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삼국시대 조회순 목록
-
경주 감은사 (慶州 感恩寺) 감은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에 있는 사찰로,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1대 신문왕이 창건하였다. 682년(신문왕 2)에 신문왕이 부왕 문..
-
웅진천도 (Woongjincheondo) 475년 백제가 고구려에게 한성(漢城)을 빼앗기고 웅진(熊津, 충청남도 공주)으로 도읍지를 옮긴 사건. 백제의 웅진천도는 475년 9월 고구..
-
이사부 (異斯夫) 삼국시대 신라의 실직주군주, 병부령 등을 역임한 관리. 장군, 정치가. 일명 태종(苔宗). 내물마립간의 4대손으로, 지증왕 이래 법흥왕·진흥..
-
경주 오릉 (사릉(蛇陵), 慶州 五陵)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와 제2대 남해차차웅, 제3대 유리이사금, 제4대 파사이사금의 무덤으로 전해지는 능. 사적.
-
대야성전투 (大耶城戰鬪) 642년(선덕여왕 11) 대야성(大耶城: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을 둘러싸고 신라와 백제 사이에 벌어진 전투. 640년대 접어들면서 백제는 ..
-
근초고왕 (近肖古王) 삼국시대 백제의 제13대(재위:346~375) 왕. 재위 346∼375. 비류왕의 아들이다. 일본의 ≪고사기 古事記≫에는 ‘조고왕(照古王)’..
-
만어산 만어사 (萬魚山 萬魚寺)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산(萬魚山)에 있는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제1대 수로왕이 창건한 것으로 전하는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
-
왕인 박사 유적 (王仁 博士 遺蹟)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학자 왕인 관련 탄생지. 시도기념물. 1976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군서면의 구림 ..
-
관악산 연주암 (연주대, 冠岳山 戀主庵) 경기도 과천시 관악산(冠岳山) 연주봉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암자.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
황산벌전투 (黃山伐戰鬪) 660년 황산벌에서 있었던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의 큰 싸움. 황산은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連山) 지방이다. 의자왕 초, 왕권 중심의 ..
-
경주 첨성대 (점성대(占星臺), 慶州 瞻星臺) 경주 첨성대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천문관측소이다. 『삼국유사』에 신라 선덕여왕 때 축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맨 밑..
-
문수산 축서사 (文殊山 鷲棲寺)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문수산(文殊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
-
무왕 (장(璋), 武王) 무왕은 삼국시대 백제의 제30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00~641년이며, 제29대 법왕의 아들이자 제31대 의자왕의 아버지이다. 『삼국유사..
-
단양 상선암 (선암사(仙巖寺), 丹陽 上禪庵)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암자. 한국불교태고종의 말사이다. 신라시대 의상(義湘)이 창건하여 선암사(..
-
사비성 (泗沘城)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지역에 있었던 백제시대의 성(城). 사비성은 백제 때 도읍 자체의 명칭이기도 한다. 백제 때에는 부여 일대의 평야를 ..
-
배리 삼릉 (경주삼릉, 拜里 三陵)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박씨 3왕의 능으로 전해지는 굴식 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사적. 1971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남..
-
사비천도 (泗沘遷都) 538년(성왕 16) 백제 성왕이 도읍지를 웅진(熊津: 충청남도 공주)에서 사비(泗沘: 충청남도 부여)로 옮긴 사건. 웅진천도(熊津遷都)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