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간의 두뇌는 백지상태였다가 경험에 의해 형성되나?, 타불라 라사 ..
    tabula rasa는 “글자가 씌어 있지 않은 서판(書板) , (마음 등의) 백지(白紙)상태, 순결한 마음”을 뜻하는 라틴어다. 영국 사상가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는 첫 번째 저서인 『인간오성론(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1690)에서 바로 이 tabula rasa의 원리를 들어 우리가 머릿속에 생각을 갖고 ...
  • 타불라라사 tabula rasa
    경험론자들이 쓰는 용어로, 감각이 외부의 대상세계에 반응하여 관념을 새기기 이전의 인간정신 상태를 가리킨다. 정신을 아무것도 쓰지 않은 칠판에 비유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에 관하여 De anima〉(BC 4세기)가 처음이다. 그후 아리스토텔레스의 소요학파와 마찬가지로 스토아 학파도 정신의 본래상태는 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타불라 라사 (관련어 타불라라사) Tabula rasa, タブラ・ラーサ
    다른 뜻 설명 타불라 라사(tabula rasa, 라틴어로 "깨끗한 석판")는 인식론에서 어떤 개인인 인간이 태어날 때에는 정신적인 어떠한 기제도 미리 갖추지 않고 마음이 '빈' 백지와도 같은 상태로 태어나며 출생 이후에 외부 세상의 감각적인 지각활동과 경험에 의해 서서히 마음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지적 능력이 형성 된...
    도서 위키백과
  • Tabula rasa 타불라 라사, タブラ・ラーサ
    John Locke's philosophy regarding the epistemological question of the foundations of knowledge. Tabula rasa refers to the epistemological idea that individuals are born without built-in mental content and that therefore all knowledge comes from experience or perception. Proponents of tabula rasa ...
  • 라사
    라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라싸시: 티베트 자치구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시 라사 (이탈리아) 타불라 라사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경험론 Empiricism, 経験論
    피론주의와 깊은 관련이 있다. 개인은 어떠한 정신적인 내용 없이 태어나며 이들의 지식은 경험과 지각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타불라 라사의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 시대에 정립되었으며 이븐 시나Dr. Abu Shadi Al-Roubi 에 의해 그 의미가 개량되었다. 이븐 투파일은 이 단어의 뜻을 사고 실험...
    도서 위키백과
  • 아 프리오리와 아 포스테리오리 A priori and a posteriori, 先驗與後驗
    알 수 없는 경험적 사실(an empirical fact unknowable by reason alone)이나 경험적 증거에 의존적이다. 귀추법 아 프리오리 확률 우연 연역 귀납 타불라 라사 서적 인용백과사전 인용서적 인용저널 인용 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저널 인용 InPhoIEP — in the Philosophical Dictionary online...
    도서 위키백과
  • 백지 수표 Blank cheque
    미완성으로 발행한 어음에 미리 한 합의와 다른 보충을 한 경우에는 그 위반으로써 소지인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그러나 소지인이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어음을 취득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백지 어음·수표는 백지를 보충한 후에야 지급·제시할 수 있다(어음법 제10조). 백지식배서 수표 타불라 라사
    도서 위키백과
  • 본유주의 Innatism, 天赋观念论
    생득적으로 갖추고 있는 관념이다. 생득관념(生得觀念) 또는 본유관념(本有觀念)이라고도 한다. 관념론에 특유한 용어로서 자아(自我), 신(神), 수학, 공리 등의 관념은 본래 인간이 가지고 있는 것이며, 경험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부바/키키 효과 개념 관념 본능 본성 대 양육 플라톤주의 타불라 라사 글로벌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빈 서판 (책) The Blank Slate
    최종 후보에 올랐다. 핑커는 현대 과학이 지적 생활에서 인간 본성에 대한 지배적인 견해를 구성하는 세 가지 "연결된 교리"에 도전했다고 주장한다. 타불라 라사 (마음에는 타고난 특성이 없음) - 경험주의 고귀한 야만인 (사람은 선하게 태어나고 사회에 의해 타락함) - 낭만주의 기계 속 유령 (우리 각자에게는...
    도서 위키백과
  • 펠라기우스주의 Pelagianism, ペラギウス主義
    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하여 침묵하고 있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찰스 G. 피니 반펠라기우스주의 펠라기우스 아우구스투스 타불라 라사 비결정론 웹아카이브Expositions on Paul's Epistle웹아카이브 The Writings of the legendary PelagiansPelagians, Donatists, Monks, Anabaptists and other...
    도서 위키백과
  • 원초적 입장 Original position, 無知のヴェール
    최대이익이 되도록 조정되어야만 한다. 무지의 베일(veil of ignorance) 또는 베일 뒤 조건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사회계약 체결 후 어떤 계층에 속할지 알 수 없다. 롤스는 그런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떤 계층에 특별히 유리하거나 불리하지 않도록 조화로운 사회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보았다. 베이즈 확률론 타불라 라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인간 오성론(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