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피볼락 똥새기, black rockfish
    개요 몸길이가 30cm가량인 바닷물고기로 볼락과 비슷하다. 위턱의 상부를 덮는 3개의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눈 아래에는 2개의 줄무늬가 있다. 몸은 회갈색 바탕에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바위가 많고 수심이 낮은 연안에 서식하며 주로 무척추동물과 어류를 먹고 산다. 12-2월에 수정하여 3-4월에 새끼를 낳는 태생...
    분류 :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쏨뱅이목 > 양볼락과 > 볼락속
    서식지 :
    바위가 많고 수심이 낮은 연안
    학명 :
    Sebastes schlegelii Hilgendorf, 1880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 연안
    해외분포 :
    일본 전 해안, 중국 등
  • 조피볼락 우럭
    양볼락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내용 학명은 Sebastes schlegelii (Hilgendorf, 1880)이다. 조피볼락은 우럭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데 볼락류 중에서는 가장 큰 종으로 몸길이가 60㎝ 이상 되는 개체도 많다. 겉모양은 볼락과 비슷하지만 몸빛깔은 암회갈색이고 배쪽은 연한 빛이다. 옆에는 서너 줄의 분명...
    분류 :
    양볼락과
    성격 :
    동물, 물고기
    유형 :
    동식물
    크기 :
    몸길이 60㎝
    학명 :
    Sebastes schlegelii (Hilgendorf, 1880)
    분야 :
    과학/동물
  • 조피볼락 우럭, black rockfish
    몸과 머리는 모두 옆으로 납작하고 머리는 크다. 등지느러미 연조수 13, 뒷지느러미 연조수 6∼7, 측선비늘수 39∼52, 새파수 23∼28, 척추골수 26개. 눈은 작아서 주둥이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입은 주둥이 끝에 열려있고, 하악이 상악보다 약간 길다. 눈 앞쪽 아래에 난 가시는 3개로 끝이 예리하다. 꼬리지느러미 후...
    분류 :
    양볼락과
    크기 :
    50 cm
    학명 :
    Sebastes schlegeli HILGENDORF, 1880
    국내분포 :
    진남포, 군산, 부산, 해남, 여수
    도서 담수어류사전 | 태그 어류
  • 조피볼락 드디어 초보 딱지를 뗀 낚시꾼에게 추천
    조피볼락은 크게 방파제낚시와 선상낚시로 나누는데 큰 씨알의 조피볼락을 양껏 잡고 싶다면 선상낚시를 추천한다. 한낮보다는 이른 새벽이나 해질녘에 씨알 좋은 조피볼락이 잘 낚이기 때문에 시간과 물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초심자의 경우 모든 기회가 잘 갖춰졌음에도 불구하고 잦은 밑걸림으로 채비를 ...
    도서 낚시를 시작하다 | 태그 취미
  • 우럭, 조피볼락 똥새기, Jacopever
    우럭으로 잘 알려진 조피볼락은 넙치(광어)와 더불어 회로 인기가 높다.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맛있는 회를 먹을 수 있다. 음식 회, 초밥, 소금구이, 건어물, 탕, 조림 특징 서해권 방파제낚시에서 빠질 수 없는 친숙한 어종. 하지만 육지에서는 좀처럼 큰 씨알을 낚을 수가 없어 대물을 낚...
    분류 :
    쏨뱅이목 양볼락과
    크기 :
    70cm
    제철 정보 :
    11~4월(겨울부터 봄까지)
    분포지역 :
    한국의 전 연안, 일본 전 해역, 발해만
  • 조피볼락 우럭, Schlegel's rockfish
    형태 D ⅩⅢ, 11~13; A Ⅲ, 6~8; P1 17~18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두 눈 사이는 너비가 넓고 거의 편평하거나 약간 볼록하다. 머리의 가시는 짧지만 강하며, 눈 지름은 주둥이 길이보다 짧다. 위턱의 상부를 덮는 끝이 아래쪽으로 향한 날카로운 가시가 3개 있는 것이 이 종의 특징이다. 측선공비늘 수는 39~52개, 척...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양볼락과(Scorpaenidae)
    학명 :
    Sebastes schlegelii Hilgendorf
    북한명칭 :
    우레기
    분포지역 :
    우리 나라 전 연안, 일본, 중국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クロソイ
    다른 뜻 넘어옴생물 분류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Korean rockfish, 粗皮-)은 쏨뱅이목 양볼락과에 속하는, 아시아 북부에서 볼 수 있는 바닷물고기이다. 어린 것의 몸색은 검은색이며 나이가 듦에 따라 측면에 얼룰덜룩한 회색으로 바뀌면서 흰색에 가까워진다. 이 종은 수역에 따라 크기가 크게 다를 수 있다. ...
    도서 위키백과
  • 조피볼락 black rockfish
    쏨뱅이목 양볼락과의 바닷물고기로 한국(서해, 남해위주로 전국적으로 분포),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작은 어류등을 섭식하며 4~6월경 산란하는 난태생 어류로 유사종으로는 누루시볼락이 있다.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쏨뱅이목 > 양볼락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중국,일본)
    서식지 :
    수심이 얕은 암초지대
    먹이 :
    오징어
    크기 :
    약 40cm
    무게 :
    약 450g ~ 1kg
    학명 :
    Sebastes schlegeli Hilgendorf
    식성 :
    육식
  • 우럭낚시, 조피볼락낚시
    손맛을 볼 수 있어 낚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초심자가 도전하기에 좋다. 무엇보다 자연산 회를 맛볼 수 있다는 것이 큰 매력이다. 낚시 시기 조피볼락 선상낚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서해의 경우 봄과 가을이 주 시기다. 주로 이른 아침에 입질이 활발하지만 시간보다는 물때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낚시...
    유형 :
    선상낚시
    도서 낚시를 시작하다 | 태그 취미
  • 경기권 낚시 포인트
    이 지역으로 출조할 때는 꼭 고기를 낚겠다는 생각보다는 가볍게 바람 쏘이러 가서 재미 삼아 낚시한다고 생각하는 편이 좋다. 시즌 5월 ~ 11월 대상어종 조피볼락, 넙치, 노래미, 붕장어, 숭어, 망둥어 장점 ① 수도권이라 접근이 용이하여 출조비용이 적게 든다. ② 가족 혹은 친구들과 함께 나들이하듯 출조할 수...
    도서 낚시를 시작하다 | 태그 취미
  • 낚시별 기본 채비 방법
    카본줄 1.7호 내외 • 바늘 : 감성돔 바늘 3호 • 찌 : 어신찌의 경우 0~2호 사이이며 수중찌도 마찬가지다. • 미끼 : 크릴 루어낚시 채비 • 낚싯대 : 조피볼락 혹은 농어 전용 루어 낚싯대 • 릴 : 1500~2000번 스피닝릴 • 원줄 : PE합사 혹은 카본줄, 모노줄 • 목줄 : 쇼크리더(루어용 목줄) • 채비 : 조피볼락...
    도서 낚시를 시작하다 | 태그 취미
  • 우럭
    임금님 수라상에 진상된 생선 우럭(조피볼락)은 예로부터 임금님의 수라상에 올렸던 어류로, 활어회나 매운탕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선호하는 최고의 식재료이다. 볼락류 가운데 가장 많이 양식되는 종인 조피볼락은 맛도, 육질도, 영양도 만점으로 횟감의 대명사로 불리며, 미식가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여기에는...
    도서 어식백세 | 태그 식재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7건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
조피볼락(우럭)
조피볼락(우럭)
조피볼락 분포도
조피볼락과 돔
조피볼락 선상낚시 채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