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Biotite 흑운모, 黒雲母Biotite is a common phyllosilicate mineral within the mica group, with the approximate chemical formula . More generally, it refers to the dark mica series, primarily a solid-solution series between the iron-endmember annite, and the magnesium-endmember phlogopite; more aluminous end-members incl...출처 영어 위키백과
-
거아도 居兒島전복 등도 많이 난다. 형성 및 변천 거아도의 지질은 주로 녹회색 규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북쪽에는 암회색 내지 흑색의 흑운석영편암이 분포하며 이 흑운모석영편암 내에 화강암이 판상으로 관입해 있다. 규암 및 흑운모석영편암의 주향 및 경사는 대체로 N34°, W65°NE이나 곳에 따라서는 습곡작용으로 인해 변화...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마천령계 摩天嶺系또한 복잡하여 층서(層序)를 밝히기가 대단히 곤란하다. 외견상의 층서로 보면 마천령계는 대체로 하부·중부·상부로 3대분할 수 있다. 하부의 구성 암석은 흑운모편마암·각섬편마암·화강편마암·각섬암·대리암(大理岩)·편암·규암 등이고, 중부는 주로 대리암(결정질 석회암, 결정질 돌로마이트, 석회규산염암 등...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
수락산 水落山이 있다. 수락산의 기반암(基盤)은 서울화강암(Jsgr)으로 분류되며, 중생대(中生代) 쥐라기에 관입(貫入)한 대보화강암에 속한다. 북한산과 불암산을 구성하는 흑운모화강암의 북쪽 연장부에 속하며,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노원구, 의정부시에 위치한 도봉산과 사패산(賜牌山), 수락산 일대에 분포한다. 서울화강암은...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충주 분지 忠州 盆地변에 형성된 분지 지형이다. 기복이 적은 분지의 바닥을 중심으로 주변에 산지가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지닌다. 분지의 바닥 부분은 흑운모 화강암으로 되어있고, 주변의 산지는 흑운모 석영 편마암과 편암으로 되어있다. 배후 산지에는 충주의 남산(635.6m)이나 계명산(774.3m)이 포함되어 있다. 흑운모 화강암은...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