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현행 대한민국헌법
    현행헌법(제6공화국 헌법)은 1987년 6·29선언에 따라 대통령직선제의 헌법개정에 대한 합의로 이루어진 산물이다. 1987년 국회에서 여야합의로 헌법개정론을 발의해 국민투표로 확정해 공포되었다. 이 헌법은 국민의 절대다수에 의해 승인된 민립헌법으로 지금까지의 헌법 중 국민의 기본권이 가장 잘 규정되었고, 국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헌법
  • 헌법재판소 헌재, 憲法裁判所
    위하여 설치된 특별재판소. 제2공화국 헌법하에서 헌법위원회 제도로서 인정되었다가 제3공화국 헌법에서 폐지되었다. 이후 1987년 10월 29일 공포된 현행 제6공화국 헌법에서 부활되었고, 1988년 8월 5일 다시 법률 제4408호로서 <헌법재판소법>(1991. 11. 30 개정)을 제정하여 그에 의거하여 헌법재판소를 설치·운용...
    설립 :
    1988년 9월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5
    사이트 :
    www.ccourt.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헌법
  •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 大韓民國臨時政府憲法
    및 성문헌법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임시정부의 각 단계의 헌법에서 전문이 있는 것의 경우, 현행 헌법의 전문에 이르기까지 ‘3·1독립정신’을 삽입하여 우리...있다. 이는 3·1정신의 역사적 산물인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그 헌법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정신적 기원임을 입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임시정부헌법은...
    시대 :
    근대
    성격 :
    헌법
    유형 :
    제도
    시행일 :
    1919년 9월 11일(제1차 개헌) , 1925년 4월 7일(제2차 개헌) , 1927년 3월 15일(제3차 개헌) , 1940년 10월 9일(제4차 개헌) , 1944년 4월 22일(제5차개헌)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대한민국 헌법 Constitution of South Korea..
    모든 법률 해석의 기준이 되며 일반적으로는 전문(前文)이나 서(序)에서 그 대강을 밝히고 다시 본문 각조에서 구체화시키고 있다. 현행 대한민국 헌법도 전문에서 헌법의 유래·기본 원리·국민적 결의 및 제정과정을 밝히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 운동...
    도서 위키백과
  • 지방자치법 地方自治法, Local Autonomy Law
    대한민국 <헌법>의 위임을 받은 법률이다. <헌법> 117조1항은 지방자치의 핵심 요소인 자치사무와 자치기능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또 헌법 117조2항은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는 법률로 정한다”며 법률에 위임하는 근거규정을 두고 있다. <헌법> 118조1항은 “지방자치단체에 의회를 둔다”며 지방의회를 헌법기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헌법 憲法
    보강 등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따라서 현행 제6공화국 <헌법>은 과거 제4·5공화국 <헌법>에 비하여 국민의 기본권보장 및 권력분립에 보다 충실을 기한 것...에서 개정 또는 신설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전문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의 계승 및 조국의 민주개혁을 천명...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긴급조치 緊急措置
    물론 현행 헌법에도 위반돼 무효다. 긴급조치 9호가 합헌이라는 취지로 판시한 판결 및 결정들을 모두 폐기한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홍아무개씨의 부인 조아무개씨가 낸 형사보상 청구 소송을 인용하면서 “국가는 모두 6066만원을 보상하라”고 결정했다. 홍씨는 1979...
  • 헌법재판소 제대로 들여다보기 동성동본 부부와 군대 안 간 여자가 찾은 곳?
    있었고, 현행 민법은 8촌 이내의 혈족끼리 결혼하는 것만을 금지하고 있다. 사례 1999년은 공무원 시험 준비생들 사이에서 환호와 탄식이 엇갈린 해였다. 헌법재판소가 "제대군인에게 가산점을 주는 제도는 위헌"이라고 결정했기 때문이다. 그 전까지 국가는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7급, 9급 공무원 응시자...
  • 대한민국 헌법위원회
    규정(현행 헌법 제29조제2항과 같은 규정)을 신설했다. 유신헌법에 따라 전국 법관들의 인사권을 틀어쥔 대통령 박정희는 1973년 3월 24일에 1971년 당시 위헌 판결을 내렸던 판사 9명(방순원, 손동욱, 김치걸, 사광욱, 양회경, 나향윤, 홍남표, 한봉세, 유재방)을 모두 재임용에서 탈락시켰다. 이에 위축된 대법원은...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헌법 제12조
    규정한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다. 7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체의 자유 적법절차의 원칙 고문을 받지 않을 권리 영장제도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와 국선변호인 제도 미란다 원칙 구속적부심 제도 자백의 증거능력의 제한 진술거부권은 형사절차 뿐만 아니라 행정절차나 국회에서의 조사절차에서도 보장된다. 적법...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헌법 전문 大韓民国憲法前文
    배상청구권 실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구체적 작위의무가 있다. 헌법 전문에 규정된 4·19 민주이념은 제5차 개정 헌법에서 처음으로 규정되었으며, 제8차 개정 헌법에서 삭제되었다가 현행 헌법에서 다시 규정되었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대한국민은 기미 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세계...
    도서 위키백과
  • 국회의원 國會議員
    방식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는 2004년 실시된 17대 총선거부터 기존의 소선거구제에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결합한 방식이며 투표자는 지역구 후보자에게 1표, 정당에게 1표를 행사해 총 2표를 행사할 수 있다. 지역구의 경우에는 가장 많이 득표한 후보자 한 사람이 당선되며,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경우...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