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제 58 화, 모든 화는 내 탓이다들어 비유하며 잘못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즉, 공자가 뜻을 펼치다 겪게 된 고난은 자연의 이치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함부로 인위의 도를 세우려다 당한 자업자득의 결과라는 것이다. 본문에서 어부가 말한 발자국과 그림자로 말미암은 두려움은 성과를 기대하는 초조함을 의미한다. 그림자는 욕망을 나타내고 발자국...
-
업 業이것은 다시 공업(共業)과 불공업(不共業)으로 구분되는데, 공업은 생물이 공통으로 받는 업이고, 불공업은 개개생물, 즉 유정(有情) 세간(世間)에서의 자업자득과 자작자수(自作自受)를 의미한다. 그러나 곧 개업(個業)이 공업으로, 공업이 개업으로 연결되어 사회업(社會業)의 공존공영으로 인한 윤회전생의 순환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왜 드라마를 즐겨보는 사람일수록 "세상은 정의롭다"고 믿는가?, just world fallacy제시한 가설이다. 사실상의 ‘피해자 탓하기(victim blaming)’로, “뿌린 대로 거둔다(You reap what you sow)”는 말이 그 슬로건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업자득(自業自得)’ , ‘인과응보(因果應報)’ , ‘업보(業報)’라는 말을 즐겨 쓰다 보면 그런 오류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엘리엇 애런슨(Elliot Aronson...
-
술 나오는 샘 주천설화먹으면 힘이 세지는 장군수(將軍水) 같은 신비한 샘물에 관한 설화도 많은데, 주천과 같이 귀중한 샘물이 지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이를 오용하고 천대한 자업자득의 결과라고 화중(話衆)은 말한다. 주천설화는 사람의 순수한 소원, 그 소원 달성이라는 신이나 자연이 베푸는 기적, 이 기적을 감사할 줄 모르고 오용...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숫타니파타, 행복하고 태평하고 안락하여라한마디로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취해야 할 바른 법도들을 가르쳐 준다. 이와 같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단적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세상사가 자업자득(自業自得)이다. 행복도 불행도 모두 자신의 행동에서 나오는 하나의 결과물이다.’ 사실 세상을 살다 보면 저절로 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부처님 말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