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임진강

다른 표기 언어 臨津江
요약 테이블
위치 강원도 법동군, 황해북도 판문군, 경기도 파주시

요약 한강의 제1지류이며 길이 272㎞, 유역면적 8,135㎢이다.
법동군 용포리 두류산 남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판교군 남부에서 고미탄천을 합한 뒤 이천군을 지나 철원군 내에서 평안천·역곡천을 합친다. 휴전선을 지나 연천군 전곡읍과 군남면 경계에서 한탄강이 흘러들며, 유로를 남서쪽으로 바꾸어 파주시로 흐르다가 문산천·사천을 합친 뒤 파주시 탄현면에서 한강에 흘러든다.
하천의 이름은 파주시에 있는 고구려의 진임성을 신라 경덕왕 때 '임진'으로 고침에 따라 이 명칭을 따서 '임진강'이라 했다.
강의 상류는 연안 평지가 발달하지 못했으나, 중·하류지대에는 철원평야·풍덕평야·문산평야 등이 펼쳐져 있다. 국토 분단으로 휴전선이 강의 허리를 지나고, 일대에는 판문점·임진각·자유의 다리 등이 있다.

임진강, 임진강철교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한강의 제1지류로서 길이 272㎞, 유역면적 8,135㎢, 곡류정도 1.4배이다. 법동군 용포리 두류산(頭流山:1,323m) 남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법동군과 판교군을 지나고, 판교군 남부에서 고미탄천(古味呑川)을 합한 뒤 이천군을 지나 유로를 남동쪽으로 바꾸어 철원군 내에서 평안천(平安川)과 역곡천(驛谷川)을 합친다.

휴전선을 지나 연천군 전곡읍과 군남면 경계에서 한탄강이 흘러들며, 유로를 남서쪽으로 바꾸어 파주시로 흐르다가 문산천(文山川)과 사천(沙川)을 합친 뒤 파주시 탄현면에서 한강에 흘러든다.

하천의 이름은 파주시 문산읍과 파평면 경계에 위치했던 고구려의 진임성(津臨城)을 신라 경덕왕 때 '임진'으로 고침에 따라 이 명칭을 따서 '임진강'이라 했다고 한다.

강의 상류는 산지하천을 이루고 유속이 급하여 그 연안에 평지가 거의 발달하지 못했으나, 중·하류지대에는 철원평야·풍덕평야·문산평야 등 비교적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임진강 상류지역에는 소나무·참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으며, 주요농산물로는 쌀·옥수수·콩 등이 생산된다. 유역일대 연강수량은 1,200~1,300㎜로서 홍수의 피해가 잦다. 이 강에는 어름치·열목이·붕어·잉어·메기·뱅어·숭어 등의 물고기가 서식하고 있다.

국토 분단 전에는 농산물의 집산지였던 고랑포(지금의 경기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 일대)까지 강을 따라 배가 다녔으며, 유량이 많을 때는 소형선박이 안협(지금의 강원[북한] 철원군 중북부 일대)까지 운항되었다. 그러나 국토의 분단으로 휴전선이 강의 허리를 지나고, 일대에는 판문점, 임진각, 자유의 다리 등이 있다. 상류지역에는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노탄온천·갈산온천·하린원온천 등이 있다.

선조가 몽진할 때 불을 밝혔다는 화석정과 감악산의 진흥왕순수비를 비롯해 권율장군이 쌓은 봉서산(鳳棲山)산성·윤관장군묘(사적 제323호)·자운서원·이이선생묘·신사임당묘·경순왕릉·공순영릉(사적 제205호)·반구정 등 수많은 유물·유적이 있다.

지도
임진강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울 근교 여행지

추천항목


[Daum백과] 임진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