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유형 | 유적 |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요약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 거조암에 있는 고려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 국보.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정면 7칸, 측면 3칸의 주심포식(柱心包式) 맞배지붕건물. 은해사는 창건 뒤 수차에 걸친 화재로 여러 건물이 중창 · 개건(改建)을 거듭하였으며, 현존하는 가람(伽藍)은 그 대부분이 근세에 건립된 것들이다.
이 영산전은 불규칙하게 채석된 장대석(長臺石)과 잡석(雜石)으로 축조되어 측면 중앙에 간단한 돌계단을 가진 비교적 높다란 기단 위에 선 길쭉한 건물이다. 가구(架構)는 간략한 수법으로 되었으며, 측면 중앙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고주(高柱)와 그 앞뒤의 평주(平柱)에는 뚜렷한 배흘림이 있다.
고주와 평주는 퇴보로 연결되어 평주 위의 공포에 의하여 퇴보 안끝이 받쳐져 이것이 주심도리를 받치게 되고, 출목(出目)으로 된 첨차는 퇴보 끝을 받으면서 외목도리를 받쳤다. 고주머리에는 뜬창방(昌枋)을 돌리며 기둥 위에는 주두(柱頭)를 두고 역시 포작(包作)으로 대들보 끝을 받아 대들보 끝은 중도리를 받쳤다.
대들보 중앙에는 키가 큰 사다리꼴 부재 위에 이중으로 된 포작을 올려 마룻도리를 받치게 하였다. 이 마룻도리는 역시 안으로 굽은 솟을합장으로 받쳐지고 있고, 천장가구는 전혀 없어 주심포집의 한 특징인 연등천장(椽背天障)으로 되었다.
이 건물의 세부를 보면 주두나 소로가 다포집과 같은 형태로 된 것 이외에는 주심포집 양식의 초기적인 형태를 충실히 나타내고 있는 매우 중요한 유구(遺構)이다. 즉 공포의 살미첨차 끝이 거의 수직으로 잘렸고 첨차 하단의 S자형 곡선이 2단으로 꺾인 매우 간단한 선으로 되었으며 대들보 또는 퇴보의 단면이 주심포집 양식의 특징 그대로 되었다.
다른 건물에서는 그 유례를 보지 못하는 이 건물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양식으로서는 평주 위에 놓인 공포 형태와 마룻도리 위에 놓인 일종의 포대공의 형태를 들 수 있다.
평주 위의 공포에서 그 살미첨차가 주두 밑 기둥머리에서 나오는 것은 다른 것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첨차 밑에 겹쳐 다시 헛초공으로 이 첨차를 받쳐 마치 매우 키가 큰 첨차처럼 되어 있는 것은 특이하다. 이것은 이 출목첨차의 길이가 보통 볼 수 있는 건물의 그것보다 길게 나왔기에 이를 보강하기 위한 특이한 처리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 대들보 중앙에 놓여 일종의 포대공으로 된 마룻대공은 높직한 사다리꼴 위에 이중으로 된 포작이 있다. 아래쪽 포작의 첨차는 퇴보 끝의 특이한 형태의 보머리를 거꾸로 한 것 같은 형태로 되었고 위쪽 포작의 첨차는 약간의 변화를 준 역사다리꼴 판상(板狀)으로 되었으며, 이 포대공의 세부는 물론 전체의 형태도 다른 것에서 그 예를 보지 못하는 것이다.
이 건물의 공포의 형태나 마룻도리를 받는 솟을합장의 곡률(曲率)이 작은 점 등으로 보아 적어도 전라남도 강진의 무위사 극락전(국보, 1962년 지정)보다 오래된 양식임에는 틀림없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국보 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 ・ 『한국의 고건축』(문화재관리국, 198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고려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