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뇌와 신경, 소뇌와 뇌간 기능 운동 지령을 조정하고 생..
    소뇌는 대뇌에서 보내는 운동 지령을 섬세하게 조정해서 온몸으로 전한다. 뇌간에는 중요한 신경섬유가 많이 지나간다.|소뇌의 구조와 기능 소뇌는 대뇌 후부의 아래쪽에 있고 뇌 전체 무게의 약 10%를 차지한다. 소뇌충부와 좌우 한 쌍의 소뇌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뇌, 뇌교, 연수와 연결되어 있다. 소뇌의 가장...
    참고 :
    간뇌의 시상하부에는 하루 24시간 주기를 감지하는 체내시계가 있다. 그래서 사람은 밤에 잠을 자고 낮에 활동하는 하루의 리듬을 조절할 수 있다.
  • 뇌사 腦死, brain death
    심장과 폐 기능이 영원히 멈춘 것(심폐기능종지설)으로 정의되었으나 최근에는 뇌사도 사망의 정의에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 뇌는 크게 나누어 대뇌·소뇌·뇌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뇌는 운동과 감각을 다스리고 정서 감정에 참여하며 학습이나 기억·언어행동 등 고도의 정신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소뇌는 신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뇌와 신경, 뇌 구조 감정, 사고, 생명 유지의 중추
    사고 활동의 중추 역할을 한다. 대뇌 밑에 있는 소뇌는 타원형 기관으로 신체 동작을 부드럽고 정확히 하며, 몸의 균형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대뇌와 소뇌를 제외한 부분은 뇌간으로 간뇌, 중뇌, 뇌교, 연수의 네 가지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뇌간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신경섬유가 지나는 관으로 심장의 맥동...
  • 뇌줄기 뇌간, brain stem
    나머지 부분을 총칭하는 말이다. 뇌간이라고도 한다. 뇌의 가장 아랫 부분으로 연수, 교, 중뇌로 구성되어 있다. 위쪽으로는 간뇌와 이어지고, 뒤쪽 위쪽에는...소뇌가 의식적인 여러 활동이나 조절에 관계하고 있는 데 비해 뇌줄기는 무의식적인 여러 활동, 예를 들면 반사적인 운동이나 내장 기능 등의 중추가 되고...
    도서 다음백과
  • 뇌와 신경
    정신을 통치하는 뇌는 수많은 신경세포와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뇌와 척수의 신경세포는 중추신경계를 만들고, 말초신경으로 전신과 연결되어 있다. 말초신경은 감각기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운동 명령을 전달하는 체성신경과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내장이나 혈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으로 나눌 수 있다.
  • 신경계 질병과 장애의 종류
    system), 안구의 공간적 움직임 등에 영향을 준다. 뇌간의 뇌출혈은 여러 증후군을 초래하고, 악성종양도 일으키며, 다발성경화증도 뇌간 기능장애의 흔한 원인이다. 연수공동증에서는 뇌간 내에 강이 생기고 뇌신경마비, 소뇌·신경로 손상 등을 보인다. 베르니케병은 티아민결핍으로 발병하며 알코올 중독자에게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증상 , 신경계
  • 뇌간 Brainstem
    8cm로 뇌간은 위에서부터 중간뇌, 다리뇌, 숨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뇌줄기는 상행성 신경로와 하행성 신경로의 통로를 제공하며, 열두 쌍의 뇌신경 중 후각...보이는 흑질이 존재합니다. ▶ 중간뇌(중뇌) : 사이뇌와 숨뇌, 다리뇌, 소뇌 사이에 있으며, 많은 신경핵이 존재합니다. 중간뇌는 무의식적 반사운동의 중추...
    관련 질환 :
    뇌출혈, 뇌경색, 양성 뇌종양, 악성 뇌종양, 뇌사
    관련 인체 :
    중뇌, 교뇌, 연수, 뇌
    관련 검사 :
    비중격 교정술, 자기공명영상
    도서 인체백과 | 태그 신경계 , 건강 , 인체
  • 뇌신경 뇌신경으로 감각하고 움직이다
    구성되며, 소뇌로 들어가는 축삭 다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양쪽 소뇌각 사이에는 마름모꼴로 생긴 부위가 연수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이 부위를 능형오목(rhomboid fossa, 마름모오목)이라고 합니다. 능형오목의 중앙에는 정중고랑(median sulcus)이 있습니다. 정중고랑 바깥쪽으로는 경계고랑(sulcus limitans)이...
  • 소뇌 '잘' 운동하게 하는 소뇌
    소뇌와 뇌간은 연결되지요. 소뇌의 위쪽은 중뇌와 간뇌가 연결됩니다. 중뇌는 상구와 하구가 위치하며 간뇌는 시상과 시상하부영역이지요. 소뇌의 심부핵과 교뇌의 그물형성체 그리고 중뇌의 적핵은 중요한 운동성 신경핵들이지요. 간뇌의 시상과 대뇌기저핵은 대뇌피질 아래의 주요한 신경핵들로 대뇌피질과 연결되어...
  • 다중시냅스 반사 척수, 뇌간, 대뇌피질에서 일어나다
    손가락의 미세한 운동이 발달하지요. 사지동물에서 인간에 이르는 운동기능의 진화는 뇌간의 그물형성체의 조절작용이 발달한 결과이지요. 포유류의 신피질 확장...감각정보를 입력하지요. 섬세한 감각정보를 바탕으로 신피질은 대뇌기저핵과 소뇌와 연계해서 운동출력을 조절하여 정교한 운동이 가능해집니다. 신피질...
  • 소뇌의 부위별 역할 균형의 회로, 운동실행의 회로, 운동계획의 회로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합니다. 소뇌의 입력신호는 감각입력과 효과기입력이 있습니다. 효과기는 골격근이며, 근육 길이 변화와 근육 긴장도의 정보를 소뇌로...감각정보와 효과기정보를 대뇌에 전달합니다. 대뇌운동피질은 뇌간 신경핵과 소뇌의 정보를 바탕으로 피질척수로를 통해 골격근을 직접 제어할 수 있지요...
  • 상행그물활성계 의식을 깨우는 상행그물활성계
    형성체(formation)란 용어는 구조와 기능이 밀접한 부위들이 모여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그 예로 그물형성체와 해마형성체가 있지요. 뇌간을 수평으로 잘랐을 때 등쪽, 가운데 부분, 배쪽의 세 영역으로 단면이 구분되어 보이죠. 이 중 가운데 부분이 피개입니다. 등쪽은 천장판(tectum, 덮개판), 배쪽은 기저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