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뇌와 신경, 좌뇌와 우뇌 기능 언어활동은 좌뇌, 직감력..
    좌뇌는 주로 언어 처리 같은 논리적 사고를 담당하고, 우뇌는 공간 인식 같은 사물의 직감적 이해와 창조적 발상을 담당한다.|뇌량으로 이어져 있는 좌뇌와 우뇌 대뇌에는 가운데에 홈(대뇌횡렬)이 있어 이 홈을 중심으로 좌우 반구로 나뉜다. 각각 좌대뇌반구(좌뇌), 우대뇌반구(우뇌)라고 한다. 좌뇌와 우뇌는 신경...
    참고 :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는 우뇌와 좌뇌의 기능 분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왜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되는지, 왜 오른손잡이가 압도적으로 많은지 이유는 확실하지 않다.
  • 좌뇌·우뇌적 사고 왜 한국인은 ‘감정 억제’에 서투른가?
    를 구분하는 것이다. 좌뇌적 사고는 분석적·논리적·순차적인 접근 방식인 반면, 우뇌적 사고는 직관적·가치지향적·비선형적인 접근 방식이다. 좌뇌와 우뇌기능상 차이를 처음 발견한 사람은 1960년대 초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의 신경생물학자 로저 스페리(Roger Sperry, 1913~1994)다. 198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 북방계, 남방계로 알아보는 한국인
    좌뇌형, 한국은 우뇌형이 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1981년 노벨 생리ㆍ의학상 수상자인 로저 스페리(R. Sperry)의 ‘좌ㆍ우뇌기능 분화설’에 따르면 좌뇌는 언어뇌로서 순차ㆍ논리ㆍ수리를 담당하는 이성뇌이고 우뇌는 감각뇌로서 시각ㆍ청각의 직관적 정보 처리를 맡는 감성뇌이다. 물론 좌ㆍ우뇌가...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뇌와 신경
    정신을 통치하는 뇌는 수많은 신경세포와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뇌와 척수의 신경세포는 중추신경계를 만들고, 말초신경으로 전신과 연결되어 있다. 말초신경은 감각기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운동 명령을 전달하는 체성신경과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내장이나 혈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으로 나눌 수 있다.
  • 대뇌기저핵 수의운동을 조절하다
    일부만 좌뇌와 우뇌로 교차할 경우 교차(chiasma)라 하지요. 시각교차 위에 위치하는 핵은 시교차상핵(SCN ; supra optic chiasmic nucleus)으로 신체의 일주기를 감지하지요. 대뇌기저핵의 구조는 대뇌의 수직절단면에 잘 드러납니다. 수직 단면이 대뇌기저핵을 통과하면 조가비핵과 창백핵으로 구성된 렌즈 형태의...
  • 시상그물핵의 감각신호 억제 시상그물핵의 수입로 차단 작용
    즉 신체적 자아를 생성하고, 우뇌의 상후두정엽은 자아가 3차원 공간 안에 존재할 수 있도록 물리적 공간지각을 만들어냅니다. 이렇게 다른 기능좌뇌의 상후두정엽과 우뇌의 상후두정엽은 서로 연결되어 있죠. 그래서 몸 감각에서 생성된 신체적 자아가 세계와 결합됩니다. 관찰자와 관찰대상이 결합하는 거죠. 절대...
  • 초월적 의식상태 생성 전두엽의 의지적 명령으로 시작되다
    져 있죠. 뇌 역시 연수, 중뇌, 교뇌, 간뇌, 대뇌에 이르기까지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습니다. 대뇌피질도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죠. 좌뇌의 대뇌피질은 오른쪽 몸을 움직이고, 우뇌의 대뇌피질은 왼쪽 몸을 지배하는데, 모양 뿐만 아니라 몇 가지 차이점 빼고는 기능도 비슷합니다. 좌뇌의 대뇌피질은 언어를 처리하고...
  • 시상하부 시상하부의 교감, 부교감 활성화
    중요한 기능이 바로 수분 유지였죠. 시각로상핵에서 분비되는 바소프레신이 이런 수분 유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바소프레신은 혈압을 증가시키고, 체온과 공격성을 조절하기도 하죠. 시교차상핵은 일주기를 결정하는 생체 시계의 역할을 합니다. 시교차상핵은 빛에 민감한 세포들의 집합으로, 동물의 일주기 신호를...
  • 변연계 감정을 일으키는 변연 시스템
    피질로, 기능에 따라 6개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지요. 전대상회의 실행영역은 배외측전전두엽, 보완운동영역과 연결되며 수의운동에서 보완운동영역보다 먼저 활성화되어 운동을 선택하지요. 전대상회의 감정영역은 즐거운 생각을 할 때 활성화되고 슬픈 생각을 할 때는 억제됩니다. 그리고 전대상회의 자율신경영역은...
  • 서번트증후군 savant syndrome
    하지만 지적장애를 앓는 사람들 가운데도 서번트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뇌의 일부분에 손상이 있을 경우 발생한다고 추정된다. 대개는 좌뇌의 손상을 보상하기 위해 우뇌기능이 촉진된 결과 극적인 능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의 대럴드 트레퍼트(Darold A. Treffert) 교수는 2009년 <영국...
  • 소뇌의 부위별 역할 균형의 회로, 운동실행의 회로, 운동계획의 회로
    뇌각을 통하여 소뇌피질로 출력되지요. 교뇌핵에서 시냅스하여 소뇌로 입력되는 축삭은 이끼섬유를 형성하지요. 전두엽의 운동출력 연결에서 X 표시는 좌뇌와 우뇌 신경섬유의 교차를 나타냅니다. 소뇌피질의 푸르키녜세포의 축삭은 치아핵에 억제성시냅스를 합니다. 치아핵에서 출력은 시상복외측핵(VL)과 복측시상전핵...
  • 중추신경계의 운동회로 의지적 운동, 인식, 감정, 안구운동이 모여 행동이 되다
    영역입니다. 좌뇌와 우뇌 보완운동영역의 활동을 억제하면 수의적 행동이 힘들지요. 운동 욕구가 생기지 않습니다. 우리의 행동에는 대부분 행동하려는 의욕인 동기가 있지요. 전전두엽과 함께 보완운동이 아마도 그러한 운동 욕구를 만듭니다. 운동신호는 한번 나가면 수정하기 어렵죠. 의지대로 움직이기 위해 보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