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모 姑母
    아버지의 누이를 가리키는 친족용어.|내용 고모가 아버지보다 연령이 위인가 아래인가에 상관없이 같이 쓰이는 호칭이다. 고모의 남편을 고모부(姑母夫), 고모의 자녀를 고종형제(姑從兄弟)·고종자매(姑從姉妹)라 칭한다. 우리의 전통적인 친족제도가 부계계승의 원리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고모는 사실상 다른 친족...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가족
  • 출가외인이란 무슨 뜻인가요? (관련어 고모)
    출가외인 '출가외인'에서 출가(出家)란 '집을 나간다'는 뜻이며, 외인(外人)이란 '바깥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집을 나가면 바깥 사람' 혹은 '집을 나간 바깥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남자가 아닌 여자가 주어입니다. 그리고 집을 나간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말하면, '여자는 혼인을 하면 자기가 태어나고...
  • 고모
    고모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다: 고모는 자신의 아버지의 남매들을 가리키는 호칭이다. 고모동 고모리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문경고모산성 聞慶姑母山城, Gomo Sanseong(Mountain Fort..
    개설 고모산성은 고대 중요 교통로인 계립령을 지키는 성곽이다. 외부에서 경상북도 북부지역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고모산성을 통과하기에 경상북도 북부의 관문으로도 불린다. 산성은 신라가 축조하였다. 성 안에서는 5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의 기와와 청동기를 비롯하여 고려...
    문화재 지정 :
    명승 제31호
    건립시기 :
    삼국시대
    성격 :
    성곽, 산성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산 30-3(임)로 해발 231m 고모산 정상
    분야 :
    역사/고대사
  • 코모 Como, コモ
    코모현의 행정 구역이다. 대 플리니우스와 소 플리니우스의 출신지로 알려져 있고, 고대 로마 시대에는 노붐오르가눔 코뭄(Novum Comum)으로 불렸다. 코모호 코모도 (이탈리아)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고이왕 고모왕, 古爾王
    온조왕계와는 계보를 달리하는 우태(優台)·비류계(沸流系) 출신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 밖에 ≪신찬성씨록≫에는 고이가 ‘구이(久爾)’ 또는 ‘고모(古慕)’로 표기되어 있다. 고이왕은 즉위 후 국가 체제의 정비와 집권력의 강화에 주력해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 놓은 인물이다. 집권력의 강화를...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286년
    유형 :
    인물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맥고모자 맥고모(麥藁帽)맥고자(麥藁子), 麥藁帽子
    3)경 임병삼(林炳三)이라는 조선인이 처음 썼다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1900년대 초에는 조선 사람들은 맥고모자를 즐겨 쓰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맥고모(麥藁帽)는 단발령(斷髮令) 추진과 일진회(一進會)를 떠올리게도 한다. 1904년(광무 8) 일진회 회원이 머리를 자르고 맥고모자와 모시로 된 두루마기를...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의복
    분야 :
    생활/의생활
  • 고모산성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오정산에 위치한 고모산성은 삼국시대 신라의 성으로 군사방어용으로 지어진 석성이다 삼국시대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던 이곳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 말기 의병 전쟁과 한국전쟁을 거치며 다시 역사에 등장한다. 성곽을 따라 산성윌 오르면 탁 트인 풍경이 펼쳐지며 영강을 위동아 나가는...
    위치 :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문화재 지정 :
    [문경 토끼비리] 명승 제31호(2007.12.17 지정)
  • 고모모조노 일본 제 118대 덴노, 後桃園
    추존된 교라이몬인[恭礼門院] 후지와라노 도미코[藤原富子]다. 1762년에 아버지 모모조노 덴노가 죽은 후 당연히 왕위를 계승할 입장이었으나, 나이가 어려 고모 도시코[智子]가 대신 고사쿠라마치[後桜町] 덴노로 즉위하였기 때문에, 나중에 그 뒤를 이어 1771년에 즉위했다. 일기 8권을 남겼다. 능묘는 교토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고모호수공원
    경기도 포천시 고모리 죽엽산(해발 600m) 중심부에 있는 공원이다. 고모저수지 주변에 조성된 호수주변공원으로 고무저수지는 면적 0.18㎢에 저수량 1,300톤 규모이다. 고모는 어떤 사람이 늙은 고모님(한자로 할미 ‘고’)을 모시고 산 밑에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할미가 외로이 세상을 떠났는데 할미를...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678-1
  • 고려다완 이도(井戶)다완, 高麗茶碗
    유행한 다도구의 하나인 말차(抹茶)를 마시는 찻사발로 조선에서 만든 막사발. 이도(井戶)다완, 도토야(斗斗屋)다완, 소바(蕎麥)다완, 미시마(三島)다완, 고모가이(熊川)다완, 김해다완(金海茶碗)다완, 고려다완이라고 한다. 연원 및 변천 고려다완이란 고려시대 말기에 쇠퇴한 청자완과 조선 분청사기 사발이 여러 경로...
    시대 :
    조선후기
    성격 :
    그릇, 사발, 찻사발, 막사발, 다기
    유형 :
    물품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백제 8대 왕, 고이왕 백제 제8대 왕, 古爾王
    백제의 제8대 왕. 제4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며, 제5대 초고왕의 동생이다. 제6대 구수왕이 죽은 뒤 큰아들 사반왕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어려서 정치를 할 수 없자, 사반왕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국가체제의 정비와 집권력의 강화에 주력하여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았다. 즉위 후 집권력 강화를...
    출생 :
    미상
    사망 :
    286(고이왕 53)
    국적 :
    백제, 한국
    재위 :
    234년∼286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문경 고모산성
문경 고모산성
문경 고모산성
문경 고모산성
고모모조노(Go-Momozono)
문경 고모산성 남문지
고모다하마 해변
고모산성(좌측 상단)과 석현성(우측 중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