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2007년 출생아는 49만6천700명으로 전년(45만1천500명)보다 4만5천200명 증가했다. 이는 2006년(13만5천 명)에 이어 2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출생아수는 1994년 72만9천 명이후 계속 줄어들다 ‘밀레니엄 베이비붐’이 일었던 2000년 63만6천800명으로 반짝 늘어났지만 다시 2001년 55만7천200명, 2002년 49만4천600천명, 2003년 49만3천500명, 2004년 47만6천100명, 2005년 43만8천100명 등으로 계속 감소했다.
출생아 증가로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도 2007년 10.1명으로 2006년(9.2명)에 비해 0.9명 증가하면서 2003년(10.2명) 이후 4년 만에 10명을 넘어섰다. 여자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2005년 1.08명을 저점으로 2006년 1.13명, 2007년 1.26명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
2007년 출산한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30.6세로 전년에 비해 0.2세 높아졌고, 첫째 아기 출산연령도 29.4세로 전년보다 0.2세 증가했다. 10년 전인 1997년 평균출산연령이 28.3세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10년 만에 출산연령이 2.3세 높아진 셈이다.
출산연령이 올라가면서 어머니의 연령별 출생아수는 30대 초반(30~34세)이 2007년보다 1만7천900명 증가한 20만7천300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대 후반(25~29세) 18만7천800명, 30대 후반(35~39세) 5만8천400명, 20대 초반(20~24세) 3만2천 명 등의 순이었다.
2007년에 태어난 아이가 첫째인 경우는 26만4천200명으로 전년에 비해 3만1천100명 증가하면서 전체 출생아의 53.5%를 차지했다. 둘째아와 셋째아 이상은 각각 1만600명과 3천800명이 늘어난 18만2천900명과 4만6천300명이었다.
평균 출산소요기간은 3.41년으로 2007년과 같았다. 2007년 여아 100명당 남아수(출생성비)는 106.1로 전년(107.4)에 비해 낮아지면서 1982년(106.8) 이후 처음으로 정상성비(103~107)를 기록했다.
출산순위별로는 첫째아(104.4), 둘째아(105.9)는 정상성비 수준이었고, 셋째아(115.2)와 넷째아 이상(119.4)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개선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배란 유도 등 불임 치료를 받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쌍둥이 출생 비율도 꾸준히 증가했다. 2007년 쌍둥이 이상 출생아수는 1만3천537명으로 전년(1만830명)에 비해 2천707명 늘어났다.
전체 출생아에서 쌍둥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1.96%에서 2003년 2%, 2004년 2.09%, 2005년 2.17%, 2006년 2.40%, 2007년 2.73%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007년 출생아의 평균체중은 3.24㎏으로 이중 남아가 3.29㎏, 여아가 3.19㎏으로 집계됐다. 시도별 출생아수는 경기가 12만5천6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10만100명, 경남 3만3천200명, 부산 2만8천200명, 인천 2만6천500명 등의 순이었다. 이에 따라 출생아의 절반이 넘는 50.8%가 서울ㆍ경기ㆍ인천 등 수도권에서 태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