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DNA 구조는 언제 밝혀졌는가?부모의 유전자와는 다르지만 관련 있는 형질을 물려받게 된다. 개인의 유전 정보는 인간의 몸에 평균적으로 수십 조에 달하는 세포 안에 있는 DNA에 저장된다. DNA 구조의 연구는 유전학, 병리학, 범죄학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범죄학에서 DNA의 구조는 지문 같은 역할을 하여 머리털 한 가닥만으로도 주인을...
-
DNA DNA에 기록을 저장하는 시대가 온다사람이 저자로 이름을 올린 이 논문은 1000자가 채 되지 않는 한 쪽짜리 소논문이었지만 간행 즉시 ‘생명의 비밀’을 밝힌 업적으로 평가됐다. 2013년은 DNA구조 발견이 60년, 즉 환갑을 맞는 해였다. 19세기 오스트리아의 성직자 그레고어 멘델은 취미로 완두를 연구하다 유전법칙을 발견했고,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
-
DNA 데옥시리보 핵산, deoxyribonucleic acid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2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염기 간 수소 결합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오른쪽 방향으로 꼬여 있는 이중 나선 구조다. DNA 이중 나선은 지름이 약 2㎚이고, 이중 나선이 한 바퀴 회전하는 데 약 10개의 염기쌍이 필요하며, 그 거리는 3.4㎚이다. 따라서 한 염기쌍에서 다른 염기쌍...
-
-
환갑 맞은 생명설계도의 주인공, DNA의 변신접목돼 응용되기도 한다. DNA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나노 구조이며(DNA 분자의 폭은 3.4nm) 염기끼리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이 있어, DNA 서열을 잘 설계하면 복잡한 나노 구조를 만들기 쉽다. 대표적인 예가 펑인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의 연구다. 2011년 5월 네이처에 실린 논문은 자기조립만으로 재미있는 그림...
-
메르스와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습격안정적이고 변이가 적은 이유는 이들의 화학적 구조에 있다. DNA와 RNA는 모두 핵산의 일종으로 당과 염기, 인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중심 구조인 당이 리보오스이면 RNA, 디옥시리보오스라면 DNA가 된다. 오각형의 당 구조를 이루는 5개의 탄소 중 2번 탄소에 결합한 분자가 수산화기(-OH)이면 리보오스이며, 2번...
-
-
DNA의 물리적 특성 DNA의 물리적 특성용해온도가 높아서 더 안정한데, 이는 구아닌과 시토신 간의 수소결합이 아데닌과 티민의 수소결합보다 강하기 때문이다(→뉴클레오티드). 용해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는 이중나선의 DNA 가닥이 분리되며, 온도가 천천히 낮아지면 원래의 2중나선 구조는 회복되지만 때때로 DNA 가닥 간의 재조합이 일어나기도 한다...
-
DNA 이중 나선 구조 발견미국의 생물학자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디옥시리보핵산(DNA)의 구조를 밝혀냈다. 이들이 학술지 <네이처>에 기고한 논문의 길이는 고작 128줄에 불과했다. 그러나 인류는 이 논문을 통해 생물의 형질이 어떠한 형태로 세포 속에 기록돼 있고, 어떠한 방식으로 후대에 전해...
- 시대 :
- 1953년 4월 25일
- 국가/대륙 :
- 아메리카
-
세포와 유전자, 유전자 기능 DNA를 복제하고 단백질을 합성하는대응해서 당 · 인산 · 염기의 결합물인 뉴클레오타이드가 결합한다. 이렇게 이중나선이 수복되어 같은 염기배열을 가진 DNA 두 개가 만들어진다. 전사 구조 DNA가 단백질을 합성할 때도 먼저 DNA의 이중나선이 풀리고 각 염기의 결합이 잘린다. 단체가 된 각 염기 배열에 대응해서 뉴클레오타이드가 결합해 RNA...
- 참고 :
- 유전정보는 DNA에서 RNA로 일방적으로 유전된다. 역전사효소의 발견으로 RNA에서 DNA를 합성(역전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