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의 항일 운동
    1910년 8월 29일 한일 합병 조약이 공포됨과 동시에 일본은 서울에 조선 총독부를 설치하고 초대 총독에 데라우치 마사타케를 임명하였다. 그리고 조선에서 시행할 법령은 조선 민중의 의사여하를 불문함은 물론 일본 의회를 거치지 않고, 칙재(勅裁)에 의한 조선 총독부의 명령으로 대신하도록 규정하여, 총독은 조선에...
  • 신간회 新幹會
    신간회가 해산된 후 안재홍 등 비타협 민족주의자들은 거의 조직적 독립운동을 전개하지 못하고, 개인적인 지조를 지키거나 국어·국사 연구 등의 개인적 저항에 머물고 말았다. 한편 사회주의자들은 비타협 민족주의자들과의 제휴보다는 혁명적 노동조합·농민조합 운동과 그에 기초한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에 몰두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광주항일학생운동 광주학생운동, 光州抗日學生運動
    청년총연합회·노동총동맹 등의 관련자 47명을 합하여 91명이 검거되어 실패했다. 한편 이보다 앞서 학생전위동맹과 조선학생과학연구회 등은 비밀리에 운동의 전국적 확대와 서울에서의 항일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서울시내 각 학교별로 조직된 비밀독서회 간부를 소집, 광주학생운동의 진상과 결과를 상세히 전달하는...
  • 제국에 맞서 한국 독립을 지원한 일본인들, 가네코 후미코 ・ 후세 다쓰지 金子文子 ・ 布施辰治
    누구보다 조선의 독립과 한일 평화연대를 갈망했던 한 자유인의 치열한 항일투쟁이라 할 수 있다. 박열 ・ 가네코 후미코의 반천황제 투쟁을 비롯해 조선 민중의 항일운동에 늘 함께 한 후세 다쓰지 변호사 역시 한일연대투쟁의 상징이다. ‘일본인 쉰들러’란 별명과 같이 일생동안 억압받는 조선 민중의 든든한 벗이...
    출생 :
    가네코 후미코 1903년, 일본후세 다쓰지 1879년, 일본
    사망 :
    가네코 후미코 1926년후세 다쓰지 1953년
    포상훈격 :
    가네코 후미코 2018년 건국훈장 애국장후세 다쓰지 2004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광주학생항일운동 光州學生抗日運動
    광주농업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성진회’란 학생단체가 구성되는 등 항일운동의 맥을 이어가고 있었다. 3·1운동 후 최대 민족 투쟁이 광주 지역 학생들에...학생이 조선인 여학생을 희롱한 것이 계기가 됐다. 이를 말리던 조선 학생에게 일본 학생이 “조센진” 운운 하자 곧바로 주먹을 날렸고, 이것이 양측 학생...
    간행/발행 :
    조선일보(1929년 11월 05일)동아일보(1929년 11월 16일)
  • 신간회 新幹會
    학생항일운동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단을 파견함과 동시에 학생운동의 탄압을 엄중 항의하였으나 일제의 반응은 냉담하였다. 이에 이 운동을 전국적인 항쟁으로 확대, 파급시키기 위해, 광주에 다녀온 김병로(金炳魯)의 건의에 따라 서울에서 광주실정보고민중대회를 열고 그 부당성을 규탄하기로 하였다. 1929년...
    시대 :
    근대
    설립 :
    1927년 2월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31년 5월 16일
    분야 :
    역사/근대사
  • 광주학생운동 光州學生運動
    15일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YMCA) 회관에서 발기되어 회장에 이상재(李商在), 부회장에 홍명희(洪命熹)가 피선되었다. 같은 해 5월 16일 이에 승복하지 않은...자매 단체인 근우회(槿友會)가 창립되었다. 그런데 1920년대 항일 운동의 전개는 학생들의 동맹휴학과 같이 일제의 식민지 교육 체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권쾌복 ・ 배학보 ・ 유흥수 대구사범학교 항일비밀결사 ‘다혁당’을 이끌다
    사범학교는 자라나는 아동을 ‘황국신민’으로 양성할 미래 훈도를 교육하는 기관이었기에 일제의 간섭과 통제는 더 극심하였다. 항일운동에 뛰어들다 일제가 일본과 유사한 내용으로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일본인과 조선인의 차별이 없는 교육을 주창했지만, 허울에 지나지 않았다. 1938년 4월 대구사범학교에...
    출생 :
    권쾌복 1921년 2월 2일, 경북 칠곡배학보 1920년 8월 19일, 경북 성주유흥수1921년 6월 22일, 충남 서산
    사망 :
    권쾌복 2009년배학보 1992년유흥수 2016년
    포상훈격 :
    권쾌복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배학보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유흥수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 김익상 추산, 金益相
    뒤에는 조선독립의용군(朝鮮獨立義勇軍)을 위시하여 독립단이 뒤를 이어 일어날 염려가 있으니 경한 형벌에 처하는 것이 득책이 아니니 극형에 처하여 달라고 구형”을 하니, 태연히 웃으며 “극형 이상의 형벌이라도 사양치 않는다”고 말하였다. 11월 6일 오후 1시 열린 나가사키공소원에서 모리 재판장에 의해 사형을...
    출생 :
    1895년 6월 25일, 경기도 고양(高陽)
    관련 사건 :
    조선총독부(왜성대) 투탄 의거, 상해 황포탄 의거
    주요활동 :
    1921년 조선총독부 투탄, 1922년 상하이 황포탄에서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 저격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의열단
  • 正義府 100년, 그곳에 있었던 사람들, 김창환 ・ 이진산 ・ 윤덕보 ・ 김원식 金昌煥 ・ ..
    된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이회영 등을 비롯한 신민회 인사들과 만주에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중국 길림성 유하현 삼원보로 이주하였다. 토지를 구매...추진하는 한편, 병농제를 기반으로 학술을 연마하고 구국 인재를 양성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는 경학사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11년 조선 총독이었던...
    출생 :
    김창환 1872년이진산 1880년윤덕보 1881년김원식 1889년
    사망 :
    김창환 1937년이진산 미상윤덕보 미상김원식 1940년
    포상훈격 :
    김창환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진산 2014년 건국훈장 독립장윤덕보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김원식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한국의 독립운동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朝鮮独..
    임시정부는 일개 단체로 전락한 체, 이후 김구의 활약으로 부활하기까지 오랜시기가 걸렸다. 한편 간도와 만주 연해주의 조선 동포들을 기반으로 조직된 항일무장단체들은 3·1운동을 계기로 평안북도 갑산·함경남도 혜산 일대와 압록강과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 국경 지방에서 격렬한 무장투쟁을 벌였다. 1920년 3...
    도서 위키백과
  • 신간회
    학생시위 운동을 3・1민족운동과 같은 전 민족의 항일 운동으로 발전시키려 하였다. 노동 ・ 농민 ・ 학생 운동과 연계한 신간회의 반봉건 ・ 항일투쟁의 사례를...일어나자 신간회 중앙본부는 원산 지회에 적극 지원을 지시하는 한편, 조선변호사협회 회장 이인(李仁)을 현장에 파견해 노동자들의 권익을 법률로 지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재판 기사}(조선일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