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광문회 광문회, 朝鮮光文會1910년서울에 설립되었던 한국고전간행단체. 개설 최남선(崔南善) 등이 고문헌의 보존과 반포, 고문화의 선양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07년 이래 최남선은 출판사업을 통한 민족의 계몽과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신문관(新文館)을 창설, 『대한역사』 · 『대한지지(大韓地誌)』 · 『외국지지』 등의 도서와 잡지 『...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장지영 ・ 김윤경 ・ 권덕규 말살되어가는 민족언어, 숭고한 희생으로 보존하다되었다. 김윤경의 모교이자 연구터전인 연세대학교에서는 전집 『한결 김윤경전집』 발간을 비롯한 추모행사와 기념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권덕규 성장과 조선광문회 활동 애류(崖溜) 권덕규(權悳奎)는 1891년 8월 7일 현재의 김포인 통진군(通津郡) 하성면(霞城面) 석탄리(石灘里)에서 안동권씨 권인수(權寅壽)의 장남...
- 출생 :
- 장지영 1887년, 서울김윤경 1894년, 경기권덕규 1891년, 경기
- 사망 :
- 장지영 1976년김윤경 1969년권덕규 1950년
- 포상훈격 :
- 장지영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김윤경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권덕규 2019년 건국훈장 애국장
-
조선 朝鮮등 국사교과서를 저술하였고, 현채(玄采)는 저술 · 번역 활동을 통해 근대적인 역사서술 방법론 도입에 기여하였다. 또 최남선(崔南善)은 1910년에 조선광문회를 조직하여 고전, 특히 실학자들의 저술을 발굴, 간행하였다. 1900년 이후 서양의 문학 작품이 번역, 소개되면서 전통적 소설체를 탈피한 언문일치(言文一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상식 朝鮮常識최남선(1890~1957)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한 조선학(한국학)의 연구자이며, 출판인이자 번역가이다. 출판사 신문관과 조선광문회를 중심으로 잡지 『소년』, 『청춘』 및 조선 고전 등을 발행했고, 『고사통』과 같은 한국 역사서와 『심춘순례』, 『백두산근참기』 등의 여행기를 남겼다. 편찬 및 발간 경위...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도서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조선말본 朝鮮말본새글집(신문관(新文館))에서 간행하였다. 대체로 서울말을 바탕으로 하여 ‘맨조선말’로 썼는데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한자를 옆에 달기도 하였다.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의 대역사전(對譯辭典)인 『신자전(新字典)』의 편찬에 이어 주시경(周時經) · 권덕규(權德奎) · 이규영(李奎榮)과 함께 국어사전인...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조선어학연구회 朝鮮語學硏究會속간하여, 1941년 4월 26일자 제37호로 폐간되기까지 약 10년 동안 국어연구와 연구기반의 조성에 이바지하였다. 그리고 출간되지는 않았지만 일제 초기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주시경·권덕규(權悳奎)·이규영(李奎榮) 등이 편찬하기 시작한 ≪조선어사전≫의 원고를 계명구락부를 거쳐 인수하여 계속한 점 등은...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1년 12월 10일
- 성격 :
- 학술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1년 4월 26일
- 설립자 :
- 박승빈(朴勝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동경잡기 東京雜記묵이 다시 증보, 정정하여 중간하였다. 1910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가 성원묵의 판본을 인쇄본으로 간행하였고, 1913년 최남선(崔南善)이 주관하던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가 이것을 또 활자본으로 중간하였다. 내용 구성은 책머리에 목록이 있고, 권1에 진한기(辰韓紀) · 신라기(新羅紀) · 경주지계(慶州...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