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모 姑母아버지의 누이를 가리키는 친족용어. 내용 고모가 아버지보다 연령이 위인가 아래인가에 상관없이 같이 쓰이는 호칭이다. 고모의 남편을 고모부(姑母夫), 고모의 자녀를 고종형제(姑從兄弟)·고종자매(姑從姉妹)라 칭한다. 우리의 전통적인 친족제도가 부계계승의 원리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고모는 사실상 다른 친족...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가족
-
출가외인이란 무슨 뜻인가요? (관련어 고모)출가외인 '출가외인'에서 출가(出家)란 '집을 나간다'는 뜻이며, 외인(外人)이란 '바깥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집을 나가면 바깥 사람' 혹은 '집을 나간 바깥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남자가 아닌 여자가 주어입니다. 그리고 집을 나간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말하면, '여자는 혼인을 하면 자기가 태어나고...
-
문경고모산성 聞慶姑母山城, Gomo Sanseong(Mountain Fort..개설 고모산성은 고대 중요 교통로인 계립령을 지키는 성곽이다. 외부에서 경상북도 북부지역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고모산성을 통과하기에 경상북도 북부의 관문으로도 불린다. 산성은 신라가 축조하였다. 성 안에서는 5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의 기와와 청동기를 비롯하여 고려...
- 문화재 지정 :
- 명승 제31호
- 건립시기 :
- 삼국시대
- 성격 :
- 성곽, 산성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산 30-3(임)로 해발 231m 고모산 정상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고이왕 고모왕, 古爾王온조왕계와는 계보를 달리하는 우태(優台)·비류계(沸流系) 출신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 밖에 ≪신찬성씨록≫에는 고이가 ‘구이(久爾)’ 또는 ‘고모(古慕)’로 표기되어 있다. 고이왕은 즉위 후 국가 체제의 정비와 집권력의 강화에 주력해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 놓은 인물이다. 집권력의 강화를...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286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맥고모자 맥고모(麥藁帽)맥고자(麥藁子), 麥藁帽子3)경 임병삼(林炳三)이라는 조선인이 처음 썼다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1900년대 초에는 조선 사람들은 맥고모자를 즐겨 쓰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맥고모(麥藁帽)는 단발령(斷髮令) 추진과 일진회(一進會)를 떠올리게도 한다. 1904년(광무 8) 일진회 회원이 머리를 자르고 맥고모자와 모시로 된 두루마기를...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의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고려다완 이도(井戶)다완, 高麗茶碗유행한 다도구의 하나인 말차(抹茶)를 마시는 찻사발로 조선에서 만든 막사발. 이도(井戶)다완, 도토야(斗斗屋)다완, 소바(蕎麥)다완, 미시마(三島)다완, 고모가이(熊川)다완, 김해다완(金海茶碗)다완, 고려다완이라고 한다. 연원 및 변천 고려다완이란 고려시대 말기에 쇠퇴한 청자완과 조선 분청사기 사발이 여러 경로...
- 시대 :
- 조선후기
- 성격 :
- 그릇, 사발, 찻사발, 막사발, 다기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백제 8대 왕, 고이왕 백제 제8대 왕, 古爾王백제의 제8대 왕. 제4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며, 제5대 초고왕의 동생이다. 제6대 구수왕이 죽은 뒤 큰아들 사반왕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어려서 정치를 할 수 없자, 사반왕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국가체제의 정비와 집권력의 강화에 주력하여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았다. 즉위 후 집권력 강화를...
- 출생 :
- 미상
- 사망 :
- 286(고이왕 53)
- 국적 :
- 백제, 한국
- 재위 :
- 234년∼28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