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패관문학 稗官文學패관들이 모아 기록한 가설항담에 창의성과 윤색이 가미된 일종의 산문적인 문학양식. 내용 패관문학이라는 말이 국문학사와 소설사에서 쓰이기 시작한 것은 김태준(金台俊)의 『조선소설사(朝鮮小說史)』가 처음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는 패관문학보다 패관소설(稗官小說)·패사(稗史)·패사소설(稗史小說)·패관기...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한문학
-
패관문학민간에서 수집한 이야기에 창의성과 윤색을 더한 산문문학 임금의 정치를 돕기 위하여 가설항담을 모아 엮은 설화문학으로서, 고려 시대 민간의 풍속과 소문을 기록하던 관리를 패관이라 부른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소설 발달의 모태가 되었다.
-
-
패관잡기 稗官雜記어숙권이 지은 『패관잡기』가 사료의 창고’일 것이라고 여겼다.”라고 하면서, 『패관잡기』 전편을 보기를 고대하다가 친구 이치수(李穉粹)에게서 완질을 얻어 보게 되었다고 한다. 이 책은 그만큼 조선 전기 패관문학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으며, 조선 전기의 사실(史實)을 이해하는 데 요긴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설 小說小道) 및 잔총소어(殘叢小語)의 뜻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소설이라는 명칭은 이규보(李奎報)의 『백운소설(白雲小說)』에서 처음 비롯되지만, 대개 패관문학(稗官文學) · 패설(稗說) · 패사(稗史) · 야승(野乘) · 수필 등의 포괄적이고 보잘것없는 속설로 인식되어 왔으며, 유학자들에 의해서 그 존재의미 자체...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고려의 문학과 예술같이 민중의 감정과 생활모습을 자유분방하게 표현한 장가(長歌)도 유행했다. 또한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 최자(崔滋)의 〈보한집〉과 같은 수필형식의 패관문학과 임춘(林椿)의 〈국순전〉, 이규보(李奎報)의 〈국선생전〉과 같이 사물을 의인화한 가전체문학이 발달했다. 음악은 신라 이래의 고유한 음악인...
-
한국서사문학연구 韓國敍事文學硏究에서는 문학발생기로부터 서사문학을 정립시킨 왕조시대에 이르는 계보적 진화의 전 과정에 나타난 일체의 문학적 서사형태를 고대 서사문학이란 범주에 두고, 신화로부터 전설, 민담, 패관문학(稗官文學)으로 나타난 야담, 시화(詩話), 가전(假傳)소설 등을 포괄하여 고대 서사문학으로 다루었다. 원시적 고대인의 의식...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황패강(黃浿江)
- 창작/발표시기 :
- 1972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단국대학교 출판부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김시습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은 조선 시대 문인 김시습의 《금오신화》이다. 고려 시대 설화와 패관 문학, 가전체 문학이 토대가 되어 조선 전기 서사 문학이 꽃피었고,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가 탄생하면서 우리나라 소설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김시습은 1434년(세종 16) 한양 성균관 근처에서 태어났다. 한국 역사...
- 출생 :
- 1435년
- 사망 :
- 1493년
- 대표작 :
- 《금오신화》, 《탕유관서록》, 《탕유관동록》, 《탕유호남록》 등
-
이규보문인 관료층에 의해 융성했다. 문인 개인의 문집 편찬도 활발했는데, 이 문집들에는 한시는 물론, 수필, 문예 비평, 고대와 당대의 설화, 설화를 윤색한 패관 문학 등 다양한 양식의 풍부한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들은 당대 가전 문학과 인물전(傳)을 비롯해 조선 시대 소설의 모태가 되었다. 고려 시대 대표...
- 출생 :
- 1168년
- 사망 :
- 1241년
- 대표작 :
- 《동국이상국집》, 《동명왕편》, 《개원천보영사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