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12·12군사반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정승화 육군 참모 총장 등을 불.. 12. 12사태 출처 다음백과
  2. BEST 02 칠장사 사찰이 바뀌고 있다. 현대 건축의 실용성이 파고든 까닭이다. 그래도 여전히 사찰은 가장 대표적인 전통 건.. 출처 이야기를 따라가는 한옥 여행
  3. BEST 03 서울의봄 1979년 10월 26일부터 1980년 5월 17일 사이 벌어진 민주화 운동 시기.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한 10 · 26사건 직후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 소장은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아 군부를 장악하고 정치적 실세로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BEST 04 인플루엔자 [분류] 감염성 질환, 호흡기질환 [발생 부위] 가슴, 코, 전신 [증상] 구토, 근육통, 두통, 목의 통증, 설사, 열, 오한 인플루엔자 출처 질병백과
  5. 실업급여 고용보험에 가입한 노동자가 실직 후 보다 안정적으로 재취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급여를 지급하는 .. 실업급여 출처 다음백과
  6.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이석증 [분류] 귀코목질환 [발생 부위] 귀 [증상] 구토, 안구진탕, 어지러움 이석증 출처 질병백과
  8. 장태완 군인·정치가. 장태완은 대구상고를 졸업하고, 1950년 육군종합학교를 11기로 수료한 후 육군 소위로 임.. 장태완(張泰玩) 출처 다음백과
  9. 결핵 [분류] 감염성 질환, 호흡기질환 [발생 부위] 가슴, 전신 [증상] 가래, 객혈, 기침, 열, 체중감소 결핵 출처 질병백과
  10. 부정맥 [분류] 순환기질환, 응급질환 [발생 부위] 가슴 [증상] 가슴 두근거림, 실신, 어지러움 부정맥 출처 질병백과
  11. 대상포진 [분류] 감염성 질환, 피부질환 [발생 부위] 피부 [증상] 두통, 딱지, 발진, 환부 통증 대상포진 출처 질병백과
  12. 흥화진전투 고려 전기 거란침입 때 흥화진(興化鎭, 평안북도 의주)에서 벌어진 전투. 흥화진은 서희(徐熙)가 거란과 담판하여 강동6주(江東六州)를 확보한 이후, 995년(성종 14) 구축한 압록강 방면의 요충지이다. 거란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경주 지진 오랫동안 한반도는 '지진안전지대'로 간주되어왔다.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중대형 규모의 지.. 경주 지진으로 무너진 담벼락 출처 다음백과
  14. 종합부동산세 부동산을 종합적으로 합산하여 과세되는 세금. 줄여서 종부세라고도 함. 전국의 부동산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 종합부동산세 출처 다음백과
  15. 노로바이러스 장염 [분류] 감염성 질환, 소화기질환 [발생 부위] 전신 [증상] 구토, 권태감, 근육통, 두통, 복부 불편감, 복부 통증, 설사, 열, 오심, 오한 노로바이러스 장염 출처 질병백과
  16.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연동형 비례대표 의석의 상한선을 두어 일부만 적용하는 선거제도. 지역구에서 의석을 확보하기 어려운 소수정당도 일정 정당 득표율을 확보하면 의석을 확보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으로 지역구 의석과 연동하여 부여되는 연.. 출처 다음백과
  17. 이상지질혈증 [분류] 건강증진, 순환기질환 [발생 부위] 전신 [증상] 무증상 [진료과] 가정의학과, 내분비내과, 노년내과 이상지질혈증 출처 질병백과
  18. 조현병(정신분열병) [분류] 뇌신경정신질환 [발생 부위] 기타 [증상] 망상, 무논리증, 무욕증, 와해된 언어 , 와해된 행동, 정서적 둔마, 피해망상, 환각 조현병(정신분열병) 출처 질병백과
  19. 파킨슨병 [분류] 뇌신경정신질환 [발생 부위] 머리 [증상] 경직, 떨림(진전), 보행이상, 서동, 손떨림, 수면장애, 자세 불안정, 자세이상 파킨슨병 출처 질병백과
  20. 췌장암 췌장암이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덩이)입니다. 췌장암의 90% 이상은 췌관의 샘세포에 암이.. 췌장의 위치와 구조 출처 내가 알고 싶은 암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