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흥 보림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 毘盧遮▽..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개설 1963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73㎝. 지금은 광배(光背)와 대좌를 모두 잃어버리고 불신만 남아 있을 뿐이다. 이 불상은 왼쪽 어깨 부분에 8행의 불상 조상기가 음각되어 있다. 명문에는 858년(헌안왕 2) 7월 17일에 당시 무주(武州)와 장사(長沙:...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寶林寺鐵造毘盧遮那..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858년명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철불좌상. 도피안사의 철조비로자나불상과 더불어 통일신라 말기의 명문이 있는 대표적인 불상이다. 왼쪽 팔 뒤에는 조상기가 음각되어 있는데 "대중 12년 무주장사 부관 김수종이 왕에게 불상 만들기를 청했다"는 내용이다. 통일신...
    문화재 지정 :
    국보(1963.02.21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관련어 장흥보림사철조..)
    문화재 정보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신라시대의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이다. 대좌와 광배는 없어졌으나, 왼쪽 팔뚝 뒤에 신라 헌안왕 2년(858년)에 만들었다는 글이 새겨져 있어서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불상이다. 비로자나불...
    도서 위키백과
  • 철원 도피안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鐵原 到彼岸寺 ..
    1,500인의 거사(居士)들에 의하여 조성된 대중적인 불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 육계(肉髻)의 표현은 거의 없다시피 하고, 얼굴은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1963년 지정)보다 훨씬 빈약하며,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1963년 지정)보다도 좀 더 섬약하다. 코의 평탄적인...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광주 증심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증심사철조비로자나..
    보기 드물게 안정된 자세와 균형 잡힌 신체 비례, 자비로운 얼굴 묘사가 돋보이는 상이다. 9세기 중엽에 조성된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1962년 지정),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1963년 지정)과 비교했을 때, 조각 수준이나 기술이 상당히 발달된 예로 눈여겨볼 만하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예천 한천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醴泉 寒天寺 鐵造..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53m. 광배와 대좌를 잃어버린 이 철조불상은 9세기 후기에 조성된 일련의 철불인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나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1963년 지정) 등과 같은 양식적 특징을 지니는 불상이다. 즉 9세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좁고 약간 처진...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남원 실상사 철조 여래 좌상 南原 實相寺 鐵造 如來 坐像
    아직도 긴장감이 나타나 있으나, 8세기에 나타나던 유연한 탄력감이 아닌 경직되고 이완된 모습을 보여 준다. 신체비례 면에서 보면, 858년작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1963년 지정)이나 863년작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1963년 지정)보다는 약간 고식(古式)이다. 865년작 철원...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과비슷해 당시의 불상 비례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에 비해서는 비율이 좋다. 정수리에 솟아있는 육계(肉髻)는 그리 높지 않으며 머리카락을 표현하지 않은...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보림사 가지산사(迦智山寺), 寶林寺
    보관되어 있었다. 중요 문화유산으로는 국보로 지정된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보림사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이 있고, 보물로는 보림사 동승탑(寶林寺東僧塔), 보림사 서승탑(寶林寺西僧塔),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 등이 있다. 870년(경문왕 10)에 건립...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 비로자나불 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더불어 현재 해인사 대비로전에 함께 봉안되어 있다.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영주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영주 부석사 자인당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등과 수인, 대의, 옷주름의 표현 등이 비교된다. 의의와 평가 해인사 대적광전 비로자나불상은...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 비로자나불 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더불어 현재 해인사 대비로전에 함께 봉안되어 있다.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영주 비로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영주 부석사 자인당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등과 수인, 대의, 옷주름의 표현 등이 비교된다. 의의와 평가 해인사 법보전 비로자나불상은 불상...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고려 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장흥군의 유물·유적·관광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117호), 보림사동부도(寶林寺東浮屠 : 보물 제155호), 보림사서부도(寶林寺西浮屠 : 보물 제156호),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 : 보물 제157호),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碑 : 보물 제158호), 보림사사천왕문(寶林寺四天王門 : 전라남도 유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1건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뒷면 조상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