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유적 조회순 목록
-
김시민 장군 전공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호, 金時敏將軍戰功碑) 1592년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김시민의 전공을 기록해 놓은 김시민 장군 전공비(金時敏將軍戰功碑)는 현재 진주성 내의..
-
아야소피아 (Ayasofya in Istanbul, Turkey) 거룩한 지혜라는 뜻의 아야소피아는 6세기에 세워진 뒤 1000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교회였다. 16세기를 전후할 무렵 다른 대규모 교회들..
-
비암사 (비암사(飛菴寺), 碑巖寺) 비암사는 백제 말 통일신라 초 창건된 사찰이다. 백제 유민들이 조성한 불비상이 전한다. 계유(673)명아미타삼존불비상은 백제 유민 달솔 신차..
-
불이문 (해탈문(解脫門), 不二門) 사찰로 들어가는 3문(三門) 중 절의 본전에 이르는 마지막 문을 지칭하는 용어. ‘불이’는 진리 그 자체를 달리 표현한 말로, 본래 진리는 ..
-
담양 금성산성 (潭陽 金城山城)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금성산(金城山)에 있는 고려시대 이후 입보용으로 사용된 성곽. 산성. 산성산으로도 불리는 금성산 줄기의 해발 350∼..
-
대방진 굴항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3호, 大芳鎭掘港) 사천 대방진 굴항(大芳鎭掘港)은 고려시대 말기에 동해 · 남해 연안을 빈번히 침범하던 왜구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만든 군항시설의 하나이다. ..
-
신원사 (신원사(神院寺), 新元寺) 신원사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보덕이 창건한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사찰이다. 삼국시대 고구려 보덕이 창건한 사찰이라고 ..
-
소쇄원 (명승 제40호, 瀟灑園) 소쇄원은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지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원이다. 조선 중종 때의 학자 양산보가 1519년 기묘사화로 스승인 조광조가 ..
-
벽골제 (碧骨堤)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부량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저수지. 우리나라 최대의 고대 저수지이다. 역사적 연혁에 대해서는 『삼국사기(三國史記)』..
-
금수산 정방사 (錦繡山 淨芳寺)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금수산(錦繡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
-
보광사 (普光寺) 보광사는 통일신라시대 승려 도선이 왕명으로 창건한 경기도 파주에 있는 사찰이다. 고려시대에는 비보사찰로서 원진국사 승형, 무학 자초가 각각 ..
-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Mausoleum of Halikarnassos) 마우솔레움은 페르시아제국에 속한 카리아의 사트라프(사트라프는 페르시아의 관직명이었으나 독립국의 군주와 같았다) 마우솔로스(기원전 377~35..
-
문수사 (文殊寺) 문수사는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수면 문수산(文殊山)에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
-
수종사 (水鐘寺) 수종사는 1459년(세조 5) 조선 전기에 제7대 세조의 명으로 중창된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운길산(雲吉山)에 있는 사찰이다. 수종사 팔각..
-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平昌 五臺山 中臺 寂滅寶宮)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 월정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 201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
인각사 (麟角寺) 인각사는 경상북도 군위군 삼국유사면 화산(華山)에 있는, 신라시대에 창건한 사찰이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銀海寺)의..
-
봉암사 (鳳巖寺) 봉암사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헌(道憲)이 창건한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희양산(曦陽山)에 있는 사찰이다. 879년 당나라에서 귀국한..
-
북한산 도선사 (北漢山 道詵寺) 서울특별시 강북구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