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림사 寶林寺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 봉덕리 기슭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의 절.|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860년(헌안왕 4) 보조체징이 초암을 확대해 지은 것으로 통일신라시대의 구산선문 중 하나였다. 가지산파의 근본도량으로 인도의 가지산 보림사, 중국의 가지산 보림사와 함께 3보림으로 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보림사 가지산사(迦智山寺), 寶林寺
    보림사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선승 체징이 창건한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에 있는 사찰이다. 체징은 가지산문의 제3조로, 보림사는 선문구산 중 가장 먼저 개산한 가지산문의 중심 사찰로 번성하였다. 외호문, 목조 사천왕상 등을 통해 조선 후기에도 대찰의 면모를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 6·25전쟁 때 외호문...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보림사 寶林寺
    보림사는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 있던 사찰 터이다.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후기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범우고』에 폐사된 절로 나오므로 조선 후기 어느 시기엔가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절터에 석종형 부도가 남아 있다.|#내용 한편, 1458년(세조 4) 세조의 명으로 해인사에 있던 고려대...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가지산사 보림사, 迦智山寺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원표가 창건한 사찰. 보림사의 전신.|개설 가지산사(迦智山寺)는 보림사(寶林寺)의 옛 이름이다. 연원 및 변천 가지산사는 759년(경덕왕 18)에 원표(元表)가 화엄종(華嚴宗) 사찰로 창건하였는데, 859년(헌안왕 3)에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에 의해 선종(...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대사
  • 보림사 Borimsa
    다른 뜻 보림사(寶林寺)는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 계곡(봉덕리 45번지)에 위치한 고찰이다. 동양 3보림(인도·중국·한국)의 하나로 한국에 선종이 가장 먼저 들어와 정착된 곳이기도 하다. 이 곳에 원표대덕이 터를 잡은 당시인 759년에는 초암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한 듯하며, 옛 모습의 보림사는 웅장하고 수...
    도서 위키백과
  •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및 石燈
    개설 현재 보림사 앞뜰의 원위치에 남북으로 대립하여 구조와 규모가 같은 2기의 삼층석탑이 서 있고 그 사이에 석등이 1기 남아 있다. 보림사는 헌안왕의 명으로 보조국사(普照國師) 체징(體澄 ; 804∼880)이 헌안왕 4년(860)에 창건한 사찰이다. 보조선사는 도의(道義)와 염거화상(廉居和尙)의 법맥을 이어 보림사에서...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탑은 신라 구산선문(九山禪門) 중의 하나인 보림사를 개창한 보조선사 체징(體澄 ; 804∼880)의 묘탑이다. 보조선사는 도의(道義)와 염거화상(廉居和尙)의 법맥을 이어 보림사에서 가지산문(迦智山門)을 개창한 선사이다. 내용 이 탑의 높이는 4.1m이며, 사찰 중심에서 동쪽의 가지산...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계초심학인문 寶林寺 四天王像 腹藏 戒初心學人文
    내용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판본은 고려 1233년(고종 20)의 해인사본이며 20여 종의 판본이 있고, 조계산 송광사에서 간행된 언해본도 2종이 있다. 보림사(寶林寺) 사천왕상(四天王像)의 복장(腹藏)에서 확인 조사된 판본은 임진왜란 전후에 간행된 것으로, 1563년(명종 18)에 간행된 전라도 능주(綾州) 쌍봉사판...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법화경(法華經), 公州 寶林寺 所藏 妙法蓮..
    은 산스크리트어로 된 대승불교 경전인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를 한역(漢譯)한 것으로서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4)이 번역한 7권본을 가리킨다. 보림사(寶林寺) 소장본은 중국 송대의 계환(戒環)이 『묘법연화경』의 요점을 간추려 주석을 가하고〔要解〕 명대의 일여(一如, 1352~1425)가 집주(集註)한 저본...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장흥 보림사 서승탑 長興 寶林寺 西僧塔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2기. 높이 3m. 보림사 경내로 들어가는 서쪽 입구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있다. 2기의 부도가 함께 나란히 서 있는데 모두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으로 기본형태는 같으나 장식수법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중 서부도에는 네모난 지대석(地臺石) 위에 변형된 이색적인 8엽복련석(八葉...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장흥 보림사 동승탑 長興 寶林寺 東僧塔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6m. 이 부도는 보림사 동쪽 숲속에 있는 여러 부도 중의 하나로, 그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부도의 형식은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기본을 따랐으며 지대석(地臺石)도 8각으로 매우 넓다. 하대석(下臺石)은 반구형(半球形)에 가까운데 매우 평평하며 큼직한 8엽...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장흥 보림사 목조 사천왕상 長興 寶林寺 木造 四天王像
    표현 기법과 더불어 이 작품의 우수성을 잘 보여 주는 면이라고 하겠다. 팔뚝이 신체 비례보다 강조되는 반면 가슴과 배 부분이 빈약하게 표현되었다. 보림사 사천왕 4위의 신체 구조는 팔꿈치에서 손가락까지만 변화가 있을 뿐 거의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것은 목조사천왕상들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특징 중의...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5건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보림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