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콘스탄티노스 5세 Contantinus V Copronymus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741~775 재위). (영). Constantine Ⅴ Copronymus.|레온 3세의 아들이다. 720년 아버지와 함께 제국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단독 통치자로 즉위하기 전후의 대부분을, 제국을 위협했던 아랍인들과 불가리아인들에 대항한 전쟁으로 보냈다. 비잔티움 제국의 모든 자원이 전쟁에 투입되고 있었기...
    출생 :
    718, 콘스탄티노플
    사망 :
    775. 9. 14, 불가리아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노스 5세 (관련어 콘스탄티노스5세) Constantine V,..
    왕족 정보 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는 741년 동로마 제국 황제가 되었으나 아르타바스도스의 반란으로 퇴위되었다가 743년 다시 권좌에 복귀하여 775년 죽을 때까지 통치했다. 코프로니모스(Κοπρώνυμος)라는 별칭은 똥싸개라는 뜻으로 그의 성상 파괴 운동의 반대자들이 그를 경멸적으로 불렀던 이름이다....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6세 Kōnstantinos VI
    콘스탄티노스 5세의 손자였다. 10세 때 어머니 이리니의 후견 아래 아버지 레온 4세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다. 니케아 공의회(787)가 성화상 공경을 재정립시킨 것은 그녀가 섭정을 맡고 있을 때였다. 콘스탄티노스가 성년이 되자, 이리니는 최고 권력을 보전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790년 군대는 콘스탄티노스 6...
    출생 :
    770
    사망 :
    797. 8. 15 이후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노스
    1973년에 폐위될 때까지 군림한 그리스 왕국의 국왕 콘스탄티노스 3세 콘스탄티노스 4세: 668년부터 685년 죽을 때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5세 콘스탄티노스 6세: 780년부터 797년까지 비잔티움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 913년부터 959년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8세: 비잔티움의 황제...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Constantine Laskaris, コンスタンティ..
    왕족 정보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Κωνσταντίνος Λάσκαρης)는 1204년 불과 몇 달 동안 비잔티움 황제였다. 1204년 제4차 십자군의 침공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약탈 당할 때 황제 알렉시우스 5세가 몰래 도망치자 도시를 지키던 방위군의 대장이던 그가 스스로 황제라고 칭하였다. 그러나 도시가...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Donation of Constantine, コンスタンティヌスの寄進状
    위조된 문서라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교황의 노여움을 산 로렌초 발라는 종교재판소의 심문을 받았으나 곧 복권되었다. 1448년 친인문주의 성향의 니콜라오 5세는 그를 수사학 교수이자 교황청 비서로 임명했다. 중세 시대의 교회는 교황령 형성에 큰 공헌을 한 이 기증 행위를 공식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여겼고 황제들...
    도서 위키백과
  • 미하일 5세 Michael V Kalaphates, ミカエル5世
    환관 요안니스 오르파노트로포스에 의해 조이의 양자로 들어갔다. 삼촌 미하일 황제가 죽자 조이의 용인하에 미하일은 큰삼촌인 요안니스의 도움으로 미하일 5세로서 황제가 되었다. 황제의 자리에 오르자 미하일은 또다른 삼촌 콘스탄티노스의 도움으로 큰 삼촌이자 막강한 권력의 환관 요한네스를 제거하고 그를...
    도서 위키백과
  • 레온 3세 Leo III
    데에만 주력할 수 있었다. 740년 아크로이노스(지금의 아피온카라히사르)에서 아랍인들을 크게 쳐부숴 위협받고 있던 소아시아 지역을 지켰으며 아들인 콘스탄티노스 5세(741~775 재위) 때 비잔티움 제국은 공세(攻勢)를 취해 예전에 아랍인에게 빼앗긴 일부 지역을 되찾았다. 또한 레온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거대한...
    출생 :
    675/680경, 시리아 콤마게네 게르마니키아
    사망 :
    741. 6. 18, 콘스탄티노폴리스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교황 니콜라오 5세 Pope Nicholas V, ニコラウス5世 (ローマ教皇)
    했다. 하지만 화려했던 그의 치세는 1453년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하면서 빛바래지게 되었다. 1452년 늦은 봄에 동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가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2세의 침략이 임박하자 도움을 요청하는 친서를 니콜라오 5세에게 보냈다. 이에 니콜라오 5세는 위기에 처한...
    도서 위키백과
  • 성화상 논쟁
    입장에 섰고, 730년 성상을 사용하는 일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이 조치로 성화상을 공경하는 자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었고, 이 박해는 레오의 계승자 콘스탄티노스 5세(741~775 재위) 때 절정에 달했다. 그러나 787년 여황제 이리니가 니케아에서 소집한 제7차 세계 공의회는 성상파괴주의를 단죄하고 성상 사용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미하일 1세 Michael I Rhangabe
    812년에 불가리아 칸[汗] 크룸이 비잔티움의 데벨투스 시를 점령하고 그 주민들을 불가리아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미하일은 자신을 축출하고 옛 황제 콘스탄티노스 5세의 아들을 황제로 삼으려는 성상파괴론자들이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불가리아에 곧바로 대항하지 못했다. 그가 반란을 진압하자 크룸은 평화조약을...
    출생 :
    미상
    사망 :
    843경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동로마 황제 List of Byzantine emperors, 東ローマ帝国の皇帝一覧
    들어감; 나중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처형당함 테오도시오스 3세 – 징세관; 제위에서 물러나 수도원에 들어감 레오 3세 이사우리아인 – 스트라테고스 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무스 – 레온 3세의 아들;폐위됨 아르타바스도스 – 레오 3세의 사위 콘스탄티누스 5세 코프로니무스 – 복위됨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