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초공본풀이
    초공본풀이」는 제주도 굿에서 심방 조상의 기원과 내력을 풀이하는 서사무가이다. 이 무가를 구연하는 제차의 이름이기도 하다. 무조신인 젯부기 삼 형제와 그 어머니, 신병을 앓다가 무조신의 굿법을 배워 굿을 하게 된 유정승 따님 아기, 무악기를 만든 너사메너 도령 등의 내력을 통해 심방이 하는 굿의 당위성을 보...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초공본풀이
    제주도 큰굿에서 심방이 노래하는 무조신 신화, 또는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의절차.|큰굿 때 일월맞이 다음에 행해지며 초공상(初公床) 앞에서 심방이 혼자 장구를 치며 노래한다. 순서는 먼저 굿하는 사유를 노래하고 무조신의 신화를 노래하며, 이어서 기원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초공이란 무조인 동시...
  • 제석본풀이 당금애기, 帝釋本풀이
    「제석본풀이」는 당금애기를 주인공으로 하여 전국의 무당굿 제석굿에서 불리는 무속신화이다. 주인공의 이름인 당금애기무가로 널리 알려졌다. ‘성인노리푸념’·‘삼태자풀이'·‘셍굿’·‘시준풀이’ · ‘시준굿’·‘제석풀이’·‘제석굿’·‘초공본풀이’ 등 여러 이칭이 있다. 공통 내용은 같지만, 지역에 ...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신칼 神─
    제주도이다. 신칼(시왕대번지, 멩두칼)은 제주도에서 방울(천앙낙화옥술발), 산판 등과 합쳐서 “삼멩두”라고 한다. 삼멩두는 무구 이름이기도 하고, 「초공본풀이」에서 등장하는 세 명의 무조(巫祖)인 아이 적 이름을 뜻하기도 한다. 그만큼 제주도의 「초공본풀이」와 무구 삼멩두는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유형 :
    물품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석살림
    석살림이 제의에 낄 경우에는 제차(차례) 가운데 ‘추물공연’ 다음에 있게 되나, 그밖에 제의의 진행상 더 필요를 느낄 때에는 제차 가운데 반드시 초공본풀이 전에 한해서 서너 차례까지도 행하여질 수 있다. 석살림의 ‘석’은 제주도방언에서 가축을 이끄는 밧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것은 비생명체가 어떠한...
    성격 :
    굿거리
    유형 :
    의식행사
    장소 :
    제주도 지역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제석경 제석풀이, 帝釋經
    제석굿·제석거리로, 앉은굿에서는『제석경』으로 제차(祭次)를 삼았다. 법사가 구송하는 이 경문의 내용은 선굿의 제석본풀이·세존풀이·당금애기타령·초공본풀이 등과 거의 비슷하다. 곧 제석이 하늘에서 내려와 마마부인을 맞아 함께 살 명당을 찾는다. 제석 명당에 자리를 잡는 대가로, 딸아기 하나에 아들형제...
    성격 :
    독경문, 민간신앙경문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제석본풀이
    전승지역에 따라 〈성인노리푸념〉(강계)·〈삼태자풀이〉(평양)·〈셍굿〉·〈당금아기〉·〈시준풀이〉(강릉)·〈제석풀이〉·〈초공본풀이〉(제주) 등으로 불린다. 지금까지 〈제석본풀이〉는 전국에서 약 40여 편이 채록되었는데 각 편의 공통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에 아름다운 딸아기를 둔 명문대가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칠성새남 七星─
    이것을 칠성상 위에 모시고 굿을 시작한다. 굿은 일반 큰굿과 같이 정장한 수심방(큰무당)이 노래와 춤으로 초감제부터 시작하여 초상계·일월맞이·초공본풀이·초공맞이 순으로 진행하여 가는데, 각 제차 때마다 칠성에 걸린 사유를 노래하여 치병을 빈다. 초공맞이가 끝나면 초곱메김이라는 연극적 제차를 행하는데...
    성격 :
    무속의례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신칼점 神─占
    내용 신칼점은 본토보다는 제주도에서 특히 발달하였다. 제주도에서는 신칼을 중요한 무구(巫具)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무속신화(巫俗神話) 「초공본풀이」에 자세한 내력이 있다. 신칼점은 심방이 무의를 행할 때, 신의를 알고자 하는 사항을 물으면서 신칼 두 개의 치마(끈)를 쥐고 지면에 던져놓아 그...
    성격 :
    무속의식, 점법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산판점 算版占
    이 산판을 가지고 점치는 것을 산판점이라 하는데, 이 점은 신칼점과 병행하여 모든 무의(巫儀)에서 행해진다. 산판점의 기원과 유래는 제주도 무가 〈초공본풀이〉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 산판·신칼·요령을 일컬어 삼멩두라 부르는 내력이 밝혀져 있고, 그것이 어떻게 심방과 관계되는가를 알게 한다. 그 점법은 심방...
    성격 :
    점법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