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죽림7현 竹林七賢, Chulin Ch'i Hsien
    삼국시대말부터 서진 초기(3세기 중엽)에 중국에서 관료 세계를 떠나 전원에서 유유자적한 생활을 즐긴 7명의 은자. (병). Zhulin Qi Xian. (웨). Chulin Ch'i Hsien. (영).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그들은 때때로 뤄양[洛陽] 북쪽의 한 대나무숲에 모여 시를 짓고 거문고를 타면서 단약을 만들거나 술을 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죽림칠현 (관련어 죽림7현)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 竹林の七賢
    죽림칠현(竹林七賢)은 중국 위(魏)·진(晉) 왕조 시절 완적(阮籍), 혜강(嵆康), 산도(山濤), 상수(向秀), 유령(劉伶), 완함(阮咸), 왕융(王戎)을 가리킨다. 정치 권력에는 등을 돌리고 죽림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淸談)을 주고받고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이다. 개인주의적·무정부주의적인 노장사상(...
    도서 위키백과
  • 죽림고회 해좌칠현, 竹林高會
    산야(山野)로 들어가 시와 술로써 불우한 자신들의 처지를 위로했다. 중국의 죽림칠현이 진대의 난시(亂時)에 목숨을 보전하기 위해 초야에 들어가 생겨난 것처럼 죽림고회도 무신이 집권하여 문신들에 대한 횡포가 심해지자 난세를 피하여 향리에 들어가 문학에 열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7현 중 이인로와 조통을 제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고려 , 문학
  • 강좌칠현 해좌칠현, 江左七賢
    분위기 속에서 문인들은 산림에 은거하거나 불교에 의탁하는 자가 많았다. 이중 서로 의를 맺어 망년지우를 삼고 시와 술을 즐긴 이인로·오세재·임춘·조통·황보항·함순·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7현에 빗대어 강좌7현이라 불렀다. 이들 중에서 이인로·오세재 같은 자는 뒤에 무인정권에서 벼슬살이도 했다.
  • 완적 阮籍, Juan Chi
    자는 사종. 일찍이 보병교위 벼슬을 지내서 보통 완보병이라고 불렀다. 괴짜 시인으로 죽림7현중에 가장 유명하다. 죽림7현은 3세기에 활동했던 7인의 시인과 철학자들로, 그들은 세상의 압박으로부터 도피하여 술 마시고 시 짓는 일로 나날을 보냈다. 명문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위(魏 : 220~265/266)의 부패한 정치...
    출생 :
    210, 중국 허난 성[河南省] 카이펑[開封]
    사망 :
    263, 중국
    국적 :
    위(魏),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향수 向秀, Hsiang Hsiu
    자는 자기 하내회 사람이다. 죽림7현의 한 사람으로, 관직은 황문시랑·산기상시에까지 이르렀다(→ 죽림7현). 〈진서 晉書〉의 향수전에 의하면 그가 〈장자주 莊子注〉를 지었다고 한다. 이 원서는 일찍이 유실되었으나, 〈열자 列子〉 장담 주(注)와 육덕명의 〈경전석문 經典釋文〉 중에 그 인용문이 전해진다. 또한...
    출생 :
    227(?)
    사망 :
    277
    국적 :
    위진(魏晉),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이인로 미수, 李仁老
    천거로 한림원에 보직되어 14년간 사국과 한림원에 출입했다. 당시의 이름난 선비인 오세재·임춘 등과 죽림고회를 만들고 시와 술을 즐겼는데, 중국의 죽림7현(竹林七賢)을 흠모한 문학 모임이었다. 그의 문학세계는 선명한 회화성을 통하여 탈속의 경지를 모색했으며, 문은 한유의 고문을 따랐고 시는 소식을 숭상했다...
    출생 :
    1152(의종 6)
    사망 :
    1220(고종 7)
    국적 :
    고려, 한국
  • 홍유손 여경, 洪裕孫
    김종직의 문인이었다고 하지만 아전 출신이다. 세조 찬위 후 세속의 영화를 버리고, 1482년(성종 13)부터 남효온·이총·이정은·조자지 등과 모임을 갖고 죽림7현을 자처했다. 노자와 장자를 논하며 술과 시로 세월을 보내 청담파로 불렸다. 김수온·남효온·김시습 등과는 특히 자주 어울렸다고 하는데, 홍유손만큼 시...
    출생 :
    1431(세종 13)
    사망 :
    1529(중종 24)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혜강 康嵇, Hsi K'ang
    인습에서 벗어난 사고와 행동으로 중국사회에서 주목을 받던 죽림7현(竹林七賢) 가운데 한 사람이다. 위(魏)나라의 유력가문에서 태어나 전통적인 교육을 받았고, 위 종실의 사람과 결혼해서 중산대부(中散大夫)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정치에는 관심이 없어, 허난 성[河南省]에 있는 그의 집 근처 대나무 숲에서 유명한...
    출생 :
    233, 중국 양저우[揚州]
    사망 :
    262, 뤄양[洛陽]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홍유손 여경(餘慶), 洪𥙿孫
    고답(高踏)하면서 영리(榮利)를 구하지 않고 일생을 보냈다. 당시의 명류 김수온(金守溫) · 김시습(金時習) · 남효온(南孝溫) 등과 특히 가깝게 지내면서 죽림7현을 자처하고 노자(老子) · 장자(莊子)의 학문을 토론하며 시율(詩律)을 나누었는데, 남효온은 그를 평하여 “문(文)은 칠원(漆園) 같고, 시는 산곡을...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손위 孫位, Sun Wei
    벽화마다 수화의 명작이 나왔는데, 모두 손위의 업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상하이[上海]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일도 高逸圖〉가 유일하게 남아 있는 작품이다. 이 그림은 위진(魏晉 : 3세기경)시대의 죽림7현(竹林七賢) 가운데 4명을 그린 것으로, 그림에 나타난 인물의 위용이 당당하고 풍모가 맑고 깨끗...
    출생 :
    ?, 회계(會稽 : 지금의 저장 성[浙江省] 사오싱[紹興])
    사망 :
    미상
    국적 :
    중국, 당(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전선 錢選, Ch'ien Hsuan
    지어서 보는 이로 하여금 그의 창작의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그가 도연명을 그린 것은 고결한 뜻과 행동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며, 죽림7현을 그리면서 산도와 왕융을 그리지 않은 것은 그들이 변절하여 새 조정에서 벼슬을 했기 때문이다. 소과와 화조를 그린 것은 자신의 굳은 지조와 전원생활의...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