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심밀경 解深密經
    불교 경전의 하나.|총 5권. '해심밀'은 깊게 얽힌 것을 푼다는 뜻이다. 300년 전후에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이 경은 유가행파의 근본경전 가운데 하나로 취급되어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신라와 고려시대에 깊이 연구되었다. 범어 원본은 전하지 않으나 현장의 한역본과 티베트역, 북위(北魏)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해심밀경 解深密經
    유식사상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내용 5권.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와 고려시대에 널리 연구되었다. ‘해심밀’은 긴밀하고 깊게 얽힌 것을 푼다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이 경은 마음에 의하여 세상의 만사가 얽힌 상태로 전개된 것임을 본질적인 측면에서 명쾌하게 해명하기 위하여 설하여진 것이다. 여러 가지 ...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동국대학교 도서관
  • 해심밀경 Sandhinirmocana Sutra, 解深密経
    해심밀경》(解深密經)은 인도의 중기 대승불교의 경전이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해심밀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원래 명칭은 상디니르모차나 수트라(Sa­mdhinirmocana ­sutra)라고 하는데 산스크리트어 원본은 없으며, 한역(漢譯)으로는 《심밀해탈경》(深密解脫經, T.0675)과 《...
    도서 위키백과
  •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것이로다. 애석하도다. 이 책은 아홉 권으로 다하니, 후학이 반드시 찾아서 완전히 갖추도록 할지니라.”고 덧붙여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근래에 이 『해심밀경소』 10권 모두가 『서장대장경(西藏大藏經)』에 완역되어 들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影印 北京版 西藏大藏經 目錄 No.5517, 東北 西藏大藏經 目錄 No...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원측(圓測)
    창작/발표시기 :
    신라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5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10권 5책. 〈해심밀경〉의 주석서로는 유일하게 전하는 책이며, 원측의 저서로도 유일하게 남은 것으로 원측사상의 이해와 현장 사후 원측과 자은(慈恩) 계열로 나뉜 법상종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책이다. 일본의 〈만자속장경 卍字續藏經〉에 원전이 있으나 8권 앞부분과 10권이 빠져 있고, 티베트의 〈서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내용 고려 때 불경목록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 그 책 이름이 보이며, 현재는 그 서문만이 남아 있는데, 『동문선』 제83권에 인용되어 있다. 먼저 간략한 해제로서 이 경전의 불교학상의 위치와 제명(題名)이 뜻하는 바를 풀이하였다. 불설(佛說)은 다양한 논지(論旨)를 가지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원효
    창작/발표시기 :
    통일신라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Sandhinirmocana Sutra 해심밀경, 解深密経
    The Saṃdhinirmocana Sūtra (Sanskrit; ; Gongpa Ngédrel) or Sūtra of the Explanation of the Profound Secrets is a Mahāyāna Buddhist text that is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Yogācāra school of Buddhism. This sūtra was translated from Sanskrit into Chinese four times, the most complete and...
  •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서문만 〈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여기서 원효는 불설이란 겉으로는 다양해 보이나 사실은 모두 일미이며 1승이라 하고, 이 경의 본뜻은 중생이 모두 여래의 모습을 가지고 있음을 깨우쳐 성불시키는 데 있다고 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이 서문을 통해 원효가 〈해심밀경소〉를 저술한 의지는 살필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통일신라시대 불교사, 교학연구 敎學硏究
    설한 형식, 순서, 내용의 우열 등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그의 교판은 다음과 같다. ① 3승별교 : 4제와 연기의 가르침. ② 3승통교 : 《반야경》 · 《해심밀경》의 가르침. ③ 1승분교 : 《영락경》 · 《범망경》의 가르침. ④ 1승만교 : 《화엄경》의 가르침. 그런데 원효는 ①의 별교와 ②의 통교를 나누는 기준을...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해심밀경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는 신라의 고승 원측의 저서이다.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해심밀경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래는 10권이었으나 권10이 산일되어 지금은 9권만 남아 있다. 권1은 서품(序品)으로 여기에서 《해심밀경》의 교리 결국은 만법(萬法...
    도서 위키백과
  • 법상종 法相宗
    慈恩宗)·유가종(瑜伽宗)·응리원실종(應理圓實宗)·보위승교종(普爲乘敎宗)·유식중도종(唯識中道宗)·유상종(有相宗)·상종(相宗) 등으로 불린다. 〈해심밀경 解深密經〉과 미륵(彌勒 Maitreya)의 〈유가사지론 瑜伽師地論〉, 호법(護法 Dharmapala)의 〈성유식론 成唯識論〉 등을 소의경론(所依經論)으로 한다. 당(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교상판석 敎相判釋
    3교8종의 교판에서 3교(三敎)는 ① 〈아함경〉 등 소승의 가르침인 유교(有敎), ② 〈반야경〉과 삼론(三論)등의 가르침인 공교(空敎), ③ 〈화엄경〉·〈해심밀경〉·〈법화경〉 등의 가르침인 중도교(中道敎)를 말하며, 8종(八宗)이란 ① 아법구유종(我法俱有宗), ② 법유아무종(法有我無宗), ③ 법무거래종(法無去來...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