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인구의 증감이나 평균수명ㆍ연령별 구성 등에 의해서 그 성격을 알 수 있다. 인구조사는 원부(原簿)에 의한 간접조사와 특정시점에서 조사대상 전역에 걸쳐서 개인별로 조사하는 직접조사가 있다. 인구조사를 국세조사라고 할 정도로 인구수는 한 나라의 국세 전반을 파악하는 기본적인 수치가 되므로 인구의 연구는 각 방면에서 행해지고 있다.
인구를 지탱하는 생산력의 문제는 식량ㆍ노동문제와 관련해서 경제학의 주요문제가 되어 인구론의 중심과제가 되고 있다. 또 지구상의 인구분포나 도시와 농촌과의 인구배분 등은 자연 환경ㆍ사회 환경과의 관련에서 인문지리학의 주요 연구대상으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가부장적인 농업사회로 전형적인 다출산 사회였다. 그러나 196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획기적인 산업화와 이에 따른 핵가족화, 가족계획 등으로 우리나라는 급격한 인구 변천과정을 겪게 된다. 출산율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최저로 떨어지는 등 우리나라의 인구 증가율은 1970년대 2% 수준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 1% 정도를 유지하다, 1990년대 들어서는 1%대 미만으로, 2007년에는 0.33%까지 추락했다.
한국의 인구는 2018년 4천934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1983년 이후 출산율이 1인당 2.1명 이하로 떨어지는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서 인구가 감소세로 반전하게 된다는 게 통계청의 전망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