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모노세키 조약 일청강화조약, 下關條約
    1894년(고종 31)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시모노세키(下關)에서 청과 체결한 강화조약. 청은 이 조약을 체결하면서 조선의 독립과 랴오둥 반도의 할양, 배상금의 지불, 다른 열강과 같은 특권의 인정 등을 일본에 약속했다. 이에 따라 동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중국이 차지하고 있던 위상이 붕괴되고, 일본은 서구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시모노세키 조약 하관조약, <일>下關条約
    위해위에서 청국 함대가 궤멸한 다음날인 2월 13일 청국 조정은 이홍장을 전권 대신으로 삼아 일본에 파견키로 결정하였다. 청국대표 일행은 3월 20일 시모노세키에 도착하여 춘범루(春帆樓)에서 양국 전권 대표 교섭에 들어갔다. 청국 측은 이홍장 · 이경방(李經方) · 오정방(伍廷芳)이 참석하였고 일본 측에서는 이...
  • 시모노세키 조약 (관련어 시모노세키조약) Treaty of Shimon..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은 1895년 3월 20일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전개된 청일전쟁의 강화회의로 체결된 조약으로서 정식명칭은 일청강화조약이다. 하관조약(下關條約), 마관조약(馬關條約)으로도 지칭한다. 1895년 4월 17일,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면서 청일전쟁이 종결되었다. 청국이 조선의 독립자주체제...
    도서 위키백과
  • 시모노세키조약
    청일전쟁 후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일본과 청이 맺은 조약으로, “청은 조선이 완전한 자주 독립국임을 인정하고 랴오둥 반도와 대만을 일본에 넘겨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Treaty of Shimonoseki 시모노세키 조약, 下関条約
    The was an unequal treaty signed at the Shunpanrō hall in Japan on April 17, 1895, between the Empire of Japan and the Qing Empire, ending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peace conference took place from March 20 to April 17, 1895. This treaty followed and superseded the Sino-Japanese Friendshi...
  • 청일전쟁 淸日戰爭
    일본군은 평양전투와 황해해전에서 잇달아 청군을 격파하고 청나라의 진저우성과 뤼순을 점령하면서 청은 전쟁에 참패했고, 1895년 4월 17일 일본과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었다. 청일전쟁 이후 일본은 자본주의의 급속한 발전을 이룩한 반면, 조선과 중국은 일본 및 열강의 수탈대상 및 분할 경쟁의 대상국이 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시모노세키 전쟁 Shimonoseki campaign, 下関戦争
    도착하지 않았지만, 영국 정부는 일본에서의 군사 행동을 금지하는 지시를 이미 내려놓고 있었다. 시모노세키 전쟁은 결과적으로 그 지시를 따르지 않은 것이었다. 올콕은 그 책임을 물어 주일공사에서 해임되어 본국에 소환되어 1864년 12월 25일 출국하게 된다. 시모노세키 조약 시모노세키 해협 전투 (USS 오이오밍...
    도서 위키백과
  • 시모노세키 Shimonoseki, 下関市
    군대와 무력 충돌한 시모노세키 전쟁이 발발하였다. 1889년 - 아카마가세키 시가 성립하였다. 1895년 - 청일 전쟁의 강화 회의 결과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었다. 시모노세키 요새 사령부가 설치되었다. 1901년 - 산요 철도가 개통하였다. 1902년 - 시모노세키 시로 개칭하였다. 1923년 - 간토 대지진이 발생하다...
    도서 위키백과
  • 부산-시모노세키 시 자매결연 釜山-시모노세키 시 姉妹結緣
    흐름에 따라 외국 유수 도시들과 상호 교류 협정을 체결해 왔다. 1965년 한국과 일본이 수교한 이후 지방 차원의 자매결연을 추진한 결과 1976년에 시모노세키 시와 자매 도시 협정을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조약/회담 내용]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는 1976년 10월 11일 부산직할시청에서 자매도시 협정 체결식을...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랴오둥반도 반환 조약 遼東還付条約, 遼南條約
    청나라로부터 랴오둥반도(펑톈반도)와 타이완섬, 펑후 제도를 영구히 할양받고 전쟁 배상금 2억냥(1895년 당시 3억 2천엔)을 지불하도록 하는 내용의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서 청나라의 랴오둥반도와 타이완섬, 펑후 제도는 일본이 전쟁으로 얻은 첫 해외 영토가 되었다. 하지만 이 사태를 주시하던 러시아...
    도서 위키백과
  • 제물포조약 濟物浦條約
    가까운 시모노세키(下關)에 출장하게 하여 하나부사의 교섭을 지휘하게 하였다. 하나부사는 ‘조선정부와의 담판에 관한 훈령’과 ‘조선정부와의 담판에 관한 내훈’의 받아 다수의 군사력을 대동, 제물포를 거쳐 한성에 들어와서 7개 조항의 요구를 제시하였다. 조선정부는 봉조하(奉朝賀) 이유원(李裕元)을 전권대신...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중화질서의 붕괴, 청일전쟁
    돌입했다. 1895년, 결국 청나라는 이홍장을 전권대사로 파견하여 일본과 화친을 요청했다. 1895년 4월, 청일전쟁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며 종결되었다. 전쟁의 승리로 얻은 시모노세키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나라는 조선이 완전한 자주 독립국임을 인정한다. 둘째, 청나라는 요동 반도, 대만, 팽호도...
    시대 :
    1894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건

시모노세키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의 중국어 간본
일본과 청나라의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장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