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형수 兄嫂
    남자가 형의 배우자를 가리키는 친족용어.|내용 남자형제 중에서 손아래 남자형제가 손위 남자형제의 배우자를 호칭할 때 사용하는 친족용어이다. 손위 남자형제가 손아래 남자형제의 배우자를 호칭할 때는 제수(弟嫂) 혹은 제수씨 · 아주머니 · 계수(季嫂) · 계수씨라고 한다. 손아래 여자형제가 손위 남자형제의 ...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가족
  • 형수 (영화)
    영화 정보 "형수"는 1967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고은아 남진 남궁원 한은진 최남현 김정옥 안인숙 임석경 이수련 남기숙 최재호 추봉 성소민 강계식
    도서 위키백과
  • 건근성형술 Tenomyoplasty
    정의 건강하지 않은 힘줄이나 근육 부분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힘줄은 접합해서 재건하거나 꿰메어 완전하게 재건합니다. 그러나 건의 50%이상이 건강하지 않고 제거가 필요한 경우, 힘줄의 남아 있는 부분은 스스로 제 기능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으므로 남아있는 힘줄도 활동 중에 파열되지 않도록 돕기...
    관련 질환 :
    회전근개증후군, 아킬레스건염, 테니스엘보, 내상과염, 건손상
    관련 인체 :
    힘줄, 인대
    관련 검사 :
    자기공명영상, 초음파 검사
    도서 수술백과 | 태그 건강 , 수술/시술
  • 청자상감포도동자문표형수 靑磁象嵌葡萄童子文瓢形水注
    내용 높이 38.5㎝. 일본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소장. 지금까지 남아 있는 청자표주박형 주자로서는 키가 큰 편이고 풍만하여 당당한 양감이 넘친다. 아랫몸체가 크고, 아랫몸체와 비스듬히 연결된 목은 짧고 윗몸체는 작으며, 주구(注口)와 손잡이도 높게 솟아오르지 않아서 전체적으로...
    시대 :
    고려
    성격 :
    도자기, 청자
    유형 :
    유물
    크기 :
    높이 38.5㎝
    제작시기 :
    고려시대
    분야 :
    예술·체육/공예
    소장/전승 :
    일본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 형수 閔亨洙
    와 함께 다시 이광좌를 소척하다가 또 해남현에 찬배되었다. 뒤에 곧 풀려나 1740년 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이르렀다. 이 때 우의정 조현명의 유발(誘發)로 민형수가 위시(僞詩)를 신빙하고 있다고 인정되어 다시 국문을 받고 심적 고통을 받았으나, 당시 부사직으로서 동지사의 부사로 발탁되어 떠나면서도 그것을 해명...
    시대 :
    조선
    출생 :
    1690년(숙종 16)
    사망 :
    1741년(영조 17)
    경력 :
    형조참판, 함경감사, 대사간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지방 쓰는 법
    마지막에 神位(신위)를 적는다. 큰어머니의 성이 전주 이씨(全州 李氏)라면 예시 그림처럼 '顯佰母孺人全州李氏神位(현백모유인전주이씨신위)'가 된다. 형/형수 지방 쓰는 법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형일 경우 아버지를 뜻하는 考(고) 대신 兄(형)을 넣어 '顯兄學生府君神位(현형학생부군신위)'라...
  • 헝수이시 (관련어 형수) Hengshui, 衡水市
    Hengshui, 형수)는 중국 허베이성(河北省)의 지급시이다. 도시 지역의 인구는 48만명, 전체 인구는 422만 정도이다. 허베이 성 남부에 위치하고 바오딩 시, 창저우 시, 싱타이 시, 스자좡 시, 산둥성과 접한다. 수대에 헝수이 현이 두어졌다. 1982년에 현급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에 행정개편으로 지급시로 승격하였다. ...
    도서 위키백과
  • 유윤겸 형수(亨叟), 柳允謙
    개설 본관은 서산(瑞山). 자는 형수(亨叟). 유후(柳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기(柳沂)이다. 아버지는 유방선(柳方善)이며, 어머니는 이원(李原)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할아버지는 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 사건에 연루되어 죄를 입고, 아버지는 연좌죄로 관노가 되었다가 뒤에 사면되어 평민이 되었다...
    시대 :
    조선
    출생 :
    1420년(세종 2)
    사망 :
    미상
    경력 :
    사헌부감찰, 홍문관부제학, 대사간, 부제학, 돈녕부도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서산(瑞山)
  • 형수를 추모하는 내용을 새긴 현판 追慕皇嫂紀懷 懸板
    유물설명 1766년(영조 42) 11월 13일 영조가 경희궁 사물헌(四勿軒)에서 형수인 선의왕후(宣懿王后, 1705~1730)를 추모하며 지은 글을 새긴 현판이다. 경술년(1730)에 돌아가신 형수님을 추모하며 지난 10월 30일 좌의정 김치인(金致仁, 1716~1790)에게 감회를 쓰게 하고 현판을 만들어 걸었는데, 그것을 보게 되니 형수...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75.6cmcm, 세로: 33.9cmcm
    재질 :
    나무 / 피나무
  • 선박형수 육상시험설비 Land Based Test Facility
    선박평형수처리설비의 생물사멸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설비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경남분원에 설치되어 있음. 형식승인 시험은 정부공인 육상시험 설비인 남해연구소 것을 사용하되 기계고장, 시험수행 등으로 시험수행이 30일 이내에 불가할 경우 경남분원 설비도 인정함
    분야 :
    해사안전
  • 유문성형술 Pyloroplasty
    정의 위의 하부에 있는 음식물을 십이지장으로 내보내는 것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유문을 수술하는 것으로 위의 내용물이 소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해 시행합니다. 준비사항 ▶ 수술 전날 자정부터 금식합니다. ▶ 장 정결제를 이용하여 대장을 비웁니다. 수술 질환/증세 내과적 치료에 실패한 십이지장 궤양의...
    관련 질환 :
    십이지장 궤양, 위궤양
    관련 인체 :
    위, 십이지장
    관련 검사 :
    미주신경절단술, 유문절개술
    도서 수술백과 | 태그 건강 , 수술/시술
  •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石製 荊樹梅花芝草 印章
    나타낸다. 조선왕조의 인장은 국새나 관인 등 국가업무용 인장, 왕과 왕비의 존업성을 상징하던 어보(御寶)를 비롯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던 사인(私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인은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형수매화지초"는 '자형나무와 매화 그리고 영지'라는 뜻이다. 창덕18564의 모각인이다.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3.2cm, 세로: 2.9cm, 높이: 2.5cm
    재질 :
    석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8건

형/형수 지방 예시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석제 '형수매화지초' 인장
청자조각동자동녀형수적
청자상감포도동자문표형수주
청자상감포도동자문표형수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