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부기록보존소 政府記錄保存所, Government ..
    행정자치부 소속 기관 가운데 하나.|정부의 영구보존 및 준영구보존의 문서, 인쇄물, 서적, 지적도, 계획서, 도안, 사진, 마이크로 필름, 영사 필름, 녹음기록, 정부행정자료 등과 기타 중요한 기록의 수집·관리·보존 및 열람 등의 사무를 관장하는 행정기관이다. 특히 대통령 결재문서에 대해서는 대통령기록 문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국가기록원 (관련어 정부 기록 보존소) National Archives of Korea, 国家記録院
    정부 기관 정보 국가기록원은 기록물관리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립 및 제도개선, 공공기록물의 효율적인 수집·보존·평가 및 활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의 소속기관이다. 2004년 5월 24일 발족하였으며,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에 위치하고 있다. 원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
    도서 위키백과
  • 디지털 콘텐츠 보존소 digital contents archive
    은 어려운 일로 평가된다. 세계적으로 사례가 거의 없다.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1996년부터 인터넷 아카이브(internet archive)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세계 웹사이트를 수집, 보관해서 기록한다. 우리나라도 2004년부터 국립중앙도서관이 ‘오아시스’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시간이 흘러 없어진 우리나라 주요...
  • 디지털 보존소 -保存所, digital archive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의 사본을 보존하는 것. 아카이브란 원래 정부, 관공서 및 기타 조직체의 공문서와 사문서를 소장, 보관하는 문서관 또는 기록 보존소를 의미하는 보존 문서관(archives)에서 유래되었다. 디지털 보존소는 수장품(收藏品)이나 자료 등을 디지털로 보관, 자료 간의 관련을 유지하여 관리하는...
  • 국가기록원 國家記錄院, National Archives of Korea
    이어 1969년 8월 총무처 소속으로 정부기록보존소를 설립하여 정부의 영구보존대상 문서, 도면, 카드 등을 집중적으로 보존관리 하게 되었다. 한편, 1984년에는 부산광역시 금정산 기슭에 현대적 보존시설을 갖춘 정부기록보존소 부산지소를 열어 조선시대 사고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그 뒤 1998년 2월 정부조직 개편에...
    시대 :
    현대
    성격 :
    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68년 8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국가기록원 國家記錄院, National Archives of Korea
    정부의 중요 기록물을 관리하고 보존할 목적으로 1962년 5월 내각사무처 총무과 촬영실로 발족되었다. 1969년 8월 총무처 소속의 정부기록보존소가 설치되었고, 1984년 조선시대 사고의 전통을 계승하여 현대적 보존 시설을 갖춘 부산지소를 개소하였다. 1998년 2월 28일 행정자치부로 소속이 바뀐 뒤, 같은 해 7월 정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외교박물관 外交博物館
    외교사의 발전 과정을 돌아볼 수 있는 산 교육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박물관 소장품의 수집 출처는 외교부, 안전행정부 정부기록보존소, 규장각 및 미국정부문서보존소에 보존되어 있던 문서의 원본 또는 사본, 주미 대사관 및 주러시아 대사관 등 우리 나라 해외 공관에서 소장하고 있던 각종 자료와 물품...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2동
    설립 :
    1993년 2월 16일
    성격 :
    박물관, 국립박물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행정자치부 行政自治部,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
    재정경제국·지방세제국 등 7개 국과 총무과, 그리고 장관 밑에 공보관, 차관 밑에 감사관 각 1인을 두었다. 소속기관으로는 중앙공무원교육원·정부청사관리소·정부기록보존소·정부전산정보관리소·지방행정연수원·국립과학수사연구소·국립방재연구소·중앙소방학교 및 중앙119구조대·이북5도·소청심사위원회 등...
    시대 :
    현대
    성격 :
    행정기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총무처 국무원사무처, 總務處
    심사·결정 및 그 재심청구사건의 심사·결정을 하는 소청심사위원회, 정부의 영구보존문서 등 중요한 기록물의 수집·보존 및 열람업무를 관장하는 정부기록보존소, 전자조직에 의하여 행정업무처리의 과학화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정부전자계산소, 정부에 대한 민원을 접수하고 상담처리하는 정부합동민원실, 정부...
    시대 :
    현대
    성격 :
    행정기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세계유산등록 특별 훈민정음과 세종대왕
    열람할 수 없도록 비밀을 보장함으로써 진실성과 신빙성이 높은 역사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실록이 완성된 후에는 정족산, 태백산. 적상산, 오대산 등 특별히 설치한 사고(史庫)에 각각 1부씩 보관하였다. 정족산본 등 2,077책은 국보 제151호로 지정되어 서울대 규장각, 정부기록보존소 등에 보관 관리되고...
    발행일 :
    2000.12.9
    발행량 :
    12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340원
    디자인 :
    훈민정음과 세종대왕
    우표번호 :
    2116
    인면 :
    52×36
    천공 :
    13
    전지구성 :
    2×4 (복합형)
    용지 :
    백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5도 + 요판 1도
    우표크기 :
    52×36
    디자이너 :
    원인재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세계유산등록 특별 정족산 사고와 태조실록
    열람할 수 없도록 비밀을 보장함으로써 진실성과 신빙성이 높은 역사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실록이 완성된 후에는 정족산, 태백산. 적상산, 오대산 등 특별히 설치한 사고(史庫)에 각각 1부씩 보관하였다. 정족산본 등 2,077책은 국보 제151호로 지정되어 서울대 규장각, 정부기록보존소 등에 보관 관리되고...
    발행일 :
    2000.12.9
    발행량 :
    12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340원
    디자인 :
    정족산 사고와 태조실록
    우표번호 :
    2117
    인면 :
    52×36
    천공 :
    13
    전지구성 :
    2×4 (복합형)
    용지 :
    백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5도 + 요판 1도
    우표크기 :
    52×36
    디자이너 :
    원인재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태백산사고 太白山史庫
    1930년 규장각도서와 함께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으로 이장(移藏)하였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1955년부터 1958년까지 이 태백산사고본 실록을 저본으로 해 축쇄영인본 48책을 간행해 학계에 보급하였다. 그 뒤 태백산사고본 실록은 1985년 3월 부산의 정부기록보존소에 옮겨져 보존되고 있다. →사고(史庫)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정부기록보존소(부산지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