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피타고라스 학파가 무리수를 두려워한 이유는?+3)을 ‘완전수’라고 하였고, 아래의 220과 284처럼 진약수들의 합이 서로 상대방이 되는 두 수를 ‘친화수(우애수)’라고 불렀습니다. 220=(284의 진약수 합)=1+2+4+71+142 284=(220의 진약수 합)=1+2+4+5+10+11+20+22+44+55+110 그는 자연계의 조화로운 현상을 수의 규칙성과 비례관계로...
- 분야 :
- 수와 연산
- 교과단원 :
- 중등 3학년 〈무리수와 실수〉, 〈피타고라스의 정리〉
-
원주율을 정확히 구하는 방법은?대략 3으로 계산하여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기원전 2000년 무렵의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원주율의 값을 3 또는 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정사각형으로 나타냈는데, 그것은 주어진 원의 지름의 을 뺀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이었습니다. 즉, 반지름이 1인 경우, πr2에서 r=1이므로 원...
- 분야 :
- 수와 연산
- 교과단원 :
- 초등 4학년 〈원〉, 초등 6학년 〈원주율과 원의 넓이〉, 중등 1학년 〈평면도형〉
-
결부법 結負法한 변의 길이와 실제 면적을 비례적으로 정확하게 조절하여 결부 수를 산출한다. ④ 1등전의 실제 면적은 경무법으로 환산해 38무(畝), 2등전의 경우는 44무7분, 3등전은 54무2분, 4등전은 69무, 5등전은 95무, 6등전의 경우 152무로 정하고, 모든 토지 1결에서 연분(年分)에 따라 4~20두의 동일한 세액을 거둔다. 1결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김해 죽도성 김해왜성, 金海 竹島城성지 측량 도면에는 김해부의 안산인 서낙동강변의 독립된 해발 47.5m의 오봉산(五峰山) 봉우리를 중심으로 10개의 곽으로 구성된 내성이 그려져 있으며, 서쪽 구릉에 제1외성, 동쪽 구릉에 제2외성이 그려져 있다. 평면 구조는 내성과 외성 모두 중심부인 제1곽을 중심으로 동서 방향의 구릉을 따라 곽을 덧붙여 나가는...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