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구영언 靑丘永言
    1728년에 편찬된 가장 오래된 대표적 시조집으로 후대의 가집편찬에 영향을 끼쳤다. 정윤경의 서, 악조별 6수, 여말 6수, 조선왕조 203수, 열성어제 5수, 여항 6인의 65수, 규수 3인의 5수 등 580수의 시조를 실었다. 이어 김천택의 발과 마악노초의 후발이 실려 있다. 시조를 작가와 시대별로 배열했고 작자가 있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청구영언 靑丘永言
    청구영언은 조선 시조작가 김척택이 조선 후기까지 구비 전승된 총 580수의 노랫말을 엮어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가집(歌集 ・ 시조집)으로, ‘해동가요’, ‘가곡원류’와 더불어 조선 3대 가집으로 불린다. 2010년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가곡의 원천 자료이기도 하다. 한편 2022년 2월 28일 문화재청...
  • 김천택, 청구영언
    기록된 작품 및 동시대 작가들의 새로운 창작품을 집대성하여 시조 문학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대표적인 가객 김천택이 엮은 가집이 청구영언이다. 청구영언은 현존하는 가집 중 가장 오래된 대표적 가집으로 해동가요, 가곡원류와 함께 3대 가집으로 불린다. 또 사대부들이 즐겼던 시조가 중인 가객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청구영언 靑丘永言
    조선후기 시조작가 김천택이 시조 580수를 엮어 편찬한 가집.|서지사항 1권 1책. 필사본. 내용 ≪해동가요≫ · ≪가곡원류≫와 함께 3대 시조집의 하나이다. ‘청구’는 본래 우리나라를 뜻하는 말이고, ‘영언’은 노래를 뜻한다(歌永言)는 말이다. 책명은 한글로 모두가 ‘청구영언’이지만, 한자로 쓰면, ‘靑丘詠...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청구영언
    청구영언》(靑丘永言)은 1728년(조선 영조 4년) 김천택이 엮은 가곡집이다. 현존하는 시조집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다. 고려 말 이래 시조 998수를 싣고, 끝에 가사 17편을 붙여 곡조별로 엮었으며, 이름을 알 수 있는 작가만도 140여 명에 이른다. 그런데 1948년 조선 진서 간행회에서 발행한 《청구영언》에는 시조 5...
    도서 위키백과
  • 서산일락가 西山日落歌
    알려져 왔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오이건(吳以健)이 쓴 「김해암가곡집서(金懈菴歌曲集序)」는 1690년(숙종 16)에 쓴 것이어서 김천택(金天澤)이 『청구영언』을 찬집한 때보다 38년이 앞선다. 또한 「김해암가곡집서」에 ‘서산일락지곡을 봄으로써 또한 그의 군왕에 대한 충성심을 생각토록 한다.(今西山日落之曲...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가곡원류 청구악장, 歌曲源流
    서지사항 1권 1책(총 144면). 필사본. 내용 『청구영언』, 『해동가요』와 더불어 3대 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10여종의 이본 가운데 원본에 가깝다고 추정되는 국립국악원 소장본은 표제가 ‘가사집’이다. 이본에 따라 청구영언, 청구악장, 해동악장, 화원악보(花源樂譜) 등의 이칭(異稱)이 있다. 보통 ‘가곡원류...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김천택 백함(伯涵), 金天澤
    가객들의 신분이 대부분 그러했듯이, 그도 역시 중인계층으로서 관직생활은 젊었을 때 잠시 지냈고, 거의 평생을 여항에서 가인·가객으로 지낸 것 같다. 『청구영언』에서 자신의 시조를 ‘여항육인(閭巷六人)’이라는 항목에 넣은 것을 보더라도 이를 짐작할 수가 있다. 정윤경(鄭潤卿)이 『청구영언』 서문에서...
    시대 :
    조선
    출생 :
    1680년대 말(추정)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가객, 시조작가
    대표작 :
    청구영언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시가 詩歌
    개설 김천택이 편찬한 무신본(戊申本) 『청구영언』(1728)을 저본(底本)으로 삼아 증보·개편한 18세기 중반(1746년 추정)의 가곡가집이다. 서지적 사항 박상수(朴相洙)가 소장한 가곡가집으로, 책 크기는 세로 26㎝, 가로 23.5㎝이며, 총 112장으로 되어 있다. 책 이름인 ‘시가(詩歌)’는 원자료의 제목이 아니라...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8세기 중반, 1746년 추정
    성격 :
    가곡가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문학/고전시가
  • 해동가요록 海東歌謠錄, Haedong'gayorok
    개설 1728년(영조 4) 3대 가집 중의 하나인『청구영언』을 편찬한 남파(南坡) 김천택(金天澤, ?~?)이 1746년(영조 22)에『해동가요록』을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서는 김수장(金壽長)이 1755년(영조 31)에 편찬한『해동가요(海東歌謠)』(박씨본)의 저본이 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해동가요록』이 현재 남아있지...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천택(金天澤)
    창작/발표시기 :
    1722년
    성격 :
    가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김유기 대재(大哉), 金裕器
    염병으로 객사하였다고 되어 있다. 이 기록과 김천택이 쓴 작품 후서를 종합해 보면 1717년(숙종 43)이나 1718년(숙종 44)경에 죽은 듯하다. 김천택은 『청구영언』을 편찬하면서 ‘여항육인(閭巷六人)’이라는 항목을 별도로 설정하였다. 여기에 장현(張鉉 : 張炫의 오기)·주의식(朱義植)·김삼현(金三賢)·김성기...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음악인
    대표작 :
    등루
    성별 :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관등가 觀燈歌
    구성 및 형식 『청구영언』 대학본 끝에 실려 있으며, 이본으로 필사본 ‘월령상사가(月令相思歌)’도 있다. 창작연대는 수록문집인 『청구영언』의 편찬연대로 보아, 1728년(영조 4) 이전으로 추정된다. 『청구영언』의 「관등가」는 일월령부터 오월령까지뿐인데, 사본 「월령상사가」는 「관등가」에 유월령 이하를...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가사, 규방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건

청구영언
청구영언
청구영언
청구영언
청구영언
청구영언 / 관등가
청구영언 / 낙빈가
청구영언 / 사미인곡
청구영언 / 상사별곡
청구영언 / 사미인곡
청구영언 / 장진주사
청구영언 / 권주가
청구영언 / 백구사
청구영언 / 춘면곡
청구영언 / 춘면곡
청구영언 / 권주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