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삼국시대 조회순 목록
-
단양 온달산성 (성산성, 丹陽 溫達山城)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으로 축조된 신라의 협축 성곽. 산성. 사적. 온달산성은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인 온달이 신라가 ..
-
부인사 (부인사(夫人寺), 符仁寺) 부인사(夫人寺)는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八公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제27대 선덕여왕 당시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
-
마립간 (麻立干) 신라 상대(上代) 왕의 칭호. 이사금(尼師今) 칭호에 이어 제17대 내물왕부터 제22대 지증왕 4년에 중국식 왕호를 칭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
개로왕 (근개로왕, 蓋鹵王) 삼국시대 백제의 제21대(재위:455~475) 왕. 재위 455∼475. 이름은 '여경(餘慶)'또는 ‘경사(慶司)’, 또는 ‘근개루왕’이라고..
-
경주 분황사 (왕분사(王芬寺), 慶州 芬皇寺) 분황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제27대 선덕여왕 당시 창건한 사찰이다. 왕분사(王芬寺)라고도 한다. ‘분황(芬皇)’..
-
태조왕 (국조왕(國祖王), 太祖王)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6대(재위:53~146) 왕. 국조왕(國祖王) 또는 태조대왕(太祖大王) 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궁(宮)이며, 아명은 어수..
-
성주사 (웅신사(熊神寺), 聖住寺) 성주사(聖住寺)는 경상남도 창원시 불모산(佛母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흥덕왕 때 무염이 창건한 사찰이다. 흥덕왕 때 무염은 당나라에 ..
-
원삼국시대 (삼한시대, 原三國時代) 우리나라 고고학 편년상 초기철기시대와 삼국시대 사이의 시기. 삼한시대·철기시대Ⅱ기·부족국가시대·성읍국가시대·삼국시대 초기·삼국시대 전기. 원..
-
아뢰야식 (阿賴耶識) 불교의 유심론에서 말하는 제8식으로 무의식 또는 가장 근원적인 마음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불교의 인간관에 의하면 인간은 안·이·비·설·신·의..
-
관나부인 (貫那夫人) 삼국시대 고구려 제12대 중천왕의 후궁. 장발(長髮)의 미인으로, 왕후 연씨(椽氏)가 질투 끝에 자신을 제거하려 하는 것을 알고 중천왕에게 ..
-
모악산 용천사 (母岳山 龍泉寺)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모악산(母岳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행은존자가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白羊寺)..
-
온달 (溫達) 삼국시대 고구려 아단성전투에 참전한 장수. 어린 시절에는 집안이 몹시 가난해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거리를 다니며 걸식을 하였다. 그런..
-
김제 벽골제 (金堤 碧骨堤)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부량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가 축조한 저수지의 중수비 및 그 제방. 중수비. 김제시 포교리와 월승리 일대의 저수지를 ‘..
-
임신서기석 (壬申誓記石) 신라시대 충성을 맹세하는 내용을 새긴 비석. 200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석의 첫머리에 ‘임신(壬申)’이라는 간지(干支)가 새겨져 있고,..
-
육두품 (六頭品) 신라시대 골품제도(骨品制度)를 구성하는 신분계급의 한 가지. 6두품은 성골(聖骨)과 진골(眞骨) 다음의 높은 계급으로, 차지하기가 힘들다는 ..
-
관창 (官昌) 삼국시대 때, 황산벌 싸움에서 활약한 신라의 화랑. ‘관장(官狀)’이라고도 한다. 장군 품일(品日)의 아들이다. 어려서 화랑이 되어 사람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