의미이며, 시작도 끝도 없는 반복과 대칭 구도 자체가 바로 오묘한 신의 예술이다. 무미건조한 종교적 근엄함에 갇혀 있던 무슬림 예술가들은 아라베스크라는 새로운 분출구를 통해 그들의 예술성을 집약적으로 표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들만의 독특한 예술로 승화시켜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정교하고 화려한 꽃잎과 아름답게 뻗어 가는 나뭇가지, 비틀어지고 휘감기면서도 정연한 질서와 신의 메시지를 담은 《꾸란》의 기하학적 서체, 천국을 상징하는 꽃과 잎, 물과 정원의 묘사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역동적인 창조성을 자극했다. 음양이 조화를 이루고 좌우가 대칭되며,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연결 철학, 디자인적인 상상력, 반복과 회전과 같은 인간의 모든 예술적 성향이 실험되었다.

이란의 이스파한에 있는 이맘 모스크의 아라베스크 무늬

ⓒ 다른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라베스크가 가장 잘 표현된 장르는 타일과 카펫이다. 모든 모스크 벽면에는 아름다운 색상을 지닌 아라베스크 타일이 장식되어 있다. 카펫도 아라베스크 디자인이 잘 표현된 예술품이다. 카펫 디자인은 크게 꽃무늬와 기하학적 무늬로 나뉜다. 꽃무늬는 주로 페르시아와 인도에서 사용된 반면, 카프카스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멘 지역은 기하학적 무늬를 선호했다. 터키에서는 기하학적 무늬가 더 많이 사용되었지만 두 가지 양식 모두 사랑받았다. 중국의 카펫에는 용이나 봉황, 간혹 도깨비 그림이 등장한다. 같은 디자인이라도 문화권에 따라 그 해석은 각기 달랐다. 용은 중국에서는 황제의 뜻을 내포하지만 페르시아에서는 악마, 인도에서는 죽음을 뜻한다.

페르시아 카펫에 간혹 등장하는 날짐승들은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으로 선과 악의 싸움을 뜻한다. 꽃이나 식물 무늬에도 특별한 뜻이 있다. 실삼나무는 슬픔과 사후의 불멸을, 대추야자나 코코넛 나무는 축복과 충족을 뜻한다. 작약은 부를, 연꽃은 가문의 영광을 뜻한다. 기하학적 무늬에도 의미가 부여되었는데, 중국에서 만卍 자 무늬는 평화를 상징한다. 간혹 이슬람의 상징으로 묘사되는 초승달은 진리의 시작이자 신앙심을 뜻하고, 끝없이 연결되는 매듭 모양의 기하학적 무늬는 지혜와 불멸을 뜻한다.

아라베스크는 우리나라에서는 단순히 ‘당초문’으로 알려졌다. 꽃과 식물을 기본 모티프로 사용한 디자인이 당나라를 통해 들어왔기 때문이다. 처마의 와당 장식, 불교의 단청, 청자나 백자에 그려진 무늬, 전통 가옥의 문살에서 흔히 보이는 당초문은 아라베스크를 원형으로 한다.

다양한 모티프를 사용한 종합적이고 융합적인 아라베스크 예술은 뒷날 다른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음악에서 아라베스크는 하나의 악상을 화려한 장식으로 전개하는 악곡을 뜻한다. 슈만은 1839년에 작곡한 피아노 소곡(작품 번호 18)에 아라베스크라는 이름을 붙였다. 드뷔시의 초기 피아노곡도 아라베스크 계열의 작품으로 유명하다. 무용에서는 고전 발레 자세의 하나로, 한 발로 서서 한 손은 앞으로 뻗고 다른 한 손과 다리는 뒤로 뻗은 자세를 아라베스크라고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희수 집필자 소개

전 세계를 직접 다니면서 세계 역사와 문화를 현장 연구하는 문화인류학자이자 역사학자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국립이스탄불대학교 최초의 한국 유학생으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0년 ..펼쳐보기

출처

세상을 바꾼 이슬람
세상을 바꾼 이슬람 | 저자이희수 | cp명다른 도서 소개

이슬람 세계가 중세에 이룩한 화려한 문명과 과학적 업적을 살펴봄으로써, 세상을 바꾼 이슬람 문화의 가치와 업적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계기를 제공한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아라베스크 무늬의 신비세상을 바꾼 이슬람, 이희수, 다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