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흑운모 흑색 운모, biotite
    흔한 운모군에 속하는 규산염광물. 흑색 운모(black mica)라고도 함.|변성암(광역 및 접촉 변성암)·페그마이트·화강암과 기타 관입 화성암에 풍부하다. 흑운모는 칼륨·철·마그네슘·알루미늄의 4개의 염기성 규산알루미늄인 애나이트[K2Fe6(Si6Al2O20)(OH)4]·시데로필라이트[K2Fe5Al(Si5Al3O20)(OH)4]·금운모[K2...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운모 (관련어 흑운모) 雲母, mica
    2차원적인 층상구조를 갖는 층상규산염에 속하며 화성암·퇴적암·변성암의 3가지 암석 모두에서 흔하다. 칼륨과 알루미늄 외에도 마그네슘·리튬·망간·티탄 및 철(Ⅱ)·철(Ⅲ) 등의 금속을 포함한다. 다양한 산업적 용도를 가지고 있어 철이 포함되지 않는 변종은 전기제품과 기기에서 절연재로 사용되며 벽지·천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흑운모 Biotite, 黒雲母
    흑운모(黑雲母)는 흔한 운모군에 속하는 규산염 광물이다. 변성암·페그마타이트·화강암과 기타 관입 화성암에 풍부하다. 겉보기색은 흑색, 갈흑색, 녹흑색 등이 있고 조흔색은 흰색이다. 밑면에 쪼개짐이 완전하다. 모스 굳기계에서 굳기는 약 2.5에서 3.0정도이다. 분포 지역은 매우 넓고, 매우 희귀하다 운모 위키데...
    도서 위키백과
  • Biotite 흑운모, 黒雲母
    Biotite is a common phyllosilicate mineral within the mica group, with the approximate chemical formula . More generally, it refers to the dark mica series, primarily a solid-solution series between the iron-endmember annite, and the magnesium-endmember phlogopite; more aluminous end-members incl...
  • 거아도 居兒島
    전복 등도 많이 난다. 형성 및 변천 거아도의 지질은 주로 녹회색 규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북쪽에는 암회색 내지 흑색의 흑운석영편암이 분포하며 이 흑운모석영편암 내에 화강암이 판상으로 관입해 있다. 규암 및 흑운모석영편암의 주향 및 경사는 대체로 N34°, W65°NE이나 곳에 따라서는 습곡작용으로 인해 변화...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마천령계 摩天嶺系
    또한 복잡하여 층서(層序)를 밝히기가 대단히 곤란하다. 외견상의 층서로 보면 마천령계는 대체로 하부·중부·상부로 3대분할 수 있다. 하부의 구성 암석은 흑운모편마암·각섬편마암·화강편마암·각섬암·대리암(大理岩)·편암·규암 등이고, 중부는 주로 대리암(결정질 석회암, 결정질 돌로마이트, 석회규산염암 등...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화강암 花崗岩, granite
    암색의 철고토 광물이 20% 이상 함유되어 있는 암석도 화강암이라고 하는 경우는 드물다. 화강암에 함유된 소량의 주성분광물로는 백운모·흑운모·각섬석·휘석이 있다. 흑운모는 모든 종류의 화강암에서 산출되는데, 때로는 매우 소량이긴 하지만 항상 존재한다. 소다-각섬석과 휘석(리베카이트·소다각섬석·애지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편암 片岩, schist
    엽리는 미약하게 발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편암은 백운모·녹니석·활석·견운모·흑운모·흑연 같은 판상 광물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편마암보다는 장석과 석영의 양이 적다. 녹색을 띠는 많은 편암들은 그 생성온도, 압력 조건에 의해 변성암의 광물상 분류에서 녹색 편암상으로 분류된다. 판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사이트 석영안산암, dacite
    수반되고, 용암류나 암맥을 형성하며, 때로는 오래된 화산의 중심부에 괴상관입체를 형성한다. 대사이트도 안산암같이 대부분 사장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흑운모·각섬석·휘석·엔스태타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반상조직(세립질의 석기 내에 큰 결정이 산포되어 있는 조직)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둥글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수락산 水落山
    이 있다. 수락산의 기반암(基盤)은 서울화강암(Jsgr)으로 분류되며, 중생대(中生代) 쥐라기에 관입(貫入)한 대보화강암에 속한다. 북한산과 불암산을 구성하는 흑운모화강암의 북쪽 연장부에 속하며,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노원구, 의정부시에 위치한 도봉산과 사패산(賜牌山), 수락산 일대에 분포한다. 서울화강암은...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충주 분지 忠州 盆地
    변에 형성된 분지 지형이다. 기복이 적은 분지의 바닥을 중심으로 주변에 산지가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지닌다. 분지의 바닥 부분은 흑운모 화강암으로 되어있고, 주변의 산지는 흑운모 석영 편마암과 편암으로 되어있다. 배후 산지에는 충주의 남산(635.6m)이나 계명산(774.3m)이 포함되어 있다. 흑운모 화강암은...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유문암 流紋岩, rhyolite
    비슷하다. 이것은 적어도 일부 또는 대부분의 화강암이 마그마 기원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유문암의 반정에는 석영, 알칼리장석, 올리고클레이스 사장석, 흑운모, 각섬석 또는 휘석이 있다. 알칼리휘석 또는 알칼리각섬석이 주요 유색광물이면, 올리고클레이스가 드물거나 없으며 장석 반정은 대부분 또는 전부 알칼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흑운모
흑운모화강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
흑운모화강편마암
흑운모화강편마암
흑운모화강편마암의 엽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