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2차원적인 층상구조를 갖는 층상규산염에 속하며 화성암·퇴적암·변성암의 3가지 암석 모두에서 흔하다. 칼륨과 알루미늄 외에도 마그네슘·리튬·망간·티탄 및 철(Ⅱ)·철(Ⅲ) 등의 금속을 포함한다.
다양한 산업적 용도를 가지고 있어 철이 포함되지 않는 변종은 전기제품과 기기에서 절연재로 사용되며 벽지·천장지 및 페인트의 제조에도 사용된다. 또한 충전제윤활제·흡착제 및 포장 물질로도 이용된다.
운모는 벽개에 의해 다른 광물과 쉽게 식별되고 널리 분포하는 광물이다. 가장 풍부한 운모 변종인 백운모는 화강암 같은 산성 화성암에서 흔하며, 페그마타이트 내에서는 흔히 매우 큰 책 모양으로 산출된다.
2차원적인 층상구조(層狀構造)를 가지는 층상규산염에 속한다.
주요 조암광물 중에서 운모는 화성암·퇴적암·변성암의 3가지 암석 모두에서 흔하다.
운모는 칼륨과 알루미늄 외에도 여러 금속을 상당량 포함하고 있는데, 이런 금속에는 마그네슘·리튬·망간·티탄 및 철(Ⅱ)·철(Ⅲ)이 있다. 구조적으로 각 운모층은 1개의 팔면체 단위층과 2개의 사면체 단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면체 단위층은 규소를 포함하는 사면체들의 망상구조(網狀構造)를 이루며, 각 사면체는 다른 사면체와 3개의 산소 원자를 공유하고 있다.
규소 및 꼭지점에 있는 공유되지 않은 산소 원자와 마찬가지로 공유된 산소 원자들은 거의 같은 평면상에 존재한다.
사면체 단위층의 규소 대 산소 비는 (Si2O5)-2이며, 알루미늄이 규소를 치환하기도 한다. 운모층의 다른 구조단위는 (Al2O4(OH)2)-4 또는 (Mg3O4(OH)2)-4의 화학조성을 가지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팔면체의 2차원적 배열이다.
이러한 팔면체 단위층은 2개의 사면체 단위층 사이에 위치하며, 사면체의 꼭지점에 있는 산소 원자를 공유한다. 플루오르가 히드록시기(OH)를 치환하기도 한다. 알루미늄 같은 3가 이온은 이용 가능한 팔면체 자리의 2/3만을 채우지만, 마그네슘 같은 2가 이온은 모든 팔면체 자리를 다 채운다. 이런 2가지 종류의 운모는 각각 이-팔면체 및 삼-팔면체 운모라고 한다. 운모의 각 층은 산소와 12배위(配位) 결합된 칼륨·나트륨·칼슘 원자에 의해 서로 약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하(電荷)는 사면체 자리에서 알루미늄이 규소를 치환함으로써 균형을 이룬다.
운모층은 규칙적으로 반복되거나 또는 불규칙적으로 여러 가지 상대적인 방향으로 쌓일 수 있는데 규칙적으로 쌓일 경우는 이상(理想) 구조보다 단위포(單位胞)가 더 커진다. 운모층 사이의 약한 결합은 완전한 벽개의 원인이 된다.
운모광물의 화학조성은 1차 이-팔면체 층인가 또는 삼-팔면체 층인가에 의해 결정되며, 그 다음은 층간(層間) 이온의 종류 및 팔면체 이온의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일반 화학식은 X2Y4-6Z8O20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X는 층간 양이온(OH, F)4(칼슘·나트륨·칼륨)이고, Y는 팔면체 양이온(알루미늄·철(Ⅲ)·리튬·마그네슘·철(Ⅱ))이며, Z는 사면체 양이온(규소·알루미늄)이다.
운모는 그들의 벽개에 의해 쉽게 식별되고 널리 분포하는 광물이며 그때문에 다소 약한 광물 특성을 갖는다. 가장 풍부한 운모 변종인 백운모는 화강암 같은 산성 화성암에서 흔하며, 페그마타이트 내에서는 흔히 매우 큰 책 모양으로 산출된다.
변성암의 경우 백운모는 보통 저변성도에서 산출되지만, 고변성도에서는 반응하여 알칼리장석과 규선석을 형성한다. 2가지 다른 중요한 운모는 흑운모와 금운모이다. 금운모와는 달리 흑운모는 마그네슘보다 철을 더 많이 함유하므로 특징적인 갈색 내지 흑색을 띤다. 이 광물은 화강암 및 반려암과 노라이트 같은 중성 화성암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나며, 종종 상당한 양의 철을 포함하는 퇴적물이 변성되어 운모가 풍부한 흑운모편암이 형성되기도 한다.
금운모는 초염기성암에서 발견되는데, 이것은 금운모의 높은 마그네슘 함량을 반영한다. 금운모 표본은 킴벌라이트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금운모가 깊은 곳에 있는 암석에서 휘발성분의 저장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운모의 중요한 다른 변종은 리튬이 풍부한 화강암질 페그마타이트에서 산출되는 레피돌라이트이다. 점토와 혼합된 세립질 운모는 퇴적암 내에서 쇄설성 광물 및 점토의 속성작용(續成作用)의 산물로서 산출된다. 이런 운모의 전형적인 것은 백운모와 해록석이다.
운모는 다양한 산업적 용도를 가지고 있다. 철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변종은 축전기 같은 전기제품과 기기에서 열 또는 전기 절연재로 사용되며 분말 형태로 벽지·천장지 및 페인트의 제조에도 사용된다. 또한 충전제(充塡劑)·윤활제·흡착제 및 포장 물질로도 이용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