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엔차 뜨거운 흙의 냄새, Faenza
    에밀리아 로마냐 지방의 남쪽, 볼로냐와 리미니 사이에 있는 도시, 파엔짜. 이 도시는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상표가 되어 있다. 영어로는 faience, 불어로는 Faiance라는 도자기는 이미 세계 최고급 상표로 자리매김하였다. 라벤나의 비잔틴 문화와 피렌체의 르네상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이 도시는 그 수준 높은 예...
    지역 :
    에밀리아 로마냐(Emilia Romagna) 주(州)
  • 파엔차 Faenza
    이탈리아 북부 에밀리아로마냐 지방 라벤나 주에 있는 도시. (라). Faventia.|라모네 강을 끼고 있으며 볼로냐 남동쪽에 있다. BC 2세기에 아이밀리아 가도가 지나던 로마 제국의 도시(파벤티아)였으나 발굴된 유물로 보아 훨씬 이전에 취락지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민족의 침략을 많이 받았으며 12세기초...
    위치 :
    이탈리아 북부 라벤나 주 중부, 라모네 강 왼쪽 연안
    인구 :
    58,797명 (2017 추계)
    면적 :
    215.76㎢
    대륙 :
    유럽
    국가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파엔차 Faenza, ファエンツァ
    파엔차(Faenza)는 볼로냐에서 남동쪽으로 50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에밀리아로마냐주 라벤나도의 코무네이자 이탈리아의 도시이다. 파엔차는 마욜리카 유리 토기의 역사적인 제조지역이다. 아펜니노 이남 첫 언덕들의 끝자락에 위치한 파엔차는 포도원을 포함한 농업 지역에 둘러싸여 있다. 주변의 사모기아강과 라몬강...
    도서 위키백과
  • 파엔차 마욜리카 Faenza maiolica
    달린 항아리를 들 수 있다. 후에 담청색(베레티노)의 바탕이 인기가 있었다. 16세기초에는 이스토리아토 양식의 장식(성서·신화·전설의 장면을 묘사)이 파엔차에서 보편화되었다. 15세기 말엽에서 16세기 중엽의 것이 가장 정교했다. 파엔차 도기의 대부분은 수출되었으며 프랑스어 '파이앙스'(주석유약도기)의 어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로베르토 파엔차 Roberto Faenza, ロベルト・ファエンツァ
    영화인 정보 로베르토 파엔차(Roberto Faenza, 1943년 2월 22일 ~ )는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이다. 진실은 하늘에 (2016) 아니타 B. (2014) 실비오 포에버 (2011) 섬데이 디스 페인 윌 비 유즈풀 투 유 (2011) 총독 (2007) 컴 인투 더 라이트 (2005) 아이 지오르니 델 아반도노 (2005) 솔 키퍼 (2002) 페레이라가 주장...
    도서 위키백과
  • 파이앙스 블랑슈 faience blanche
    1570년경 등장한 복잡한 그림으로 지나치게 장식하는 도기에 반발하여 장식이 거의 없는 파엔차 마욜리카(주석 유약 도기)인 '비앙키 디 파엔차'를 모방한 것이다. 좀더 단순한 형태에서는 흰색 부분이 대부분 노출되어 있었고, 중앙에 도형을 하나 그려넣거나 가장자리에 양식화된 화환을 두른 방패 모양의 문장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파이앙스 faience
    이탈리아에서 만든 파엔차 마욜리카 도기나 네덜란드·영국에서 만든 델프트 도기와는 구별된다. 주석 유약 도기는 원래 무어인이 지배하던 스페인과 15세기 이탈리아에서 만들었으며, 파이앙스라는 프랑스식 이름은 르네상스 시기에 마욜리카 생산의 이탈리아 중심지였던 파엔차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후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주석유약도기 朱錫釉藥陶器, tin-glazed earthenware
    제조된 도기가 마욜리카 섬을 거쳐 이탈리아로 전해졌으며, 그때부터 이탈리아에서는 마욜리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이탈리아식 마욜리카, 특히 파엔차에서 만든 것이 더욱 선호되었으며, 16세기초에는 프랑스에서 이것을 모방했다. 처음에는 프랑스의 주석유약도기를 가리키다가 뒤에는 스페인·스칸디나비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코렐리 Arcangelo Corelli
    초기 교육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그의 첫 스승은 푸시냐노 교외에 있는 마을인 산사비노의 보좌신부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후에 그는 파엔차와 루고로 가서 처음으로 음악이론을 접하게 되었다. 1666~67년 볼로냐에 있는 산페트로니오 성당의 바이올린 연주자인 조반니 벤베누티에게 바이올린의...
    출생 :
    1653. 2. 17, 교황령 이몰라 근처 푸시냐노
    사망 :
    1713. 1. 8, 로마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마욜리카 maiolica
    이탈리아의 파엔차·데루타·우르비노·오르비에토·구비오·피렌체·사보나 등지가 생산의 중심지였다. 이것은 다른 나라에서도 만들었으며 이를 파이앙스나 델프트 도기라고 불렀다. 이 도기가 무어인이 지배했던 스페인에서 마욜리카 섬을 통해 이탈리아에 소개되면서 그 섬의 이름을 따서 마욜리카라고 불리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사르티 Giuseppe Sarti
    예배음악과 50여 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초년에 볼로냐에서 조반니 바티스타 마르티니에게 오르간과 작곡을 배운 후, 파엔차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1748)를 거쳐, 그곳의 극장감독으로 일했다. 첫 오페라 〈아르메니아의 폼페오 pompeo in Armenia〉(1752)로 작곡능력을 인정받았고, 베네치아에서 〈양치기 왕 Il re...
    출생 :
    1729. 12. 1, 교황령 파엔차에서 세례받음
    사망 :
    1802. 7. 28, 베를린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메텔루스 피우스 Quintus Caecilius Metellus Pius
    로마를 지켜내지 못하고 아프리카로 퇴각했다가 BC 83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술라와 합세했다. 마리우스파와의 뒤이은 짧은 내전기간중 파벤티아(지금의 파엔차)에서 가이우스 노르바누스를 크게 패배시켰다(BC 82). BC 80년 술라와 함께 콘술(집정관)을 지내다가 반란자 퀸투스 세르토리우스를 진압하라는 명령을 받고...
    출생 :
    미상
    사망 :
    BC 63경
    국적 :
    로마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6건

파엔차(Faenza)
파엔차 대성당
시계탑(La Torre dell’Orologio)
두오모(Duom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