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신라의 고승인 원측(圓測 : 613~696)이 쓴 〈해심밀경〉(불교 唯識宗의 근본 경전)의 주석서.|10권 5책. 〈해심밀경〉의 주석서로는 유일하게 전하는 책이며, 원측의 저서로도 유일하게 남은 것으로 원측사상의 이해와 현장 사후 원측과 자은(慈恩) 계열로 나뉜 법상종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책이다. 일본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측이 『해심밀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내용 10권 5책. 목판본. 본래 10권으로 『속대장경(續大藏經)』 권34에 수록되어 전해 오는 것인데, 그 중 제8권 머리 부분과 제10권 전부가 실전(失傳)되었다. 안영사본(安永寫本)의 제8권 표지(表紙) 뒤에는 “이 품의 에 궐문이 있다. …...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원측(圓測)
    창작/발표시기 :
    신라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5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해심밀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내용 고려 때 불경목록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 그 책 이름이 보이며, 현재는 그 서문만이 남아 있는데, 『동문선』 제83권에 인용되어 있다. 먼저 간략한 해제로서 이 경전의 불교학상의 위치와 제명(題名)이 뜻하는 바...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원효
    창작/발표시기 :
    통일신라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신라의 고승인 원효가 쓴 〈해심밀경〉의 주석서.|고려 때의 불경목록인 〈신편제종교장총록〉에 실려 있다고 하나 이는 현존하지 않고 서문만 〈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여기서 원효는 불설이란 겉으로는 다양해 보이나 사실은 모두 일미이며 1승이라 하고, 이 경의 본뜻은 중생이 모두 여래의 모습을 가지고 있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통일신라시대 불교사, 교학연구 (관련어 해심밀경소) 敎學硏究
    원효 617~686. 경북 경산 출신으로 성(姓)은 설(薛), 이름은 서당(誓幢) 또는 신당(新幢)이다. 15세 전후에 출가하고, 34세 때 의상과 함께 유학하기 위해 당으로 가다가 요동에서 고구려의 순찰병에게 붙잡혀 실패했다. 그 후 45세 때 의상과 함께 바닷길로 당에 가기 위해 부두로 가는 도중에 날이 어두워져 땅굴에서 ...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해심밀경
    한국의 불교 《해심밀경》(解深密經疏)는 신라의 고승 원측의 저서이다.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해심밀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래는 10권이었으나 권10이 산일되어 지금은 9권만 남아 있다. 권1은 서품(序品)으로 여기에서 《해심밀경》의 교리 결국은...
    도서 위키백과
  • 해심밀경 解深密經
    법신상(法身相), 그리고 화신(化身)의 작업(作業)은 어떠한가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 경에 대한 우리 나라 승려의 주석서로는 신라 원측(圓測)의 ≪해심밀경 解深密經疏≫ 10권, 원효(元曉)의 (疏), 경흥(憬興)의 5권, 영인(靈因)의 11권 등이 있다. 이 중 원효의 것은 서문만 남아 있고, 원측의 것은 제10권...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동국대학교 도서관
  • 해심밀경 解深密經
    차별이 없는 것을 말한다. 즉 세상만사가 얽혀 전개되는 것은 곧 마음의 동요에 의한 것임을 밝히고 마음의 영원불멸한 실상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 이 경의 목적이다. 주석서로는 영인·원측·원효(元曉)·경흥의 것들이 있었다고 하나 현존하는 것은 원측이 쓴 〈해심밀경〉뿐이며, 원효의 것은 서문만 남아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해심밀경 Sandhinirmocana Sutra, 解深密経
    속한다. 인도의 유가유식설(瑜伽唯識說)과 중국 등지의 법상종(法相宗)의 근본경전 중 하나로 되어 있다. 신라의 고승 원측은 이 경전의 해설서인 《해심밀경》(解深密經疏)를 지었다. 내용은 8품(八品)으로 되어 있다. 제1품은 서품(序品)이고 제2~5품의 4품은 이론이며, 제6~8품의 3품은 실천에 관한 주제를 취급...
    도서 위키백과
  • 법상종 法相宗
    반야심경 般若心經〉의 오역을 지적할 정도로 산스크리트에 능통했다고 한다. 그는 신라불교 특유의 회통적(會通的) 관점에서 〈성유식론 成唯識論疏〉·〈해심밀경 解深密經疏〉 등을 저술해 호법의 학설에만 기울어진 현장과 규기를 비판하고 진제가 전한 안혜의 유식설과 나아가 중관학파의 학설까지도 포섭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원측 圓測
    주로 참여했다. 원측의 제자 도증(道證)은 692년(효소왕 1)에 신라로 귀국하여 원측의 유식학을 신라에 전했다. 또한 원측의 후계자 담광(曇曠)이 원측의 〈해심밀경 解深密經疏〉를 둔황[敦煌] 지방으로 가지고 간 것이 계기가 되어 법성(法成)에 의해 티베트어로 번역되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해심밀경〉 10권...
    출생 :
    613(진평왕 35)
    사망 :
    696(효소왕 5)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서명학파 西明學派
    배척당하여 그의 저서도 대부분 사라지게 되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법상종의 형성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음이 인정되고 있다. 그의 〈해심밀경 解深密經疏〉는 해심밀경의 주석서로는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으로서 티베트어 번역으로도 남아 있어 그의 영향력을 짐작하게 한다. 이 저서는 또한 당시의 복잡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