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판소리창법 ─唱法판소리를 노래하는 방법. 개설 좁게는 발성법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창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 유파, 가풍, 발성법, 성음 등을 모두 의미한다. 판소리의 발성은 기본적으로 통성을 사용한다. 통성이란 호흡을 배(단전)로 하여 단전의 힘으로 소리를 밀어내는 것을 말한다. 통성을 하게 되면 큰 음량은 물론 소리 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오월광주 五月光州와 같이 시간에 따라 주인공이 변화해가는 다면적인 구성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장 공연에서는 부분적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 같은 양악곡을 삽입하여 청중과 함께 부르기도 하지만, 녹음에서는 기악으로 처리하여 배경음악으로만 사용하였고, 실제 창은 정통 판소리 창법에 충실하게 연주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임진택
- 창작/발표시기 :
- 1990
- 성격 :
- 창작 판소리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남도민요 남도잡가, 南道民謠밭농사와 어업 등의 각종 노동을 할 때 민요를 부른다. 노동요가 민간에 퍼져 모심기소리인 상사소리는 「농부가」 등의 통속민요로 발전하고, 「농부가」는 판소리 『춘향가』에 삽입가요(揷入歌謠)로 부른다. 구성 및 형식 남도민요는 노랫말이 여러 연으로 된 유절 형식(有節形式)에 메기고 받는 가창 방식으로 된...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판소리판소리 12바탕이 기록되어 있다. 19세기 후반기는 전기 8명창의 소리를 계승하여 다양한 더늠이 개발되고, 판소리의 발전에 따라 향유층이 양반층으로까지 확대...다듬어지고 한문투의 사설이 삽입되었으며, 음악적인 면에서도 가곡 창법이 도입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지역적 소리 계보에 따라 동편제(東便制...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판소리의 발성과 성음 음역판소리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성이라 하여, 횡격막을 위로 밀어올려 내는 소리를 사용하는데, 서양음악의 벨칸토 창법에서는 두강의 공명에 주력하지만, 판소리에서는 공명을 시키는 데 주력하지 않고 목을 조여 소리를 낸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풍부한 성량을 타고나지 않으면 통성으로는 높은 음정을 낼 수 없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